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남시의 법정동)] ||<-2> '''[[파일:하남시 CI.svg|height=15]] [[하남시|{{{#000000,#dddddd 하남시}}}]]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감북동}}}'''[br]甘北洞 | Gambuk-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하남시 감북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하남시 || || '''행정표준코드''' || 4040035 || || '''관할 법정동''' || 감북동, 감일동, 광암동 || || '''하위 행정구역''' || 6통 23반 || || '''면적''' || 4.52㎢ || || '''인구''' || 2,718명[* 2023년 5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601.33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하남시'''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최종윤]] ,,(초선),, || ||<-2> '''경기도의원 | 제1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윤태길 ,,(3선),, || ||<-2> '''하남시의원 | 가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강성삼 ,,(3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금광연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선미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정혜영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감북로 39 (감북동 328) || || [[https://www.hanam.go.kr/jumin/selectBbsNttList.do?bbsNo=764&key=11310|감북동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경기도]] [[하남시]]의 법정동이자 행정동. 서부면의 중심지였다. == 지명 유래 == 감천리(甘泉里)가 일제에 합병된 후 감북, 감일, 감이로 분리되면서 나왔다고 한다. 감천리는 이곳의 샘물 맛이 다른 곳보다 단맛이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광암동은 중앙에 큰바위가 하나 있는데 이 바위가 크고 넓어 넓은바위라 불리었다는 데서 비롯된 이름이다. == 역사 == == 특징 == [[송파구]], [[강동구]]와 인접해 있으며, 특이하게 '''서울 지역번호'''인 02를 사용한다. 학군도 하남시의 학군이 아닌 [[강동구]]와 [[송파구]]의 학군이어서 이곳에 사는 대부분의 학생들은 서울로 통학한다. ~~지역번호도 02고 학군도 서울이면 사실상 서울~~ 지도를 보면 감북동은 걸어서 통학이 가능할 정도로 송파구, 강동구와 매우 인접한다. == 교통 == === 도로 ===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서하남IC]] * 180번 하남시도 ([[서하남로]]) === 버스 === ==== 직행좌석버스 ==== * [[하남 버스 9302]] ==== 시내일반버스 ==== * [[하남 버스 30-5]] * [[하남 버스 35]] * [[하남 버스 38]] * [[하남 버스 87]] * [[하남 버스 89]] ==== 마을버스 ==== * [[하남 버스 1]] * [[하남 버스 7]] * [[하남 버스 8]] * [[하남 버스 9]] == 교육 == === 관내 학교 목록 === * 초등학교 - 서부초등학교 * 중학교 - [[감일중학교]] == 환경 == == 주변 시설 == * [[한국도로공사]] 수도권 본부 == 주거 == === 아파트 === * 감일동 * [[한국토지주택공사]] / [[태영건설]] 하남 감일 스윗시티 행복주택 6단지 : 2020년 5월 입주. * [[현대엔지니어링]] 현대 테라타워 감일 : 2022년 7월 입주. * [[대우건설]] 감일 푸르지오 마크베르 : 2023년 6월 입주. * 감이동 * [[DL E&C]] / [[계룡건설산업]] / [[태영건설]] 감일 에코앤 e편한세상 : 2021년 10월 입주. * [[(주)한양]] [[하남 감일 한양수자인]] : 2022년 9월 입주. * [[제일건설]] 하남 감일지구 제일풍경채 : 입주미정. == 관할 법정동 == === 감북동 === ||<-2> '''[[파일:하남시 CI.svg|height=15]] [[하남시|{{{#000000,#dddddd 하남시}}}]]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감북동}}}'''[br]甘北洞 | Gambuk-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하남시 gambukdong,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하남시 || || '''행정표준코드''' || 4145011300 || || '''관할 행정동''' || 감북동 || || '''면적''' || 2.84㎢ || 자연 부락으로는 감천, 갈미, 배다리 등이 있다. [[밀양 박씨]]의 집성촌이 있다. [clearfix] [youtube(FJPK_28vWCA)] === 감일동 === ||<-2> '''[[파일:하남시 CI.svg|height=15]] [[하남시|{{{#000000,#dddddd 하남시}}}]]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감일동}}}'''[br]甘一洞 | Gamil-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하남시 gamildong,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하남시 || || '''행정표준코드''' || 4145011400 || || '''관할 행정동''' || 감북동, 감일동 || || '''면적''' || 2.08㎢ || 서부초등학교가 있다. 이곳에 [[하남감일공공주택지구]]가 개발중이다. [[능성 구씨]]의 [[집성촌]]이 있다. 자연 부락으로는 시리미, 솟대백이(효죽동), 능안, 우렝이짝, 새말, 신우실 등이 있다. [clearfix] [youtube(oNC_UnT1poQ)] === 감이동 === ||<-2> '''[[파일:하남시 CI.svg|height=15]] [[하남시|{{{#000000,#dddddd 하남시}}}]]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감이동}}}'''[br]甘二洞 | Gami-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하남시 감이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하남시 || || '''행정표준코드''' || 4145011500 || || '''관할 행정동''' || 감일동 || || '''면적''' || 4.21㎢ || [[감일중학교]]가 있다. 이곳에 감일보금자리지구가 개발중이다. 자연 부락으로는 정림, 참새골, 정림골, 벌말, 널무늬가 있다. 감이동 남부 지역은 [[학암동]] 대부분 지역과 함께 [[위례신도시]]로 편입되어 분동되었다. [clearfix] === 광암동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경기도 동두천시 광암동, rd1=광암동(동두천))] ||<-2> '''[[파일:하남시 CI.svg|height=15]] [[하남시|{{{#000000,#dddddd 하남시}}}]]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광암동}}}'''[br]廣岩洞 | Gwangam-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하남시 광암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하남시 || || '''행정표준코드''' || 4145012400 || || '''관할 행정동''' || 감북동, 초이동 || || '''면적''' || 2.68㎢ || 광암동 남부를 관할하며, 북부는 [[초이동]]이 관할한다. 동성학교(고등공민학교)가 있다. 지명 광암(廣巖)의 유래는 동성학교 인근의 개구리바위라고 불리우는 [[고인돌]]에서 땄다고 한다. [clearfix] == 사건·사고 == * [[2013년]] [[9월 15일]] 감일동에서 귀가하던 고3 여학생이 피살되는 사건이 있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6489101|#]] 범인은 이후 체포돼 현재 무기징역 복역 중이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49&aid=0000171591|#]] * 감이동 일대에 대규모 [[강아지 공장|개농장]]이 위치해 있었는데 [[모란시장]]에 개고기를 공급하기 위한 도축시설인지라 사육환경이 열악하기 짝이 없어 [[동물학대]] 논란을 받고 이슈가 된 적이 있었다. [[https://blog.naver.com/jenifer0720/221341167644|#]] 다행히 지금은 철거되었지만, [[LH]]로부터 보상금을 받은 시설주는 남아있는 유기견들을 남기고 잠적하여 현재도 [[하남감일공공주택지구]]에 종종 개농장에서 탈출한 유기견들이 목격되고는 한다.[* 하남시측에서 꾸준히 유기견 구조에 나서고 있으며, 감일동 일대에 반려견 구조 봉사를 하는 사람들도 많아 이 또한 줄어들고 있다.] == 참고 == [[http://hanamculturecenter.kr/bbs/board.php?bo_table=hanamct_2_3&wr_id=3|서부지역의 지명유래 - 하남문화원]]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지명]]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하남시, version=387)][[분류:하남시의 법정동]][[분류:하남시의 행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