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3리그)]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6ab5 20%, #50b948 20%, #50b948 40%, #076ab5 40%, #076ab5 60%, #50b948 60%, #50b948 80%, #076ab5 80%)" [[파일:강릉시민축구단 엠블럼.svg|height=270]]}}} || ||<-2> '''{{{+1 {{{#ffffff 강릉시민축구단}}}}}}''' || ||<-2> '''{{{+1 {{{#ffffff Gangneung Citizen FC}}}}}}''' || || '''{{{#ffffff 정식 명칭 }}}''' ||강릉시민축구단 || || '''{{{#ffffff 법인명 }}}''' ||재단법인 강릉시민축구단 || || '''{{{#ffffff 창단 }}}''' ||[[1999년]] [[5월 6일]] ^^([age(1999-05-06)]주년)^^ [br] [[2021년]] [[3월 5일]]^^재창단 ([age(2021-03-05)]주년)^^ || || '''{{{#ffffff 구단 형태 }}}''' ||[[시민 구단]] || || '''{{{#ffffff 소속 리그 }}}''' ||[[전국실업축구연맹전]] (1999~2002)[br][[한국 내셔널리그|내셔널리그]] (2003~2019)[br][[K3리그]] (2020~ ) || || '''{{{#ffffff 연고지 }}}''' ||[[강원도]] [[강릉시]] || || '''{{{#ffffff 홈 구장 }}}''' ||[[강릉종합운동장]] (1999~ / 21,416석)[br][[강릉강남축구공원]] (2022 / 1,500석) || || '''{{{#ffffff 구단명 변천 }}}''' ||강릉시청 축구단 (1999~2020) [br] '''강릉시민축구단 (2021~ )''' || || '''{{{#ffffff 구단주 }}}''' ||[[김홍규(1962)|김홍규]] (강릉시장) || || '''{{{#ffffff 이사장 }}}''' ||김남식[* 강원도축구협회 상임부회장] || || '''{{{#ffffff 감독 }}}''' ||[[김도근(축구)|김도근]] || || '''{{{#ffffff 웹 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 }}}''' ||[[http://www.gncityfc.com/|[[파일:강릉시민축구단 엠블럼.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gangneungcitizen_fc/|[[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2> '''{{{#ffffff 우승 기록}}}''' || || '''[[전국체전|{{{#ffffff 전국체전}}}]] [br] {{{#ffffff (2회)}}}''' ||2007, 2012 || || '''[[한국 내셔널리그|{{{#ffffff 내셔널리그}}}]] [br] {{{#ffffff (2회)}}}''' ||2009, 2019 || ||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ffffff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 [br] {{{#ffffff (1회)}}}''' ||2009|| ||<-2><#50b948> '''{{{#ffffff 유소년 시스템}}}''' || ||<-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U-15 팀''' ||강릉시민축구단 U-15 || || '''U-12 팀''' ||강릉시민축구단 U-12 || }}}}}}}}} || ---- [include(틀:강릉시민축구단/유니폼 및 스폰서)] [목차] == 개요 == [[강원도]] [[강릉시]]를 연고지로 하며 대한민국 3부 축구리그인 [[K3리그]]에 참가하는 [[세미프로]] 축구팀으로, 1999년 5월 6일에 시립 축구단으로 창단했으며 2021년 3월 5일 재단법인의 시민축구단으로 재창단했다. == 역사 == 전신인 강릉시청 축구단은 1999년 5월 강릉시청 직장운동부 실업팀으로 출범했다. 