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강릉시의 관광)] [include(틀:한국의 정원)] ||<-2> {{{#000000 {{{+1 '''강릉선교장'''}}}[br](江陵船橋莊)}}} || || '''주소'''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운정길 63 || || '''공식[br]홈페이지''' || [[https://knsgj.ne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https://www.instagram.com/seongyojang_gangneun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강릉선교장, 너비=100%, 높이=225p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선교장 중문 문화재청.jpg|width=100%]]}}} || || 선교장의 문들 ||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Elp2-zkQT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2j-pv0jQlc)]}}}|| || 선교장 소개 영상 || 선교장(船橋莊)은 [[강릉시]] 운정동에 위치한 [[조선시대]] [[사대부]]가 [[한옥]] 고택으로 1967년 4월 20일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국가민속문화재]] 5호로 지정되었다. 이는 민가주택 중 최초로 지정된 것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선교장 한국관광공사.jpg|width=100%]]}}} || || 선교장 전경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선교장 배치도 강릉 선교장 홈페이지.jpg|width=100%]]}}}|| || 선교장 안내도 || 현존하는 국내 민가주택 문화재중 손꼽히는 규모를 자랑하는 대저택이다. 선교장이라는 명칭은 근처 [[경포도립공원|경포호]]를 [[부교|배다리]]로 만들어 다닌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 역사 == 3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효령대군]]의 11대손인 가선대부 무경 이내번이 족제비떼를 따라 가다가 명당자리를 발견해 터를 잡았다. [[1703년]] 선교장에서 최초로 건립된 안채주옥을 시작으로 18, 19세기 동안 지속적으로 증축되어 영동 지역을 대표하는 대저택이 되었다. 조선 후기 [[관동팔경]]과 [[금강산]]을 유람하는 길목에 있었기 때문에 각지에서 풍류가들이 찾아와 묵었고 선교장을 방문하는 손님들을 환대해 교류의 장으로 유명해졌다. 선교장의 서별당은 한국전쟁 때 소실되어 1996년 11월 복원되었다. == 주요 건물 == === 활래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선교장 활래정 2014년2 국립민속박물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선교장 활래정 2014년 국립민속박물관.jpg|width=100%]]}}}|| || 2014년 활래정 || 활래정은 1816년에 지어진 건물이다. 활래정의 활래는 주자의 시 관서유감의 한 구절인 위유원두''''활''''수''''래''''(爲有源頭''''活''''水''''來'''')에서 따온 것이다. === 안채와 동별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선교장 본채 전경3 광복 이후 국립민속박물관.jpg|width=100%]]}}} || || 광복 이후 안채와 동별당[* 오른쪽 뒤에 보이는 건물은 사당이다.] || 안채는 1703년 지어진 건물이다. === 열화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선교장 열화당 전경 국립민속박물관.jpg|width=100%]]}}} || || 광복 이후 열화당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선교장 열화당 한국관광공사(공공누리).jpg|width=100%]]}}} || || 열화당 현재 모습 || 열화당은 1815년 지어진 건물로 선교장의 큰 사랑채이다. 열화당의 차양시설은 러시아 공사관에서 선물로 기증한 것으로 러시아 양식의 차양시설이다. == 관람 == * 입장료 || {{{#white 입장 요금}}} || {{{#white 개인}}} || {{{#white 단체[* 30명 이상]}}} || || {{{#white 어른[* 19세~64세]}}} || 5,000원 || 3,500원 || || {{{#white 할인대상[* 청소년(14~18세)/ 병역명문가 / 65세이상 경로 / 군인 / 경찰 / 장애인 / 국가유공자] }}} || 3,000원 || 2,000원 || || {{{#white 어린이}}} || 2,000원 || 1,000원 || * 관람시간 *하절기(3월~10월) 09:00 ~ 18:00 *동절기(11월~2월) 09:00 ~ 17:00 내부에 [[카페]]와 [[한식당]]이 있으며 한옥스테이로 숙박도 가능하다. 전통문화체험 프로그램도 마련되어있다. == 주변 관광지 == 해운정, [[경포도립공원|경포호]], [[경포해수욕장]], [[오죽헌]], [[참소리축음기·에디슨과학박물관]], 초당순두부마을 등이 있다. == 기타 ==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을 유치할때 강릉을 방문한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들의 호평이 자자했다고 한다. [[분류:조선/건축]][[분류:강릉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