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릉고등학교|[[파일:강릉고 야구부_배경제거.png|width=30]]{{{#3594d3 '''강릉고등학교 야구부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include(틀:고교야구 주말리그/경기·강원(전반기))] [include(틀:고교야구 주말리그/경기·강원(후반기))] }}}}}} || ||<-2>
[[파일:his_img0277.jpg|width=100%]] || ||<-2> {{{#ffffff '''강릉고등학교 야구부'''}}}[br]{{{#fff '''(Gangneung High School)'''}}} || || {{{#000000 '''창단'''}}} || [[1975년]] || || {{{#000000 '''소속 리그'''}}} || 경기·강원권 || || {{{#000000 '''감독'''}}} || [[최재호(야구감독)|최재호]] || || {{{#000000 '''우승 기록'''}}}[* 4대 메이저 + 협회장기] || 2회 || || {{{#000000 '''홈페이지'''}}} || [[http://ganggo.gwe.hs.kr/boardCnts/list.do?boardID=20349&m=1001&s=gnhs|[[파일:external/67.media.tumblr.com/tumblr_o8kax4zrJR1sqk8veo4_r1_100.png|width=15]]]] || ||<-2> [include(틀:지도, 장소=강릉고등학교, 너비=100%, 높이=225px)] || ||
{{{#fff '''대회'''}}} || {{{#fff '''우승'''}}} || {{{#fff '''준우승'''}}} || {{{#fff '''4강'''}}} || ||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 || 1회(2020) || - || - || ||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청룡기]]''' || - || 2회(2007, 19) || 1회(1987) || ||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황금사자기]]''' || 1회(2021) || 1회(2020) || 1회(2023) || ||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 || - || 2회(2019, 22) || 1회(2021) || || '''[[신세계 이마트배 전국고교야구대회|이마트배]]''' || - || 1회(2023) || - || ||<-5>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2020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 || [[대구고등학교 야구부|대구고등학교]] || → || '''강릉고등학교''' || → || [[충암고등학교 야구부|충암고등학교]] || ||<-5>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000000 2021년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김해고등학교 야구부|김해고등학교]] || → || '''강릉고등학교''' || → ||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등학교]] || [목차] [clearfix] == 개요 == [[강원특별자치도]] 지역의 4개 고등학교 야구부(강릉고, [[강원고등학교 야구부|강원고]], [[설악고등학교 야구부|설악고]], [[원주고등학교 야구부|원주고]])[* 원래 강원지역 고교 야구부는 [[춘천고등학교 야구부|춘천고]]까지 5개 학교였지만 춘천고 야구부는 2007년 해체됐다.] 중 가장 연혁이 길다. [[1차 지명]]이 시행되던 시절의 연고구단은 여러 구단을 거쳐 마지막은 [[삼성 라이온즈]]였다.[* 과거 광역 연고제 시절 인천 연고팀의 연고지 범위는 인천광역시를 넘어 경기도와 강원도, 이북5도까지 아울렀고, 1차 지명 신인 우선지명 연고지도 인천, 경기, 강원지역이었다. 도시 연고제가 실시되었지만 이와 별개로 2013년 kt wiz의 창단과 함께 1차 지명이 부활하면서 강원도는 영동 지역 학교와 영서 지역 학교 두 구분으로 나뉘어져 강릉고를 포함한 영동 지역은 삼성으로, 영서 지역은 한화로 관할 구단이 결정되었다.] 