강릉시청은 창단 첫 해 전국실업축구선수권대회 준우승, 2003년 전국체육대회 준우승을 시작으로 2004년 통합 챔피언 결정전 준우승을 비롯해 2007년부터 2012년까지 5년 연속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금자탑을 세웠다. 2009년 통합 챔피언 결정전에서는 [[수원 FC|수원시청]]을 물리치고 창단 10년 만에 우승 감격을 맛보며 내셔널리그 대표 명문 구단임을 증명했다. 하지만 2013 시즌에는 8승 9무 10패 승점 33점으로 8위에 그치며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2014 시즌에는 10승 11무 6패 승점 41점으로 4위를 차지하며 4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플레이오프에서 3위 팀 경주 한수원에게 1차전 1-2, 2차전 2-4로 패하며 최종 순위 4위로 마감했다. 2016년 시즌에는 정규리그 우승을 차지하는 저력을 보여줬지만,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에 챔피언결정전에서 패배해 준우승을 한다. 2018시즌에는 계속해서 6위를 유지해왔지만 17R에서 5위인 [[목포시청 축구단|목포시청]]을 만나 3:2로 승리하며 순위 변동은 없었지만 일단 승점을 2점으로 줄이며 한경기차까지 따라잡았다. 이후 경기들에서 연승을 하여 순위를 4위까지 끌어올리며 혹시나 3강 플레이오프에 출전하는거 아니냐는 기대가 있었지만 거기까지였다. 최종 순위 4위를 기록했다. 최종적으로 2018년 기록은 10승 7무 11패 35득 30실 37승점으로 4위를 기록했다. 플레이오프 진출은 실패했지만 마지막 5경기 5연승으로 유종의 미를 거뒀다. 2019 시즌에는 정규리그 종료 6경기를 앞두고 조기 우승을 확정지었다. 전적은 17승 3무 2패 승점 54점이다. 이후 챔피언결정전에서 [[경주 한국수력원자력]]을 1차전 0:0, 2차전 2:0으로 이기고 2009년도 이후 2번째 우승이자 내셔널리그 마지막 우승팀이 되었다. 2020년을 기점으로 팀의 존폐에 위기가 찾아왔다. 스포탈코리아에 따르면 3부리그에 참가신청서를 제출을 안 했다는 기사가 나왔다.[[https://m.sport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139&aid=0002119874|#]] 이후 2020년 K3리그에 내셔널리그의 모든 팀들이 K3리그에 참가하게 되면서 사건을 일단락이 될 줄 알았지만, 강릉시에서는 강릉시청 축구단을 해산하고 재단법인 형태의 시민구단을 창립하여 [[K4리그]]에 참가하는 계획을 짜고 있어, 강릉시청 축구단은 해체 수순을 밟게 되었다.[[https://www.fmnation.net/62385584|#]] 이는 "강릉시민축구단"으로의 재창단에 가까운 만큼, [[대전 하나 시티즌]]의 케이스처럼 강릉시청 축구단의 역사는 이어받을 것으로 보인다. [[2020년]] 새로 출범한 [[K3리그]]에서 정규리그 3위를 기록, [[K3리그 챔피언십]] 1라운드에 진출하여 4위를 기록한 [[부산교통공사 축구단|부산교통공사]]를 상대로 0:0 무승부를 기록해 정규리그 상위팀 우선규정을 통해 2라운드에 진출, [[경주 한수원]]과 맞붙었고, 이 경기에서 1:0 패배를 기록하며 최종순위 3위로 시즌을 마치게 되었다. 본래 2021시즌부터 시민축구단으로 재창단할 것으로 예상되었는데, [[2021년]] [[1월]] [[거제시민축구단]] 측에서 올린 [[K4리그]] 참가팀을 소개하는 게시물에서는 강릉시민축구단이 빠졌다. 게다가 2021년 1월 13일에는 [[전남 드래곤즈]]에서 [[김민혁(2000)|김민혁]]이 강릉시청으로 이적한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2021년 1월 29일 오후 2시에 [[강릉종합운동장]]에서 (재)강릉시민축구단 창립총회를 열고 설립취지, 정관, 임원 및 사업계획 등을 의결할 계획이라고 한다.[[https://m.nocutnews.co.kr/news/5489186|#]] 강원일보의 1월 28일자 기사에 따르면 축구협회는 [[K3리그]] 잔류를 조건으로 법인화를 제시했다고 하며, 이에 시는 시민구단 형식으로 재단법인 설립을 추진했다고 한다.[[https://n.news.naver.com/article/087/0000830580|#]] 법인설립허가는 2021년 3월정도에 완료되며, 완료시 "강릉시민축구단"으로의 개칭과 함께 유소년 축구팀 운영, 시민회원제 등도 시행할 것이라고 한다. [[파일:212997_215001_1328.jpg]] 1월 29일에 열린 (재)강릉시민축구단 창립총회에서 김남식 상임부회장이 선임되었으며 정관, 사업계획 등을 의결했다.