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MBC 전 드라마 다시 시작해의 등장인물, rd1=강병철(다시 시작해), other2=1980년대에 왕성한 활동을 보였던 남성그룹의 멤버, rd2=강병철과 삼태기)] || '''강병철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00 시드니 올림픽 로고.svg|width=auto&height=70]][br] '''2000 시드니 올림픽 야구 종목''' '''{{{#c63 동메달(코치)}}}''' || || '''[[김응룡호/2000년|{{{#ffffff 2000}}}]]''' || ---- ||<-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75~1992).png|height=55]][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 감독''' || || '''[[1984년 한국시리즈|{{{#ed1c24 1984}}}]]''' || '''[[1992년 한국시리즈|{{{#ed1c24 1992}}}]]''' || ---- [include(틀:롯데 자이언츠 감독)] ---- [include(틀:한화 이글스 감독)] ---- [include(틀:SSG 랜더스 감독)] ---- [include(틀:고양 히어로즈 감독)] ---- ||<-5> '''{{{#ed1c24 [[롯데 자이언츠|{{{#ed1c24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76번}}}''' || || 창단 || {{{+1 →}}} || '''{{{#ed1c24 강병철[br](1983~1986)}}}''' || {{{+1 →}}} || 김성관 || || 김성관 || {{{+1 →}}} || '''{{{#ed1c24 강병철[br](1991~1993)}}}''' || {{{+1 →}}} || [[오대석]][br](1997~1998) || ||<-5> '''{{{#fff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70번}}}''' || || [[김영덕]][br](1988~1992) || {{{+1 →}}} || '''{{{#ffffff 강병철}}}''' || {{{+1 →}}} || 다카시로 노부히로[br](2010) || ||<-5> '''{{{#ffffff [[SK 와이번스|{{{#fff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70번}}}''' || || 창단 || {{{+1 →}}} || '''{{{#1e3466 강병철[br](2000~2002)}}}''' || {{{+1 →}}} || [[최태원]][br](2005~2007) || ||<-5> '''{{{#ffffff [[롯데 자이언츠|{{{#fff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76번}}}''' || || [[권두조]][br](2000~2001) || {{{+1 →}}} || '''{{{#ffffff 강병철[br](2006~2007)}}}''' || {{{+1 →}}} || [[주형광]][br](2009~2019) || ||<-5> '''{{{#ffffff [[우리 히어로즈|{{{#ffffff 우리}}}]] / [[서울 히어로즈|{{{#ffffff 서울 히어로즈}}}]] 등번호 80번}}}''' || || 창단 || {{{+1 →}}} || '''{{{#ffffff 강병철[br](2008)}}}''' || {{{+1 →}}} || [[김동수(야구)|김동수]][br](2010~2014)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강병철 감독 시구인사.jpg|width=100%]]}}} || ||<-2> '''{{{+2 강병철}}}[br]姜秉徹''' || ||<|2> '''출생''' ||[[1946년]] [[8월 21일]] ([age(1946-08-21)]세) || ||[[경상남도]] [[김해군]] [[대저1동|대저면]][* [[김해국제공항]] 인근의 평강마을 출신(지번 주소상으로는 대저1동이다.)이다.][br](現 [[부산광역시]] [[강서구(부산광역시)|강서구]] [[대저1동]])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개성고등학교 야구부|부산상고]] - [[우석대학교(서울)|우석대학교]][* [[우석대학교|전북 완주군의 우석대]]가 아니라 [[고려대학교|고려대]]에 합병된 우석대이다. 해당 문서 참조.] 석사 || || '''신체''' ||180cm, 85kg || || '''포지션''' ||[[3루수]] || || '''투타''' ||[[우투우타]] || || '''소속팀''' ||[[한국실업야구/역대 참가 구단#s-20|크라운맥주]] (1965)[br]해병대 야구단 (1966~1969)[br][[한일은행 야구단]] (1970~1977) || || '''지도자''' ||[[동아대학교 야구부|동아대학교]] 감독 (1978~1982)[br][[롯데 자이언츠]] 타격코치 (1983)[br][[롯데 자이언츠]] 감독대행 (1983)[br]'''[[롯데 자이언츠]] 감독 (1984~1986)'''[br][[빙그레 이글스]] 수석코치 (1988~1990)[br]'''[[롯데 자이언츠]] 감독 (1991~1993)'''[br][[한화 이글스]] 감독 (1994~1998)[br][[SK 와이번스]] 감독 (2000~2002)[br][[롯데 자이언츠]] 감독 (2006~2007)[br][[고양 히어로즈|우리-서울 히어로즈]] 2군 감독 (2008) || || '''상훈''' ||[[체육훈장]] 백마장 || || '''병역''' ||[[대한민국 해병대]] [[병장]] 만기전역 || || '''종교''' ||[[불교]]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롯데 자이언츠]][* 역대 유일무이하게 한팀에서 세번이나 감독이 되었다. 