1983년 [[청룡기]]에서 처음으로 8강에 올랐고, 1987년 청룡기에서 처음으로 4강에 올랐다. 당시의 에이스는 훗날 LG 트윈스에서 활동한 적이 있는 좌완투수 민원기와 2학년 우완투수 박상근이었다. 4강에서 명문 경남고와 치열한 접전을 벌였지만, 아쉽게 12회 연장 끝에 10:11로 패하면서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1996년 지역 내 중학야구부인 경포중학교가 전국 무대를 제패했고 이 멤버들이 강릉고에 진학하여 1999년 제법 강팀이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투수력이 좋지 않아서 지역 대회인 [[대붕기 전국고교야구대회|대붕기]] 4강으로만 만족해야 했다. 2007년 청룡기에서 [[홍성민]]을 필두로 한 투수진의 활약 속에 야구부 역사상 처음으로 결승까지 올랐는데, 동문들의 열화와 같은 성원에도 불구하고 워낙 전력이 강했던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에게 패하면서 첫 우승의 꿈은 무산되었다. 이후로는 다시 약체 팀으로 접어들어 프로 선수도 아주 간간히 배출하며 소소한 존재감만 드러내던 강릉고 였으나... 2010년대 후반~2020년대에 이르러 '''전국구 강호로 등극하며, 야구부 역사상 최고의 중흥기를 맞고 있다.''' == 중흥기 == ||
'''{{{+1 {{{#fff 강릉에 되살아난 야구 열정}}}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강릉고_야구부_1_수정.jpg|width=100%]]}}} || 2016년 부임한 [[최재호(야구감독)|최재호]] 감독은 서울 명문고들에서 오랫동안 감독을 했던 연을 통해 전국단위 스카우트로 유망주들을 모았다. 그리고 많은 연습량을 통해 기본기가 좋은 팀, 수비력이 단단한 팀, 작전야구를 잘 구사하는 팀으로 팀컬러를 바꾸면서, 야구의 불모지로 알려진 [[강원도]]에서 가장 명망 있는 학생 야구부를 개척해내었다. === 2019년 : 전국대회 준우승 2회 === * [[청룡기]]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광주일고]]에 예상 외로 7-0 콜드게임승을 거둔데 이어 8강전에서 [[제물포고등학교 야구부|제물포고]]에 14-7로 승리하며 2007년 이 대회 준우승 이후 12년 만에 전국대회 4강에 올랐다. 준결승에서는 마운드의 우위를 앞세워 [[개성고등학교 야구부|개성고]]에 5-2로 승리하며 결승에서 [[유신고등학교 야구부|유신고]]와 만나게 됐다. 그러나 팀의 주축 투수인 2학년 [[김진욱(2002)|김진욱]][* 2021년도 신인 2차 지명에서 전체 1순위 후보로 일찌감치 꼽히고 있다. [[수원북중학교]]를 졸업하고 강릉고에 진학해 1차 지명 불가.]이 준결승에 71구를 던져 등판하지 못하게 됐고 경기 초반부터 마운드가 무너지면서 0-7로 패해 다시 준우승에 머물렀다. *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 1회전 부전승의 행운을 얻었고[* 청룡기 결승전에 맞대결한 [[유신고등학교 야구부|유신고]]도 1회전을 부전승으로 통과했다.--뽑기도 잘하는 우승팀, 준우승팀--] 2회전에서 [[김진욱(2002)|김진욱]]의 호투에 힘입어 우승후보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고]]를 3-2로 제압하고 16강전에 진출했다. 16강전에서 홈팀 [[세광고등학교 야구부|세광고]]에게 패배했다. *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 기세를 이어가면서 4강에 오른 강릉고는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와의 준결승에서 9회까지 2-2로 승부를 가리지 못하면서 연장전 [[승부치기]]로 넘어갔다. 10회와 11회에도 서로 동점을 주고받으면서 7-7 상황에서 맞은 12회초에 주장 홍종표의 쐐기 3점홈런, 2루수 이동준의 싹쓸이 3타점 2루타 등 대거 11득점을 하였고 12회말 경남고의 공격을 무실점으로 막아내면서 18-7로 승리하였다. 결승전에서 [[성남고등학교 야구부|성남고등학교]]를 꺾고 올라온 [[휘문고등학교 야구부|휘문고등학교]]와 맞붙게 되었다. 