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헌 국회의원/경상남도)] [[분류:1905년 출생]][[분류:1981년 사망]][[분류:제헌 국회의원]][[분류:부산15구락부 국회의원]][[분류:1981년 사망]][[분류:하동군 출신 인물]]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399 23%, #fff 23%, #fff 77%, #F9D537 77%)" '''{{{#003399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br]{{{#003399 {{{+1 강달수}}}[br]姜達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강달수.jpg|width=100%]]}}} || ||<|2> '''출생''' ||[[1905년]] [[5월 18일]] || ||[[경상남도]] [[하동군]] || || '''사망''' ||[[1981년]] [[6월 24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姜達秀 1905년 5월 18일 ~ 1981년 6월 24일 대한민국의 前 정치인이다. == 생애 == 1905년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고이리[[http://db.history.go.kr/id/im_101_00044|#]]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유암(有菴) 이후림(李厚林)에게서 한문을 수학한 바 있으며, 소학교를 졸업하였다. 이후 농업에 종사하였다. 광복 이후 [[한국민주당]] 진주지당(晉州支黨) 창립위원으로 활약하였으며,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진주지부장,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전라북도 남원군지부 연락부장, 대한독립촉성농민총연맹 경상남도 도연맹 조직부장, [[조선민족청년단]] 경상남도 사천군 고문 등을 지내며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였다. 그리고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 [[부산15구락부]] 후보로 경상남도 제26선거구([[하동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제헌 국회에서 국회산업위원회 위원을 겸임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일민구락부]] 후보로 경상남도 하동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이상경(1902)|이상경]]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국회의원 임기가 끝난 후에는 신탁은행, 밀양수리조합계에서 근무하는 한편, 1951년에는 권영집(權寧執), 정희조(鄭禧祚) 등의 지역 유지들 및 지역민들과 함께 하동 출신의 [[정기룡]] 장군을 기리는 경충당(景忠堂)유지위원회를 발기하고 향례의 준비를 갖추는 등 지역사회활동에도 관심을 소홀히 하지 않았다. 이후 1954년에 밀양수리조합 조합장으로 재임하고 있었으며, 1967년에는 하동중학교 교장으로 있었다. == 선거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선거구 || 소속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2> [[경남]] [[하동]] || [include(틀:부산15구락부)] || '''17,014 (35.42%)''' || '''당선(1위)''' || '''초선''' || || 1950년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일민구락부)] || 3,720 (7.87%) || 낙선(4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