첫번째 감독 재임당시 1984년 롯데의 첫 우승을 차지했고, 두번째 감독 재임당시 1992년 두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그리고 세번째 감독 재임당시에는 우승을 차지하지 못하였다. 8년간 2번의 우승을 이끔.], [[한화 이글스]], [[SK 와이번스]]의 감독. 롯데가 기록한 1984년과 1992년 2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모두 이끈 감독으로 [[제리 로이스터]] 감독과 함께 팀을 대표하는 감독으로 꼽힌다. 명과 암이 분명한 감독이지만 리그의 감독 영구결번으로 꾸준히 거론되는 감독 중 하나이다.[* 대표적으로 [[KIA 타이거즈|타이거즈]]의 9번의 우승을 함께한 [[김응용]](39, 70), [[SSG 랜더스|SK 와이번스]]의 [[김성근]](38), [[두산 베어스|베어스]]의 [[김인식]](81)과 [[김태형(1967)|김태형]](88), [[삼성 라이온즈]]의 [[류중일]](75)과 [[한화 이글스|이글스]]의 [[김영덕]](99), [[NC 다이노스]]의 [[김경문]](74) 등이 있으며, [[현대 유니콘스]]가 존재했다면 하는 가정하에 [[김재박]](70)도 거론이 되었다.] == 선수 경력 == ||[[파일:external/db.kookje.co.kr/20071217.22029210508i1.jpg|width=300]]|| ||[[개성고등학교 야구부|부산상고]] 시절 강병철 || [[개성고등학교 야구부|부산상고]]를 졸업하고 [[1965년]]에 실업팀 [[한국실업야구/역대 참가 구단#s-20|크라운맥주]]에 입단하였다. 이후 [[1966년]]부터 [[1969년]]까지 [[해병대]] 야구단에서 복무하고, [[1977년]]까지 [[한일은행 야구단]][* 한일은행이 크라운맥주 야구단을 인수했기 때문이다.] 선수로 뛰었다. [[실업야구]] 특성상 회사원 신분이어서, 크라운맥주 시절에는 식당들을 돌며 맥주 판촉을 했었던 적도 있고, 한일은행 시절에는 진짜로 은행원일도 했다고 한다. 그래서 한일은행 출신 야구 지도자들은 지폐를 잘 센다는 이야기도 있다. [[박영길]], [[김응용]][* 고등학교 선배이자 크라운맥주, 한일은행의 선배다. 후에 한일은행의 감독까지 했으며, 그러다가 프로야구가 생겨서 프로야구 감독이 된 것이다.]과 함께 국가대표팀 [[클린업 트리오]]로 이름을 날렸다. [[실업야구]]가 인기를 끌던 [[1970년대]]를 휩쓴 [[3루수]] 중 하나였다. == [[강병철/지도자 경력|지도자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강병철/지도자 경력)] == [[강병철/평가|평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강병철/평가)] == 그 후 == [[2017년]] [[10월 8일]] [[사직야구장]]에서 열리는 [[KBO 준플레이오프/2017년|2017년 KBO 준플레이오프]] 1차전의 시구자로 선정되었다. 이유는 말할 것도 없이 롯데의 2번 우승을 모두 함께한 유일한 감독이기 때문. 더구나 롯데의 당해 포스트시즌 캐치프레이즈가 "마! 함 해보입시다!"[* [[1984년 한국시리즈]] 당시 강병철이 [[최동원]]에게 '동원아. 우짜노. 이까지 왔는데'라고 한국시리즈 등판 ~~지시~~권유를 하자 [[최동원]]이 답한 말이었다.]인 데서 1차전 시구자로서의 의미부여는 충분하다 하겠다. 그러나 1차전의 결과는 롯데의 패배로 나왔다. [[2018년]] 올스타전에서도 시구를 하였다. 시타는 [[이승엽]] 프로 원년인 1982년부터 6개구단 체제가 마지막해인 1985년까지, 감독을 거쳤던 생존한 인물중 4명중 1명인데, 그 4명은 김응용, 박영길, 백인천 그리고 강병철이다. == 기타 == * 해병대 선수 시절 군복무를 40개월이나 한 희귀한 기록을 가지기도 했다. >요즘 육군의 의무 복무기간은 24개월, 딱 2년이다. 하지만 강병철 전 [[SK 와이번스|SK]] 감독은 해병대에 입대, 햇수로 무려 4년을 복무하는 진기록을 세웠다. [[한국실업야구/역대 참가 구단#s-20|크라운맥주]]에서 강타자로 활약하던 강 감독은 [[1966년|66년]] 해병대에 입대했다. 당시 복무기간은 24개월 정도. 하지만 제대를 얼마 남겨두지 않은 시점에서 [[1.21 사태|김신조]] 부대가 청와대를 습격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그 바람에 군복무 기간도 36개월로 늘어났다. [[1968년|68년]] 억지로 36개월 다 채웠지만 제대는 허락되지 않았다. 아직 중요한 대회가 남아 있다는 황당한 이유에서였다. 