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육군교육사령관)] ---- ||<:>{{{#FFFFFF '''역임한 직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제6군단장)] ---- [include(틀:국방비서관)] ---- [include(틀:국가위기관리센터장)]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4f22, #2A5034 20%, #2A5034 80%, #2a4f22)" '''[[육군교육사령관|{{{#FFF 대한민국 제60대 육군교육사령관}}}]][br]{{{#fff {{{+1 강건작}}}[br]Kang Geonjak}}}'''}}}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6군단장 강건작.jpg|width=100%]]}}} || ||<|2><#2A5034><:> '''{{{#fff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1989년]] ~ [[2023년]] || ||<#2A5034><:> '''{{{#fff 학력}}}''' ||<(> [[신성고등학교]] {{{-2 (졸업 / 9회)}}} || ||<#2A5034><:> '''{{{#fff 임관}}}''' ||<(> [[육군사관학교]] {{{-2 (45기)}}} || ||<#2A5034><:> '''{{{#fff 최종 계급}}}''' ||<(> [[중장]] {{{-2 (대한민국 육군)}}} || ||<#2A5034><:> '''{{{#fff 최종 보직}}}''' ||<(> [[육군교육사령관]] || ||<#2A5034><:> '''{{{#fff 주요 보직}}}''' ||<(> [[제6군단]]장[br][[국가안보실]] [[안보국방전략비서관|국방개혁비서관]][br][[국가안보실]] [[국가위기관리센터장]][br][[제28보병사단]]장[br][[한미연합군사령부]] 작전처장[br][[제3야전군사령부]] 작전과장[br][[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정책과장[br][[제3보병사단]] [[제22보병여단|제22연대]]장[br][[제11기계화보병사단]] 제112기보대대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육군]]의 [[장성]]으로 최종 계급은 [[중장]], 병과는 [[보병]], 직능은 [[작전]]이다. 또한, 마지막 [[제6군단|6군단]]장이기도 하다. == 생애 == [[경기도]] [[안양시]]에 위치한 [[신성고등학교]](9회)[* [[원천희]] 소장이 2년 후배다.]를 졸업하고 1985년 [[육군사관학교]] 45기로 입교하여 1989년 졸업과 함께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 == 주요 보직 == * '''대위''' *[[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s-3.3|33경비단]] 중대장 * '''소령''' * [[제3보병사단]] 수색대대 작전장교[* 당시 명칭상 작전장교이며, 현재의 작전과장과 같은 보직이다.] * [[육군대학]] 전술학 교관[* 군대 특성상 교육기관에서 교관을 하려면 해당 교육기관 수료 성적이 최상위권인 동시에 해당 직능 분야에서도 인정을 받아야 한다. 육군의 장성 진급 코스 가운데 학교장 보직은 [[한직|전역할 사람이 가는 보직]](물론 예외도 있다)이지만, 교관 보직은 진급 때 매우 유리하다.] * [[제11기계화보병사단]] 작전처 작전장교 * '''중령''' * [[제11기계화보병사단]] 제112기계화보병대대장 * '''대령''' * [[제3보병사단]] [[제22보병여단|제22보병연대장]][* 후임 연대장은 학군 출신의 임관동기인 [[신희현]] 대장([[제2작전사령관]])이다.] *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비서실장|비서실]] 정책과장 {{{-2 (2014)}}} * [[제3야전군사령부]] 작전처 작전과장 {{{-2 (2015)}}}[* 후임 [[심진선]]] * '''준장''' {{{-2 2015년 10월 1차 진급}}} * [[한미연합군사령부]] 작전참모부 작전처장[* 육군 준장 최고 요직 중 하나이다.][* 후임은 [[이규준]]] * '''소장''' {{{-2 2017년 12월 1차 진급}}} * [[제28보병사단]]장 {{{-2 (2018.01 ~ 2018.12)}}}[* 전임은 [[윤의철]], 후임은 [[이두희(군인)|이두희]]] * [[국가안보실]] [[국가위기관리센터장]][* 국군 소장 최고 요직 중 하나로 박근혜 정부부터 윤석열 정부까지 역임한 모든 인원이 진급에 성공했다.]{{{-2 (2018.12 ~ 2020.10)}}}[* 해군 [[이성열(군인)|이성열]] 제독에게 직을 넘겼다.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의 영향으로 해군이 기용된 듯 하다.][* 전임은 [[윤의철]], 후임은 [[이성열(군인)|이성열]]] * [[국가안보실]] [[안보국방전략비서관|국방개혁비서관]] 직무대리 {{{-2 (2020.10 ~ 2020.12)}}}[* 전임은 [[안준석]]] * '''중장''' {{{-2 2020년 12월 1차 진급}}}[* [[https://www.mnd.go.kr/user/newsInUserRecord.action?siteId=mnd&page=1&newsId=I_669&newsSeq=I_12334&command=view&id=mnd_020500000000&findStartDate=&findEndDate=&findType=title&findWord=&findOrganSeq=|#]]] * [[국가안보실]] [[안보국방전략비서관|국방개혁비서관]] {{{-2 (2020.12 ~ 2021.05)}}}[* 후임은 [[강신철]]] * [[제6군단장]] {{{-2 (2021.05 ~ 2022.12)}}}[* [[제28보병사단]]장의 직속상관직이다. 