경기전 전망에서는 강릉고가 2학년이자 에이스인 [[김진욱(2002)|김진욱]]이 8강전에서 정확히 60개만 던졌기에 결승에 나올수 있는 반면 휘문고는 [[이민호(2001)|이민호]]가 청소년대표팀에 차출된데다가 넘버2라고 할 수 있는 [[박주혁]]도 못 나오기 때문에 강릉고가 유리했었으나 연장 접전 끝에 역전패를 하며 청룡기에 이어 또 다시 준우승의 분루를 삼켜야했다. * [[전국체전]] 지역 대표로 참가한 전국체육대회에서 다시 우승을 노렸으나 [[김진욱(2002)|김진욱]]이 투구 수 제한 때문에 나오지 못한 준결승에서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고]]에 1-6으로 패하며 시즌을 마감했다. 김진욱은 2019시즌 최다 투구 이닝(91이닝) 및 최다 투구 수(1312개)를 기록했다. === 2020년 : 창단 첫 전국대회 우승 === * [[황금사자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여파로 예정보다 늦게 시작한 황금사자기 2회전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광주일고]]와의 경기에서 에이스 [[이의리]]가 선발로 나선 광주일고와는 달리 강릉고는 [[김진욱(2002)|김진욱]]을 대기시키고 [[엄지민]]을 선발로 냈으나 초반에 볼넷을 거푸 허용하자 김진욱을 투입했고 오랜만의 실전이어서인지 컨디션은 좋지 않았으나 104구 6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역투, 승리를 거두었다. [[서울컨벤션고등학교 야구부|서울컨벤션고]]와의 16강전에서 승리를 거두고 8강에 진출했으나 9-1까지 앞서던 경기를 9-6까지 따라잡혔다가 간신히 11-7로 이겼기에 [[경기상업고등학교 야구부|경기상고]]를 만나는 8강전에서 김진욱의 부담감이 더욱 커졌다. [[최재호(야구감독)|최재호]] 감독은 팀이 탈락 위기에 놓이지 않은 이상 김진욱을 60개 이내로 투구수를 조절한다고 밝혔다. 8강전에서는 3-0으로 앞서다가 동점을 허용했으나 6회말 스퀴즈 번트로 결승점을 올리며 어렵게 승리했다. 네 번째 투수로 6회부터 올라 온 [[김진욱(2002)|김진욱]]은 4이닝 10K를 기록했고 투구 수를 47개로 끊으며 [[대전고등학교 야구부|대전고]]와의 준결승 등판이 가능하게 됐다. 강릉고의 황금사자기 4강전 진출은 이번 대회가 처음이다. 대전고와의 4강전에서 엄지민이 5와 1분의 3이닝 2피안타 4K 무실점을 기록했고 결국 9:3으로 꺾으면서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결승전 상대는 [[광주진흥고등학교 야구부|광주진흥고]]를 3:0으로 꺾고 올라온 [[김해고등학교 야구부|김해고]]. 결승에서 [[김진욱(2002)|김진욱]]이 구원 등판하여 역시 구원등판한 상대팀 에이스인 [[김유성(야구선수)|김유성]]과 맞붙어 삼진 11개를 잡으며 호투해 8회까지 1-3으로 앞섰으나 김진욱이 투구수 제한 규정에 걸려 한계 투구수인 105구까지만 던지고 내려간 뒤 후속 투수가 연속으로 실점해 역전당하며 또 다시 우승 문턱에서 좌절했다. 우승에 필요한 아웃 카운트 단 1개, 심지어 투 스트라이크까지 잡았음에도 결승전의 긴장감을 이기지 못해 실점하고 말았다. [[최재호(야구감독)|최재호]] 감독은 경기 후 인터뷰에서 김진욱의 뒷심이 다소 부족했던 것,[* 흔들리지 않았다면 한계 투구수 안에서 경기를 스스로 마무리 지을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타자들의 스윙이 커진 것을 패인으로 꼽았다. [[김진욱(2002)|김진욱]]은 남은 대회(대통령배, 봉황대기)에서는 우승을 목표로 하겠다고 각오를 다시 다졌다. *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 32강에서 [[순천효천고등학교 야구부|순천효천고]]를 6:0, 16강전에서는 [[신흥고등학교 야구부|신흥고]]를 13:2 5회 콜드게임으로 승리하였다. 8강에서는 우승후보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를 7:0 7회 콜드게임승으로 이기면서 준결승에 진출. 상대는 창단 첫 4강에 오른 [[서울디자인고등학교 야구부|서울디자인고]]였다. 하지만 전력상으로는 강릉고가 확실한 우위였고, 예상대로 9:0로 완파하면서 결승에 올랐다. 결승전 상대는 [[신일고등학교 야구부|신일고]]. 