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t wiz/간략(투수))] ---- ||
'''{{{#ffffff 강건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kt wiz|{{{#ffffff kt wiz}}}]] 등번호 106번}}}''' || || [[김병준(2003)|김병준]][br](2022) || {{{+1 →}}} || '''강건[br](2023~2023.10.2.)''' || {{{+1 →}}} || [[서경찬]][br](2023.10.3.~) || ||<-5> '''{{{#fff [[kt wiz|{{{#ffffff kt wiz}}}]] 등번호 99번}}}''' || || [[서경찬]][br](2023~2023.10.2.) || {{{+1 →}}} || '''강건[br](2023.10.3.~)'''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강건.jpg|width=100%]]}}} || ||<-2> '''kt wiz No.99''' || ||<-2> '''{{{+2 강건}}}''' || ||<|2> '''출생''' ||[[2004년]] [[7월 12일]] ([age(2004-07-12)]세) || ||[[경기도]] [[수원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원일초등학교(수원)|원일초]](영통구리틀) - [[매향중학교|매향중]] - [[장안고등학교 야구부|장안고]] || || '''신체''' ||183cm, 80kg || || '''포지션''' ||[[투수]]|| || '''투타''' ||[[우투우타]]|| || '''프로입단''' ||[[KBO 리그/2023년/신인드래프트#지명 결과|2023년 11라운드]] (전체 110번[* KBO 최초 11라운드 110순위 지명이라고 한다.], [[kt wiz|kt]]) || || '''소속팀''' ||[[kt wiz]] (2023~) || || '''연봉''' ||3,000만원 (2023년) || || '''SNS''' ||[[https://instagram.com/kg_eon?igshid=YmMyMTA2M2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kt wiz]] 소속 우완 투수. [[KBO 리그/2023년/신인드래프트|2023 KBO 신인드래프트]]에서 마지막으로 지명된 선수이다. == 선수 경력 == [[장안고등학교 야구부]]에서 3년 동안 15경기에서 64이닝을 던지며 5승 3패 ERA 2.95를 기록하였다. 이후 2023 드래프트에서 11라운드 110순위로 지명되었고, 계약금 3000만원에 계약하였다. === [[kt wiz]] === ==== 2023 시즌 ==== 퓨처스리그에서 34경기 1승 1패 2홀드 ERA 5.10를 기록하고 10월 3일 정식선수로 전환되어 1군에 등록되었다. 등번호은 [[서경찬]]과 맞바꾸어 99번을 달게 되었다. 10월 4일 KIA와의 DH 1차전 10대 2로 크게 앞선 9회 초에 등판해 데뷔전을 치렀다. 1이닝 1K 무실점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10월 6일 삼성전에서 5대 2로 뒤진 9회 초 무사 1루 상황에 등판하여 두 타자를 연속 삼진 처리하였으나, 2사 2루 상황에서 이재현에게 2루타를 내어주며 승계 주자가 득점하였다. 이후 위기 없이 이닝을 마무리하며 1이닝 1피안타 2K 무실점으로 역시나 좋은 피칭을 보였다. 10월 7일 한화전에서 0:14로 크게 앞서던 7회 초부터 등판해 3이닝 1피안타 3K 무실점을 기록하며 데뷔 첫 [[세이브(야구)|세이브]]를 거두었다. 10월 10일 두산전에선 1.1이닝 2피안타 1실점으로 데뷔 후 첫 실점을 한 뒤 2사 만루를 만들고 [[이상동]]과 교체되었다. 정규 시즌 막바지에 콜업되어 11라운드 110순위답지 않은 굉장히 좋은 투구 내용을 선보였다.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강건속구.gif|width=100%]]}}} || ||<#000> '''146.1km/h 패스트볼'''[* 2023년 10월 7일 한화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강건커브.gif|width=100%]]}}} || ||<#000> '''121km/h 커브'''[* 2023년 10월 6일 삼성전] || 경쾌하고 역동적인 투구 동작을 가진 우완 정통파 투수로 평균 144km/h, 최고 148km/h의 포심 패스트볼과 슬라이더, 커브, 스플리터를 구사한다. 2군에서는 슬라이더와 스플리터가 좋은 평가를 받았으나 1군에 콜업된 이후에는 커브를 주로 구사하는데, 빠르게 떨어지는 커브의 움직임이 상당히 좋다는 평이며 구종가치도 상당히 높다. 다만 데뷔 이후 그 표본이 적은 만큼 앞으로 피칭 스타일이 변화할 가능성이 얼마든지 있기에 속단은 이르다. == 연도별 성적 == === 18세 이하부 === ||<-14>
[[고교야구 주말리그|[[파일: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로고(영문).svg|width=45]]]] {{{#000 '''강건의 18세 이하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 2020 ||<|3> [[장안고등학교 야구부|장안고]] || 1 || 1⅓ || 0 || 0 || 0.000 || 0.00 || 0 || 0 || 0 || 2 || 0 || 0 || || 2021 || 3 || 11 || 1 || 1 || 0.500 || 3.27 || 4 || 1 || 4 || 16 || 4 || 4 || || 2022 || 11 || 51⅔ || 4 || 2 || 0.667 || 2.94 || 44 || 0 || 18 || 53 || 31 || 17 || ||<-2> '''18세 이하부 통산''' [br] (3시즌) || 15 || 64 || 5 || 3 || 0.625 || 2.95 || 48 || 1 || 36 || 71 || 35 || 21 || === [[KBO 리그|KBO]] === ||<-17>
[[KBO 리그|[[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00]]]] {{{#FFFFFF '''강건의 역대 KBO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23 || [[kt wiz|kt]] || 4 || 6⅔ || 0 || 0 || 1 || 0 || 0.000 || 1.35 || 4 || 0 || 3 || 8 || 1 || 1 || 1.05 || ||<-2> '''[[KBO 리그|KBO]] 통산''' [br] (1시즌) || 4 || 6⅔ || 0 || 0 || 1 || 0 || 0.000 || 1.35 || 4 || 0 || 3 || 8 || 1 || 1 || 1.05 || == 여담 == * 팬 페스티벌에서 [[김건웅(2004)|김건웅]], [[이준희(야구선수)|이준희]]와 함께 '''[[여장남자|여장]]'''을 하고 '내게 다이브'라는 이름으로 출연해 [[IVE]]의 [[LOVE DIVE]], [[브레이브걸스]]의 [[롤린]], [[NewJeans]]의 [[Hype Boy]]를 춰서 당당히 1위를 차지했다. 당초 1위는 [[최강야구]]로 인해 팬덤이 미리 형성된 [[류현인]]과 [[이준명(2002)|이준명]], [[황의준]], [[정진호(2004)|정진호]]의 '오늘은 함께 놀조?' 팀이 유력했지만 아무도 예상치 못한 세 명의 여장으로 그 결과를 뒤집어 놓았다. [[https://youtu.be/ghuFCLsf7pM?t=3122|당시 영상]] [[https://youtu.be/uP-7G4_KORc?t=940|비하인드]]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2004년 출생]][[분류:2023년 데뷔]][[분류:수원시 출신 인물]][[분류:매향중학교 출신]][[분류:장안고등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kt wiz/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