[[https://n.news.naver.com/sports/kfootball/article/529/0000051879|#]] 2월 26일자 기사에 따르면 일부 절차가 지연되고 있으나 3월 초에는 강릉시민축구단 법인화를 끝내고, 3월 14일 개막경기 전까지 홍보활동에 집중한다고 한다.[[https://n.news.naver.com/sports/kfootball/article/056/0010997357|#]] 결국 법인화 과정을 끝마치고 3월 5일, 강릉종합운동장에서 현판식을 열고 재단법인 '''강릉시민축구단'''으로 새로 출범했다. 기존 강릉시청 축구단의 역사를 고스란히 승계하며 법적인 절차까지 모두 끝마쳤다고 한다. [[https://www.gwnews.org/news/articleView.html?idxno=214951|#]] == 시즌별 일람 == ||<-1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6ab5 15%, #50b948 15%, #50b948 29%, #076ab5 29%, #076ab5 43%, #50b948 43%, #50b948 57%, #076ab5 57%, #076ab5 71%, #50b948 71%, #50b948 85%, #076ab5 85%)" [[강릉시민축구단|[[파일:강릉시민축구단 엠블럼.svg|height=65]]]][br] '''{{{-1 [[강릉시민축구단|{{{#fff 강릉시민축구단}}}]]}}} {{{#white 시즌별 일람}}}'''}}} || ||<|2> '''{{{#fff 시즌}}}''' ||<-10> '''{{{#fff 리그}}}''' ||<|2> '''{{{#fff FA컵}}}''' ||<|2> '''{{{#fff 전국체육대회}}}''' || || '''리그''' || '''{{{#fff 순위}}}''' || '''{{{#fff 경기}}}'''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fff 득실차}}}''' || '''{{{#fff 승점}}}''' || || 2011 || [[내셔널리그]] || '''3''' || 26 || 12 || 10 || 4 || 40 || 25 || +15 || '''46''' || 32강 || || || 2012 || [[내셔널리그]] || '''3''' || 26 || 14 || 5 || 7 || 32 || 21 || +11 || '''47''' || 32강 || || || 2013 || [[내셔널리그]] || '''8''' || 27 || 8 || 9 || 10 || 33 || 36 || -3 || '''33''' || 32강 || || || 2014 || [[내셔널리그]] || '''4''' || 27 || 10 || 11 || 6 || 41 || 33 || +8 || '''41''' || 8강 || || || 2015 || [[내셔널리그]] || '''9''' || 27 || 5 || 12 || 10 || 20 || 29 || -9 || '''27''' || 2라운드 || || || 2016 || [[내셔널리그]] || '''1''' || 27 || 16 || 8 || 3 || 33 || 17 || +16 || '''56''' || 32강 || || || 2017 || [[내셔널리그]] || '''7''' || 28 || 6 || 8 || 14 || 35 || 47 || -12 || '''26''' || 32강 || || || 2018 || [[내셔널리그]] || '''4''' || 28 || 10 || 7 || 11 || 35 || 30 || +5 || '''37''' || 32강 || || || 2019 || [[내셔널리그]] || '''1''' || 28 || 19 || 4 || 5 || 50 || 26 || +24 || '''61''' || 32강 || || || [[K3리그/2020년|2020]] || [[K3리그]] || '''3''' || 22 || 13 || 3 || 6 || 30 || 15 || +15 || '''42''' || 3라운드 || 연기 || || [[K3리그/2021년|2021]] || [[K3리그]] || '''13''' || 28 || 4 || 8 || 16 || 23 || 42 || -19 || '''20''' || 2라운드 || 축소 || || [[K3리그/2022년|2022]] || [[K3리그]] || '''12''' || 30 || 9 || 9 || 12 || 39 || 43 || -4 || '''36''' || 2라운드 || || == 선수단 == [include(틀:강릉시민축구단/간략)] [include(틀:강릉시민축구단)] == 코칭스태프 == ||<-5>