강릉고와 신일고 모두 대통령배 첫 우승 도전이다.[* [[신일고등학교 야구부|신일고]]는 전국대회 12회 우승을 경험했지만(황금사자기 8회, 청룡기 및 봉황대기 각 2회) 유독 대통령배와는 인연이 없었다.] 강릉고가 [[김진욱(2002)|김진욱]]의 힘을 비축한 반면 신일고는 준결승에서 [[대구상원고등학교 야구부|상원고]]를 상대로 상당한 소모전을 치렀기에 강릉고가 매우 유리하지만 공은 둥글기에 끝까지 봐야 한다. 결승에서 초반에 고전했지만 6회부터 8회까지 6점을 뽑으며 7-2로 승리, 드디어 '''창단 첫 메이저 전국대회 우승'''이자 '''강원 지역 고교 팀 최초의 우승'''을 달성했다. === 2021년 : 창단 첫 황금사자기 및 전국체전 우승 === 1월에 국내 최고 수준의 실내 연습장을 완공하였다.[[https://blog.naver.com/jde_users/222210672307|#]] 인프라 개선, 우수자원 스카우트 등을 바탕으로 올해도 좋은 성적을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https://www.mbcsportsplus.com/news/?mode=view&cate=1&b_idx=99776174.000#07D0|#]] * [[황금사자기]] 3연승을 거두며 8강에 진출하였다. 8강에서 SSG의 유력한 1차지명 후보인 [[윤태현]]과 독특한 투구폼으로 주목을 받는 [[한지웅]]의 [[인천고등학교 야구부|인천고]]를 꺾고 4강에 진출하였다. 준결승에서는 [[유신고등학교 야구부|유신고]]를 만났는데 1-1 동점 상황에서 등판한 2021년 무실점 행진중의 [[박영현]]에게 2득점을 냈고 [[엄지민]]-[[최지민]] "투지민" 듀오의 절묘한 계투로 3-2 한점차 승리를 거뒀다. 여러 차례 실점 위기가 있었으나 거미줄 같은 수비망으로 득점을 차단한 것이 백미였다. 결승전에서는 [[대구고등학교 야구부|대구고]]를 만나 8회초 무사 1-2루 위기에서 5-4-3 [[삼중살]]을 성공시키는 등 13:4로 승리하며 전년도 준우승의 아쉬움을 풀고 '''황금사자기 첫 우승'''이자 통산 두 번째 전국대회 우승을 달성했다.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020/0003363932|#]] *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 2년 연속 우승을 노렸으나 8강전에서 라온고에 3:7로 패해 탈락했다. * [[전국체전]] 강원도 대표로 참가한 전국체육대회에서는 16강전에서 제주고에 9:2 콜드게임 승, 우천으로 인해 추첨으로 진행된 8강전에서 인천고에 행운의 추첨승을, 준결승에서 포항제철고 6:0, 결승에서 대전고를 6:2로 누르고 '''한 해 두번째 우승'''을 차지했다.[[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ws&sm=tab_jum&query=%EA%B0%95%EB%A6%89%EA%B3%A0+%EC%95%BC%EA%B5%AC%EB%B6%80+%EC%9A%B0%EC%8A%B9|“강원 고교야구사 첫 우승 강릉고 선수들 자랑스러워"]][[https://www.g1tv.co.kr/news/?mid=1_207_6&newsid=254758|강릉고 최재호 야구감독]] *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 11월 1, 2학년 선수들만 출전한 봉황대기에서 난적 서울고를 16강에서 제압하고, 8강전에서 북일고에게 패배 직전까지 몰렸으나 극적으로 역전에 성공해 4강에 진출했다. 하지만 4강에서 유신고를 만나 아쉽게 패배하며 탈락했다. === 2022년 === * [[신세계 이마트배 전국고교야구대회|이마트배]] 4월 신세계 이마트배 32강전에서 [[장충고등학교 야구부|장충고]]에 1-4로 패하며 탈락했다. * [[황금사자기]] 5월 황금사자기 16강전에서 [[마산고등학교 야구부|마산고]]에 3-6으로 패하며 탈락했다. * [[청룡기]] 7월 청룡기 8강전에서 [[배재고등학교 야구부|배재고]]에 2-5로 패하며 탈락했다. *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 8월 대통령배 32강전에서 [[안산공업고등학교 야구부|안산공고]]에 9-10으로 패하며 탈락했다. *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 8~9월 봉황대기에서 4강까지 올랐다. 