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갑인자([[甲]][[寅]][[字]])는 [[조선]] [[세종(조선)|세종]] 16년(1434년)에 세종의 명으로 [[중국]]의 성인들 및 둘째아들 [[진양대군]](훗날의 [[세조(조선)|세조]])의 글자체를 본따 만든 한국의 [[금속활자]]이다. 우리나라에서 역대 세 번째로 만들어진 금속활자이자 최초의 완전 조립식 활자이며 [[훈민정음]], [[동국정운]]등을 인쇄한 한글 금속활자체도 여기에 포함된다. == 내용 == 대자 1.4X1.6 cm, 소자 1.4X0.8 cm 세종대왕이 기존에 만들었던 [[경자자]](庚子字)는 자체가 너무 가늘고 빽빽하여 보기가 어렵다며 1434년 갑인년(甲寅年)에 좀 더 큰 활자를 새로 만들라고 명하여 제작된 금속활자이다. 주요 제작자는 [[장영실]]과 [[이순지]], [[진양대군]] 등이다. 글자체 자본(字本)은 [[중국]] 성인들의 고서들인 효순사실(孝順事實), 위선음즐(爲善陰騭), [[논어]](論語)에서 따왔고, 이 3종의 책에 없는 대부분 글자체들은 [[진양대군]] 유(晉陽大君 瑈, 훗날의 [[세조(조선)|세조]])가 쓴 글로 보충하였다. 다 합쳐서 총 20만 자를 주조하였다. 처음으로 [[대나무]]나 나무 조각으로 빈틈을 메우는 정교하고 튼튼한 조립식 인판틀을 채용하였으며, 기존 [[경자자]]의 배 이상인 하루에 40여 지를 간행할 수 있었다고 전한다. 또한 이 활자를 바탕으로 훗날 세조가 즉위하자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활자도 만들었다고 전한다. 이 활자는 만든 해와 자체(字體)가 갑인자와 전혀 다르므로 '갑인자병용한글활자' 또는 처음으로 찍은 책의 이름을 따서 '[[월인석보]]한글자'라고 부른다. 이후 갑인자는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총 6번 개주하면서 조선왕조가 멸망할 때까지 사용되었다. 갑인자로 인쇄된 주요 책으로는 신편음점성리군서구해(新編音點性理群書句解), 근사록(近思錄), 사마방목(司馬榜目), [[경국대전]] 권3(經國大典 卷三),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자치통감강목 권12·27·37·42(資治通鑑綱目 卷12·27·37·42),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해동제국기]](海東諸國記) 등이 있으며, 조선 금속활자를 대표하는 자료로 인정받는다. == 갑인자 추정 금속활자 발굴 == [[2021년]] [[서울]] [[종로구]] [[인사동(종로구)|인사동]] 발굴현장에서 [[금속활자]] 등 여러 유물이 출토되었다. 여기서 발견된 한글 활자에서 [[세종(조선)|세종]] 시대에만 쓰인 [[동국정운]]식 표기가 발견되어 이 시대 금속활자로 추정되며, 이 중 한자 금속활자는 갑인자로 추정된다고 한다. 기록으로만 전해오던 갑인자의 실제 금속활자본이 맞다면 대발견이다. [youtube(ivIXdgw_Qb8)] [[2021년]] 10월,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중이던 [[일본인]]에게 사들인 것으로 입수 경로가 정확하지 않아 연구순위에서 밀려나 있던 활자가 [[이건희]]와 [[송성문(교육인)|송성문]]이 기증한 고서의 활자체 등을 분석하여 갑인자 초주본으로 추정되어 진품 여부 연구가 계속될 예정이다. [youtube(P4V2dN_Ur3U)] == 외부 링크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5202&cid=46669&categoryId=46669|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갑인자]] * [[https://smart.science.go.kr/scienceSubject/printingtype/view.action?menuCd=DOM_000000101001002000&subject_sid=128|과학학습콘텐츠 : 초주갑인자]]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403200&cid=47306&categoryId=47306|실록 밖으로 나온 세종의 비밀일기 : 완전 조립식 활자인 갑인자가 탄생하다]] [[분류:활자]][[분류:훈민정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