{{{#ffffff '''강릉시민축구단 2022 코칭스태프 명단'''}}} || || {{{#ffffff 직책}}} || {{{#ffffff 이름}}} || {{{#ffffff 영문 이름}}} || {{{#ffffff 국적}}} || {{{#ffffff 생년월일}}} || || '''감독''' || [[김도근(축구)|김도근]] || Kim Doh Keun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72년 3월 2일 || || 수석코치 || [[방호진]] || Bang Ho-Jin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77년 12월 12일 || || GK코치 || [[전수현]] || Jeon Su-Hyun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86년 8월 18일 || || 의무트레이너 || 배주노 || Bae Ju No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92년 06월 24일 || == 역대 감독 == [include(틀:강릉시민축구단 감독)] ||<-4>
{{{#ffffff '''강릉시민축구단 역대 감독'''}}} [* 내셔널리그 참가 이후부터 기록 ] || || {{{#ffffff 역대}}} || {{{#ffffff 이름}}} || {{{#ffffff 재임기간}}} || {{{#ffffff 비고}}} || || 1대 || [[김경범(축구)|김경범]] || 2003 ~ 2005 || 시즌 중 사임, [[안홍민]] 대행 체제 || || 2대 || 박문영 || 2005 ~ 2013 || 전국체전 우승 (2007, 2012) || || 3대 || [[오세응(축구)|오세응]] || 2014 ~ 2021 || 강릉시민축구단 초대 감독 || || 4대 || [[김도근(축구)|김도근]] || 2022 ~ || - || == 역대 성적 == ||<-11>
{{{#ffffff '''강릉시민축구단 역대 성적'''}}} || || {{{#ffffff 연도}}} || {{{#ffffff 대회명}}} || {{{#ffffff 경기수}}} || {{{#ffffff 승}}} || {{{#ffffff 무}}} || {{{#ffffff 패}}} || {{{#ffffff 득점}}} || {{{#ffffff 실점}}} || {{{#ffffff 득실차}}} || {{{#ffffff 승점}}} || {{{#ffffff 순위}}} || ||<|2> 2003 || K2리그 전기 || 9 || 2 || 4 || 3 || 12 || 15 || -3 || 10 || 8 || || K2리그 후기 || 9 || 2 || 2 || 5 || 9 || 12 || -3 || 8 || 8 || ||<|2> 2004 || K2리그 전기 || 9 || 2 || 3 || 4 || 9 || 10 || -1 || 9 || 6 || || K2리그 후기 || 11 || 6 || 2 || 3 || 12 || 12 || 0 || 20 || '''1''' || ||<|2> 2005 || K2리그 전기 || 10 || 5 || 2 || 3 || 9 || 13 || 11 || 2 || 4 || || K2리그 후기 || 10 || 2 || 3 || 5 || 7 || 12 || -5 || 9 || 9 || ||<|2> 2006 || 내셔널리그 전기 || 10 || 1 || 1 || 8 || 5 || 21 || -16 || 4 || 11 || || 내셔널리그 후기 || 10 || 4 || 4 || 2 || 14 || 11 || 3 || 16 || 5 || ||<|2> 2007 || 내셔널리그 전기 || 11 || 8 || 1 || 2 || 19 || 10 || 9 || 25 || 2 || || 내셔널리그 후기 || 11 || 5 || 2 || 4 || 21 || 15 || 6 || 17 || 5 || ||<|2> 2008 || 내셔널리그 전기 || 11 || 7 || 3 || 3 || 22 || 18 || 4 || 24 || 4 || || 내셔널리그 후기 || 13 || 7 || 4 || 2 || 20 || 11 || 9 || 25 || 2 || ||<|2> 2009 || 내셔널리그 전기 || 13 || 6 || 4 || 3 || 21 || 15 || 6 || 22 || 5 || || 내셔널리그 후기 || 12 || 7 || 3 || 2 || 20 || 15 || 5 || 24 || 3 || ||<|2> 2010 || 내셔널리그 전기 || 14 || 6 || 3 || 5 || 19 || 19 || 0 || 21 || 8 || || 내셔널리그 후기 || 14 || 9 || 3 || 2 || 28 || 14 || 14 || 30 || '''1'''[* 후기리그 우승과 동시에 통합리그 우승] || || 2011 ||<|8> 내셔널리그 || 26 || 12 || 10 || 4 || 25 || 15 || 10 || 46 || 3 || || 2012 || 26 || 14 || 5 || 7 || 40 || 25 || 15 || 47 || 3 || || 2013 || 27 || 8 || 9 || 10 || 33 || 36 || -3 || 33 || 8 || || 2014 || 27 || 10 || 11 || 6 || 41 || 33 || 8 || 41 || 4 || || 2015 || 27 || 5 || 12 || 10 || 20 || 29 || -9 || 27 || 9 || || 2016 || 27 || 16 || 8 || 3 || 33 || 17 || 16 || 56 || 2[* 정규리그를 우승했지만, 통합 챔피언십에서 준우승했다.] || || 2017 || 28 || 6 || 8 || 14 || 35 || 47 || -8 || 26 || 7 || || 2018 || 28 || 10 || 7 || 11 || 35 || 30 || 5 || 37 || 4 || || 2020 || K3리그 || 22 || 13 || 3 || 6 || 30 || 15 || +15 || 42 || 3 || == 임원 == || 구단주 || [[김한근(정치인)|김한근]] (강릉시장) || || 단장 || 홍남기 (강릉시 부시장) || || 부단장 || 김년기 (강릉시청 문화관광국장) || || 사무국장(총감독) || 이원근 (강릉시청 체육과장) || || 운영부장 || 박종시 (강릉시청 체육행정담당) || == 수상기록 == * 내셔널리그 2회 * 2009, 2019 * 전국실업축구선수권대회 1회 * 2000 * K2 후기리그 1회 * 2004 * 내셔널리그 후기리그 1회 * 2010 * 전국체육대회 2회 * 2007, 2012 *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 1회 * 2009 == 여담 == * 강릉시 강남축구공원 내 부지에 강릉시청 선수 숙소를 짓고 있었으나, 이게 공사도중 갑자기 [[강원 FC]] 선수단 숙소로 둔갑하는 일이 있었다. 결국 2010년에 [[오렌지하우스]]란 명칭의 강원 FC 클럽하우스로 개관. 강릉시청 입장에선 눈뜨고 집을 뺏긴 셈인데 실업구단의 설움이라고 해야 할지... 강릉시청 축구단은 그 대신 강릉시 홍제동 9-1에 숙소를 마련했으며 현재까지 생활하고 있다. * 한때 [[국내 축구 갤러리]]에다 '강릉엔 강릉시청FC'란 제목의 [[꾸준글]]을 달리던 모 고정닉 유저 때문에 국축갤에선 컬트적인 인기가 있었다. * 2012 시즌을 앞두고 당시 소속 선수였던 [[김인성]][* 현재는 [[포항 스틸러스]] 소속]은 러시아 명문 [[PFC CSKA 모스크바]]로 깜짝 이적하기도 했다. * 2014 시즌이 끝난 이후 선수들과 코치진을 통보없이 대량으로 해고하면서 논란이 일었다.[[http://sports.new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254&aid=0000001782&viewType=COLUMN|링크]] [[파일:강릉시청 축구단 엠블럼.svg|width=200]] * 전신인 강릉시청 축구단 시절, 한국 축구팀 중에선 거의 드물게 엠블럼에 한자가 들어가 있는 것으로 유명했다.[* 球都江陵; 축구 수도 [[강릉시|강릉]]] 그러나 재창단하며 새로 내건 엠블럼에선 한자가 사라졌다. 가운데 있던 소나무 형상도 덤으로. * 이 팀에서 [[https://youtu.be/0HWi0GgQEzk|88m 골키퍼 골]]이 나온 적이 있다. * 강릉시청 축구단에서 강릉시민축구단으로 이름을 바꿨는데 시간이 없었는지(?) 또는 랩핑비용이 부담스러워서 그런지(?) 구단버스에 "청" 부분을 "민"으로 테이프를 붙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강원특별자치도/스포츠/세미프로 구단)] [[분류:강릉시민축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