준결승 [[장충고등학교 야구부|장충고]]와의 리매치에서 10-2로 승리를 거두고 3년 만에 이 대회 결승에 진출했다. 추석 연휴가 끝난 뒤 열린 결승은 29년 만의 봉황대기 우승을 노리는 강릉고와 22년 만의 전국대회 우승을 노리는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고]]의 대결이었는데, 0-1로 아쉽게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 [[전국체육대회(야구)|전국체전]] 인천고에 패하며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 2023년 === * 이마트배 시즌 첫 대회인 신세계 이마트배에서 경기고, 소래고, 부천고, 군산상일고, 대구상원고, 장충고를 차례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으나 덕수고에 끝내기 패배를 당해 준우승에 머물렀다. * 황금사자기 1회전에서 도개고에 4-2로 승리했다. 2회전(32강전)에서 안산공고에게 9-0으로 승리했다. 16강전에서 율곡고에 2-1로 승리했다. 8강전에서 성남고에게 10-3(7회 콜드게임)으로 승리했다. 준결승에서 부산고에 1-6으로 패했다. * 청룡기 1회전에서 전주고에 3-2으로 힘겹게 승리했다. 2회전(32강전)에서 원주고에 단 1개의 안타만 허용하며 2-0으로 승리했다. 16강전에서 안산공고에 11-1(6회 콜드게임)으로 승리했다. 8강전 상대 유신고에게 초반부터 대량실점하며 어렵게 추격전을 전개했지만 5-10으로 패했다. == 여담 == * 2010년대 후반 들어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광주일고]]의 천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18년 청룡기에서는 20연승을 달리던 광주일고를 2회전에서 만나 연승행진을 스톱시켰고, 2019년 청룡기에서는 18년간 전국대회 콜드게임패가 없던 광주일고에게 콜드게임패를 안겼다. 2019년 봉황대기 8강전에서 다시 만난 광주일고를 8-3으로 제압했다. 그리고 2020년 황금사자기 2회전에서 다시 광주일고와 만나 5-0으로 승리했다. * [[최재호(야구감독)|최재호]] 감독 부임 이후 좋은 성적을 거두면서 도민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http://www.kwnews.co.kr/nview.asp?s=701&aid=219082100067|관련기사1]][[http://www.kwnews.co.kr/nview.asp?s=701&aid=219071500152|관련기사2]][[http://www.kado.net/?mod=news&act=articleView&idxno=978482|관련기사3]][[http://www.kwnews.co.kr/nview.asp?s=501&aid=219072100008|관련기사4]] 최재호 감독은 전형적인 올드 스쿨 스타일의 지도자로, 위에서 언급했듯이 김진욱을 투구 수 제한이 강화된 와중에도 2019년에 최다 투구 이닝 및 최다 투구 수를 기록하게 하면서 우려를 사고 있었으나 2020년 대통령배 우승 이후에는 김진욱을 더 이상 등판시키지 않겠다며 보호하는 모습도 보였다. * 최재호 감독이 적극적으로 수도권 지역 중학교 유망주들을 스카우트하였다. 경기도와 인천 출신 선수들의 비율이 높은 편이다. 이것 때문에 곱지 않은 시선을 받기도 하지만 지역 초등, 중학야구 기반이 워낙 취약한 것이 현실이라...[* 지역 내 기반 유스야구가 취약할 경우 타 도시에서의 선수수급이 불가피한데 그것에 대해서 부정적인 시선을 보낸다면 '[[아오안|자기 지역의 유스야구 상황을 모른다]]'는 것일 수도 있고, 아니면 '못하는 건 알아도 [[핌피|지역 선수가 우선]]'이라고 보는 것일 수도 있다. 선수가 없어서 고통받다 터진 [[글로벌선진학교 야구부|경북 팀]]이나, 지금도 고통받는 [[제주고등학교 야구부|제주 팀]] 등을 보고도.] 2022년에 입학한 13명의 신입생 중 지역 출신이 단 1명, 2023년 입학생 15명 중에서는 2명에 불과할 정도다. 2018년 스카우트 된 선수들중에는 배우 [[최현욱]]도 있다. * 동문들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신축한 전국 최대 규모의 실내연습장을 보유하고 있다. 