강 감독은 “또래들에 비해 상당히 군생활을 오래 했다. 나 말고도 제대를 연기당한 선수들이 몇몇 있었다”고 말했다. 결국 강 감독은 [[1968년|68년]] 시즌을 다 뛰고 [[1969년|69년]]이 돼서야 군복을 벗을 수 있었다. [[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159&pn=0&num=19358|출처]] * 롯데에서 유일하게 우승을 이끈 감독은 강병철이었고 우승을 이끈 선수가 둘 다 신인에 안경잡이 에이스였기 때문에 롯데가 우승하기 위해선 강병철 감독(그것도 취임 2년째에[* 첫 롯데 감독 시절인 1983년은 박영길 전 감독의 대행 자격이었다. 두번째 우승하기 전 해인 1991년은 비록 승률은 5할 밑이었지만 롯데는 4위로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었다.]), 혹사, [[안경]] 우완 에이스 삼신기가 모여야 한다는 우스개도 있다.[[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2111031123926338|#]][* 앞서 롯데의 우승을 이끌었던 [[최동원]]과 [[염종석]]은 나란히 부산 출신이었다.] == 역대 감독 성적 == ||<-8> {{{#ffffff 역대 감독 전적}}} || || {{{#000000 연도}}} || {{{#000000 팀}}} || {{{#000000 경기}}} || {{{#000000 승}}} || {{{#000000 패}}} || {{{#000000 무}}} || {{{#000000 정규리그}}} || {{{#000000 포스트시즌}}} || || 1983 ||<|7> [[롯데 자이언츠]] || 50 || 21 || 29 || 0 || 6위[* 전기 4위, 후기 6위] || - || || 1984 || 100 || 50 || 48 || 2 || 4위[* 전후기 통합 순위, 후기 1위로 한국시리즈 진출.] || '''우승''' || || 1985 || 110 || 59 || 51 || 0 || 2위 || [* 1985년에 삼성 라이온즈가 전후기 통합우승을 달성하며 한국시리즈 자체가 열리지 않았다.] || || 1986 || 108 || 50 || 52 || 6 || 5위[* 전기 3위, 후기 5위] || - || || 1991 || 126 || 61 || 62 || 3 || 4위 || '''준PO 탈락''' || || 1992 || 126 || 71 || 55 || 0 || 3위 || '''우승''' || || 1993 || 126 || 62 || 63 || 1 || 6위 || - || ||<-2> 통산 || 746 || 374 || 360 || 12 ||<-2>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무}}} || {{{#ffffff 정규시즌}}} || {{{#ffffff 포스트시즌}}} || || 1994 ||<|5> [[한화 이글스]] || 126 || 65 || 59 || 2 || 3위 || '''PO 탈락''' || || 1995 || 126 || 55 || 71 || 0 || 6위 || - || || 1996 || 126 || 70 || 55 || 1 || 3위[* 정규 시즌 4위 [[현대 유니콘스]]가 한국시리즈에 진출하며 최종성적은 4위로 밀렸다.] || '''준PO 탈락''' || || 1997 || 126 || 51 || 73 || 2 || 7위 || - || || 1998 || 64 || 29 || 33 || 2 || 7위[* 시즌 도중 경질되었으며 남은 경기는 이희수가 감독대행으로 치뤘다.] || - || ||<-2> 통산 || 568 || 254 || 298 || 16 ||<-2>­|| || {{{#ff6600 연도}}} || {{{#ff6600 팀}}} || {{{#ff6600 경기}}} || {{{#ff6600 승}}} || {{{#ff6600 패}}} || {{{#ff6600 무}}} || {{{#ff6600 정규리그}}} || {{{#ff6600 포스트시즌}}} || || 2000 ||<|3> [[SK 와이번스]] || 133 || 44 || 86 || 3 || 4위[* 매직리그.] || - || || 2001 || 133 || 60 || 71 || 2 || 7위 || - || || 2002 || 133 || 61 || 69 || 3 || 6위 || - || ||<-2> 통산 || 399 || 165 || 226 || 8 ||<-2> || || {{{#000000 연도}}} || {{{#000000 팀}}} || {{{#000000 경기}}} || {{{#000000 승}}} || {{{#000000 패}}} || {{{#000000 무}}} || {{{#000000 정규리그}}} || {{{#000000 포스트시즌}}} || || 2006 ||<|2> [[롯데 자이언츠]] || 126 || 50 || 73 || 3 || 7위 || - || || 2007 || 126 || 55 || 68 || 3 || 7위 || - || ||<-2> 통산 || 252 || 105 || 141 || 6 ||<-2>­|| ||<-2> 총계 || 1965 || 914 || 1018 || 33 ||<-2>­|| [각주] [[분류:강병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