[include(틀:전삼국문)] {{{+1 葛玄}}} 164~244 [목차] == 개요 == [[후한]] 말과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의 인물로 [[자(이름)|자]]는 효선(孝先)이며, 《[[포박자]]》를 지은 [[갈홍]]의 종조부로 갈선옹(葛仙翁), 태극선옹(太極仙翁) 등으로도 불린다. == 설명 == 갈현은 양주 단양군 사람으로 태어나면서 뛰어나 똑똑했으며, 경전자사 등 고전에 밝아 보지 않은 것이 없을 정도로 십여 년이 지나 부모가 모두 사망하자 탄식하면서 명산을 돌아다니면서 [[좌자]]를 따라가 구단금액선경을 전수받았다. 갈현이 부지런히 목욕재계 하면서 모시자 이에 감동받은 [[태상노군]]과 태극진인이 천태산으로 내려오자 현령보 등 경서 36권을 전수받았으며, 오랜 시간이 흘러 태상노군이 세 명의 진인을 이끌고 내려오자 동원경, 대동경 등 경서 36권과 상청재의 2가지 비법을 전수받았다. 이들의 명령을 준수해 부지런히 수련하면서 태만하지 않았으며, 병을 치료하는 일과 귀신을 불러 탄핵하는 술법에 뛰어난 능력을 가지거나 몸을 분해해 모습을 변화시키는 일에도 능했다. [[손권]]이 그를 만나고자 해 직책을 주려고 했지만 나가지 않았으며, 손권이 집에 떠나지 못하게 하면서 손님을 대하는 예로 대접했다. 매번 음주하고 취해서 항상 사람이 사는 집의 문에 들어가 연못으로 나아가서 물 안에서 누워 자고 종일 있다가 곧 나왔으며, 일찍이 [[손권]]을 따르다가 따로 열주에 이르렀다. 돌아오다가 큰 바람을 만나 백관의 배 다수가 가라앉고 갈현의 배도 침몰해 손권이 매우 슬퍼하고 한스러워했고 갈현을 수색해 찾게 해 높은 곳에 올라 바라봤는데, 오랜 시간 후에 갈현이 걸어서 물 위에서부터 돌아오는 것을 봤고 옷과 신발은 젖지 않았고 얼굴에 술기운이 드러났다. 손권을 알현하면서 신이 어제 시종하다가 오자서에게 부름을 받아 잠시 들러 주연을 베풀어 잠깐 동안에는 할 수 없어 곧 그를 내버려뒀다고 한다. 제자 [[장공]]에게는 8월 13일 정오에 떠났다고 선언하고 그 날이 되어 숨을 거두었지만 얼굴이 전혀 변하지 않았으며, 제자들이 향을 피우면서 자리를 지켰다. 사흘 밤낮이 지나 한밤중에 큰 바람이 일어나더니 지붕이 날아가면서 나무가 꺾이거나 촛불이 꺼졌다. 촛불을 다시 켜자 갈현이 보이지 않아 그 옷과 침상만 보이면서도 허리띠를 풀지 않은 그대로였으며, 다음날에 이웃 사람에게 물었지만 바람이 불지 않았다는 이야기만 나와 바람은 그 집 안에만 불어 그 집의 울타리와 나무들만이 모두 날아가고 부러져 있었다고 한다. 손권의 병이 위독할 때 갈현이 찾아갔고 손권의 집안 사람들이 공중에서 이미 대덕 도사가 왔으니 아뢰어 윗 사람에게 여쭙는 것이 좋겠다는 말소리가 들렸는데, 그러자 마침내 손권의 병이 나았다고 한다. 그의 저서로는 열선전이 있다. == 관련 사료 == * 삼동군선록 * [[수신기]] * [[신선전]] * 예문류취 * 의부전록 의술명류열전 * [[태평광기]] * [[포박자]] * 형초세시기 == 관련 항목 == * [[선인]] [[분류:후한의 인물]][[분류:삼국시대(중국)/인물]][[분류:164년 출생]][[분류:244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