높이 18m, 가로 45m, 세로 40m이며 공사비로 무려 23억원이 소요됐다. LG 트윈스의 2군 스프링 캠프 및 [[세계청소년야구선수권대회]]를 앞둔 대표팀의 훈련 캠프도 이 곳에서 차렸다. * 함학수, 박준태, [[공용우]]가 차례대로 감독직을 역임한 바 있다. * 2019년, 3학년 외야수 오세현과 내야수 [[홍종표]]가 SNS에 당시 SK 재활 코치였던 [[전병두]]를 조롱하는 댓글을 단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물의를 빚은 바 있다. 뒤이어 홍종표가 2019년 SK의 홈 개막 경기 때 치른 SK 야구 꿈나무 장학금 전달 행사에서 고교부 우수상을 받은 사실도 논란이 되었다. SK 구단에서는 성적 순으로 결정했다며 SNS 건을 미처 확인하지 못했다고 사과했다. 홍종표는 청룡기 결승전 직후 "[[http://www.apsk.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96|모두 내 잘못이다. 앞으로는 절대 그런 일이 없도록 자숙하겠다.]]"라고 밝혔지만 여전히 팬들의 시선은 따갑다.[* 팬들은 "절대 전병두 선배님을 지칭한 게 아닌데......"라는 부분을 문제삼고 있다. 진정한 반성이 아니라는 것.] == [[강릉고등학교 야구부/연도별 상세 성적|연도별 상세 성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강릉고등학교 야구부/연도별 상세 성적)] == 출신 선수 == 나무위키 등록 선수 한정. 졸업 연도 순. ||<-4>
{{{#ffffff '''출신 선수'''}}} || || '''{{{#000 이름}}}''' || '''{{{#000 포지션}}}''' || '''{{{#000 프로입단}}}''' || '''{{{#000 경력}}}''' || || [[김민범]] || 투수 || 1992년 연고지명 ||[[태평양 돌핀스|태평양]](1992~1995)-[[현대 유니콘스|현대]](1996~2007)-[[우리 히어로즈|우리]](2008) || || '''[[이재주]]''' || 포수 || 1992년 연고지명 ||[[태평양 돌핀스|태평양]](1992~1995)-[[현대 유니콘스|현대]](1996~2001)-[[KIA 타이거즈|KIA]](2002~2009) || || [[최혁길]] || 투수 || 2004년 [[신고선수|육성선수]] 입단 ||경남대-[[SK 와이번스|SK]](2004~2005) || || '''[[박성훈(야구)|박성훈]]'''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1년/신인드래프트|2001년 4라운드]] ||한양대-[[삼성 라이온즈|삼성]](2005~2009)-[[넥센 히어로즈|넥센]](2010~2015) || || [[김현우(1988)|김현우]]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0년/신인드래프트|2010년 2라운드]] ||세계사이버대-한민학교-[[삼성 라이온즈|삼성]](2010~2017) || || '''[[홍성민]]'''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2년/신인드래프트|2012년 6라운드]] ||한양대-[[KIA 타이거즈|KIA]](2012)-[[롯데 자이언츠|롯데]](2013~2019)-[[NC 다이노스|NC]](2020~2022)-[[키움 히어로즈|키움]](2023) || || [[김결의]][* 개명 전 이름은 김융.] || 포수 || [[KBO 리그/2016년/신인드래프트|2016년 2차 9라운드]] ||성균관대-[[삼성 라이온즈|삼성]](2016~2021) || || [[김승현(1992)|김승현]] || 투수 || [[KBO 리그/2016년/신인드래프트|2016년 2차 1라운드]] ||건국대-[[삼성 라이온즈|삼성]](2016~2022)-[[KIA 타이거즈|KIA]](2023~) || || '''[[조수행]]''' || 외야수 || [[KBO 리그/2016년/신인드래프트|2016년 2차 1라운드]] ||건국대-[[두산 베어스|두산]](2016~) || || '''[[박진형]]'''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3년/신인드래프트|2013년 2라운드]] ||[[롯데 자이언츠|롯데]](2013~) || || [[박주찬]] || 포수 || 2019년 [[육성선수]] 입단 ||동아대-[[NC 다이노스|NC]](2019, 2023~)|| || [[박관진]] || 투수 || [[KBO 