2022년 11월 30일 제6군단의 해체를 마무리 짓고 마지막 군단장으로 이름이 남게되었다.][* 전임은 [[박양동]]] * [[육군교육사령관]] {{{-2 (2022.12 ~ 2023.4)}}}[* 전임은 [[정철재]], 후임은 [[이규준]]] == 여담 == * 180cm 이상의 장신이다. [[제28보병사단]]장 이취임식 당시 사진을 보면 [[김성일(육군)|김성일]] 당시 6군단장보다 머리 하나가 크다. *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를 좋아한다고 한다. [[https://kookbang.dema.mil.kr/newsWeb/m/20180405/1/ATCE_CTGR_0020050023/view.do|#]] * [[문재인 정부]]의 장성 인사에서 청와대의 대표적 장성 보직인 [[국가안보실]] 소속의 [[안보국방전략비서관]]과 [[국가위기관리센터장]]을 거친 장군은 전원 진급했다. 문재인 정부의 마지막 군인사인 2021년 12월 9일 인사에서 이성열 소장과 강신철 소장까지 진급에 성공하여 청와대 불패의 기록으로 남게 되었다. * [[안보국방전략비서관]] * [[김도균(1965)|김도균]]: 임용 시 준장 → 소장 → 중장 * [[김현종(군인)|김현종]]: 임용 시 소장 → 중장 * [[안준석]]: 임용 시 중장 → 대장 * 강건작: 임용 시 소장 → 중장 * [[강신철]]: 임용 시 소장 → 중장 * [[국가위기관리센터장]] * [[윤의철]]: 임용 시 소장 → 중장 * 강건작: 임용 시 소장 → 국방개혁비서관 전보[* 이후 거기서 중장으로 진급하여 보직이 유지되었다.] * [[이성열(군인)|이성열]]: 임용 시 소장 → 중장 * [[이상학]]: 임용 시 소장 * 복무했던 부대에서의 평판이 '''매우''' 좋다. 킹건작, 갓건작 등의 긍정적 별명들이 많을 정도다. 실제로 11사단 대대장 시절, 3사단 연대장 시절, 평판이 매우 좋았다. 당장 백골부대 갤러리에서도 [[김운용(군인)|김운용]] 대장처럼 예비역들의 호평이 많다. 게다가 28사단장 때에는 [[윤의철|전임자]][* [[윤의철/논란|해당인물 논란]] 참조.]가 한국군 역사상 최악의 [[똥별]]을 논할 때 반드시 거론되는 역대급 인물인지라, 그에 대한 반발작용으로 더욱 평이 높다. [[https://youtu.be/Fm0Oq0480ZU|#1]] * 준장 시절 [[한미연합군사령부]] 작전참모부 작전처장[* 연합사 작전참모차장(소장)과 연합사 작전처장(준장)은 많은 진급자들을 배출한 [[요직]]이며 비육사 출신 부임 사례를 찾아볼 수 없다.]으로 재직 당시 소장으로 진급하여 28사단장 부임을 앞두고 있던 때 운전병이 28사단으로 함께 모시고 가겠다라고 전했는데, 병사 복지나 운전상황이나 서울이 더 좋으니 서울에 남아서 열심히 복무하라고 하였고, 28사단장으로 재직 시 서울에 볼일이 있어 잠깐 연합사 본청에 왔는데 당시 운전병과 재회하여 덕담을 주고 나눴었다. * [[제28보병사단]]장 시절 1년도 되지 않는 짧은 재임기간에도 열린 병영, 스스로 책임을 완수하는 통솔력으로 장병들의 칭송을 받아 왔으며, 덕장이자 현장으로 통했다. 특히 자신의 운전병을 굉장히 잘 챙겨줬는데, 운전병이 길을 잘못 들어도 절대 화를 내지 않았고 오히려 덕담을 해주고 자신이 직접 내비게이션이 되어주었다고 한다. * 여러 면에서 전임 사단장인 윤의철 장군과 비교되고 있는데, 윤의철 장군이 본인 이전에 취임했던 김승겸 장군이 만들어둔 모든 휴가를 없애버리고 특급전사 포상휴가만 남겨버렸는데, 강건작 장군은 사단장 부임 후 기존에 [[김승겸]] 장군이 짜뒀던 합리적인 포상, 보상휴가 프로그램을 복구시키고 훈련 간 병사들의 인권을 존중해주었다. 특히 종교행사 참여 마일리지가 없어서 병사들이 힘들어 했는데 20번 참석에 휴가 1일을 만들었다. * 그리고 윤의철 장군이 단순히 훈련량만 생각하여 보급과 비전투 병력손실을 무시하고 훈련을 강행시켰다면, 강건작 장군은 훈련의 질 향상에 집중하여 불필요한 훈련을 최소화하고 최신 자료를 토대로 훈련방침을 세웠으며, 최소화한 훈련은 정신교육으로 대체했다. * 인품 및 평판과는 별개로 [[문재인 정부]] 시절 청와대에서 근무한 이력[* 국가위기관리센터장 재임 당시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이 발생했다.] 때문에 결국 대장 진급은 육사 45기 동기인 [[전동진(군인)|전동진]], [[안병석]] 장군 그리고 임관 동기인 학군 27기 출신 [[신희현]] 장군이 하게 되었다. * [[2022년]] [[12월]]에 6군단 해체와 동시에 교육사령관으로 전보되었으며, [[2023년]] [[4월]] 교육사령관 후임으로 육사 1기수 후배인 [[이규준]] 중장이 임명됨에 따라 최종계급 중장으로 예편하였다.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 국군/인물]] * [[육군사관학교/출신 인물]] [[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신성고등학교 출신]][[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국방비서관]][[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1966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