리그/2020년/신인드래프트|2020년 2차 5라운드]] ||인하대-[[키움 히어로즈|키움]](2020~2022) || || [[정덕현]] || 투수 || [[KBO 리그/2016년/신인드래프트|2016년 2차 5라운드]] ||[[두산 베어스|두산]](2016~2019) || || [[김시현(야구선수)|김시현]] || 투수 || [[KBO 리그/2017년/신인드래프트|2017년 2차 3라운드]] ||[[삼성 라이온즈|삼성]](2017~) || || [[문대원]] || 투수 || [[KBO 리그/2017년/신인드래프트|2017년 2차 4라운드]] ||[[두산 베어스|두산]](2017~) || || [[권민석(야구선수)|권민석]] || 내야수 || [[KBO 리그/2018년/신인드래프트|2018년 2차 10라운드]] ||[[두산 베어스|두산]](2018~) || || [[이인한]] || 외야수 || [[KBO 리그/2020년/신인드래프트|2020년 2차 9라운드]] ||강릉영동대-[[KIA 타이거즈|KIA]](2020~2022) || || [[서장민]] || 투수 || [[KBO 리그/2019년/신인드래프트|2019년 2차 7라운드]] ||[[삼성 라이온즈|삼성]](2019~2020) || || [[신학진]] || 투수 || [[KBO 리그/2020년/신인드래프트|2020년 2차 10라운드]] ||[[롯데 자이언츠|롯데]](2020~2022) || || [[이믿음]] || 투수 || [[KBO 리그/2021년/신인드래프트|2021년 2차 4라운드]] ||강릉영동대-[[LG 트윈스|LG]](2021~) || || [[임성준(야구선수)|임성준]] || 투수 ||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2022년 2차 8라운드]] ||강릉영동대-[[SSG 랜더스|SSG]](2022~) || || [[홍종표]] || 내야수 || [[KBO 리그/2020년/신인드래프트|2020년 2차 2라운드]] ||[[KIA 타이거즈|KIA]](2020~) || || [[김선우(2001)|김선우]] || 포수 || [[KBO 리그/2021년/신인드래프트|2021년 2차 9라운드]] ||[[KIA 타이거즈|KIA]](2021~) || || [[김진욱(2002)|김진욱]] || 투수 || [[KBO 리그/2021년/신인드래프트|2021년 2차 1라운드]] ||[[롯데 자이언츠|롯데]](2021~) || || [[김세민(2003)|김세민]] || 내야수 ||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2022년 2차 3라운드]] ||[[롯데 자이언츠|롯데]](2022~) || || [[정준재]] || 내야수 || [[KBO 리그/2024년/신인드래프트|2024년 5라운드]] ||동국대-[[SSG 랜더스|SSG]](2024~) || || [[차동영]] || 포수 ||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2022년 2차 3라운드]] ||[[삼성 라이온즈|삼성]](2022~) || || [[최지민]] || 투수 ||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2022년 2차 1라운드]] ||[[KIA 타이거즈|KIA]](2022~) || || [[김예준(야구선수)|김예준]] || 내야수 || [[KBO 리그/2023년/신인드래프트|2023년 11라운드]] ||[[한화 이글스|한화]](2023~) || || [[조경민]] || 투수 || [[KBO 리그/2023년/신인드래프트|2023년 8라운드]] ||[[롯데 자이언츠|롯데]](2023~) || || [[육청명]] || 투수 || [[KBO 리그/2024년/신인드래프트|2024년 2라운드]] ||[[kt wiz|KT]](2024~) || || [[조대현(2005)|조대현]] || 투수 || [[KBO 리그/2024년/신인드래프트|2024년 1라운드]] ||[[KIA 타이거즈|KIA]](2024~) || == 둘러보기 == [include(틀: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include(틀: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분류:대한민국의 고교야구]][[분류:1975년 창단]][[분류:강릉시 연고 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