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소방본부 산하 소방기관)] ||<-3>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5]] [[대구소방안전본부|'''{{{#fff 대구광역시의 소방기관}}}''']] ||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대구광역시 소방안전본부 엠블럼.svg|height=65]]||{{{+1 {{{#e70012 '''강북소방서'''}}}}}} [br] {{{#e70012 '''江北消防署'''[br]'''Gangbuk Fire Station'''}}} ||}}} || ||<-2> '''설립일''' ||[[2023년]] [[4월 17일]] || ||<-2> '''서장''' ||김봉진 || ||<-2> '''관할구역''' ||[[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 일부[* 관문동, 태전1동, 태전2동, 구암동, 관음동, 읍내동, 동천동, 국우동, 무태조야동], [[군위군]] || ||<-2> '''상급기관''' ||[[대구소방본부]] || ||<-2> '''외근부서''' ||구암·읍내·태전·금호·무태·연경·구조대·동천·군위·효령·의흥·부계 || ||<-2> '''위치'''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대구광역시 북구 구암동 771-5, 너비=100%)]}}} ---- '''강북소방서''' {{{-2 [[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 구암서로 71 ([[구암동(대구)|구암동]])}}} || ||<-2> '''웹사이트''' || [[https://www.daegu.go.kr/119/index.do?menu_id=00939191|[[파일:대구광역시 소방안전본부 엠블럼.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2023대구강북소방서.jpg]] '''강북소방서'''는 [[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 [[칠곡(대구)|칠곡(강북)]], [[군위군]] 지역을 담당하는 대구의 9번째 소방서다. 이 소방서가 신설되기 전 [[칠곡(대구)|칠곡]]은 [[서부소방서(대구)|서부소방서]], [[무태조야동]]은 [[북부소방서(대구)|북부소방서]], [[군위군]]은 [[의성소방서]] 관할이었다. == 상세 == [[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의 [[칠곡(대구)|칠곡(강북)]] 지역은 어마어마한 인구 수와 면적을 가진 곳이다. 그래서 [[달서구]]와 마찬가지로 분구 떡밥이 무성했던 만큼 행정력 분할도 늘 제기되어 왔다. 그 중 국가공무원 사무로 취급되던 경찰 조직의 경우 경찰청 지휘하 2012년 이후 재빨리 [[대구강북경찰서]] 신설이 이뤄졌다. 반대로 촌각을 다투는 재난 상황을 접하는 소방서의 경우 지방공무원 조직에 해당하여 [[대구광역시]]의 판단에 맡겨야만 했는데, 처음부터 국가직이었거나 좀 더 빨리 국가직 전환이 되었다면 소방청 주도로 빠르게 건설되었을 것이다. 다만, 소방공무원이라는 개개인의 신분이 국가직일 뿐 소방청사 및 장비 등은 여전히 지방행정조직의 권한 아래 있는 점은 고려해야 한다. 때문에 칠곡지역은 치안 현장의 최전방을 담당하는 지구대, 파출소보다는 구청처럼 행정 위주의 업무가 더 많은 경찰서보다 한참 늦게 들어오게 되었다. 2010년대 중후반부부터 강북소방서 신설의 필요성은 시민과 정치권 등 공감대가 확실시 되었으나 인구 수 및 관할 면적, 산업단지 유무에 따라 달서구의 성서소방서 신설이 더 시급하다는 대구광역시의 판단 아래 명칭을 조금 달리한 [[강서소방서(대구)|강서소방서]] 신설이 먼저 이뤄졌다. 강북소방서의 경우 2010년대 후반부에 설립을 본격 추진하여 2023년 4월 17일 설립되었다. 본래 강북소방서 부지는 성서의 행정타운과 마찬가지로 칠곡의 행정타운이기도 했다. 그 증거로, [[달서구]]처럼 우체국, 경찰서, 소방서 등이 들어오고 한 자리에 묶이게 될 전망이다. 여기에 북구가 분구되어 구청(가칭 강북구청)만 있으면 완벽할 정도.[* 하지만 북구 분구 계획이 무산되면서 구청 예정지는 무료 공영주차장으로 운영 중이며, 북대구우체국 옆에는 중형마트가 들어와있다.] 그 이전에는 [[칠곡(대구)#칠곡 3지구|칠곡 3지구]]라 불리는 시내버스 회차지로 사용되던 부지였다. 그러던 중 강북소방서 신설을 위해 부지를 물색하던 중 적절한 위치와 타 관할과의 거리 등 여러 요소를 감안했을 때 현 위치가 적절하다고 판단했으며, 게다가 토지 소유자가 대구광역시인데다 인근에 경찰서 및 우체국이 모두 모여있어 서로 간의 시너지도 발휘 가능하다고 판단한 것인지 현 위치를 최종적으로 확정했다. 강북소방서 신설로 인해 시내버스 회차지는 폐쇄되었고 이곳이 기종점이던 노선들은 때마침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차량기지 아래로 차고지를 이전해 온 영진교통 차고지로 연장하거나 또 다른 인근의 [[관음공영차고지]]로 연장했다.[* [[동명교통]]으로 연장한 노선은 없다. 가스 충전을 제외하면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까지 왕복하는 시간과 거리가 무시 못 할 수준이기에 증차가 불가피해지기 때문으로 보인다.] 기존 서부서 휘하에 있던 칠곡지구의 모든 119안전센터들과 북부서의 무태 연경 등의 대구 칠곡지구 동쪽 지역의 119안전센터들이 강북서 지휘 체계로 이관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0321_대구강북소방서대구소방안전본부답변.jpg|width=100%]]}}} || [[대구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2023년 4월 초 개서와 관련한 모든 준비 과정을 마무리 후 2023년 4월 17일부터 정식 운영할 예정이다. [[2023년]] [[4월 11일]], [[대구소방안전본부]]는 강북소방서가 [[2023년]] [[4월 17일]]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3873071?sid=102|#]] [[2023년]] [[4월 17일]], 강북소방서가 개서했다. [[2023년]] [[6월 9일]]부터 인근 버스 정류소인 칠곡그린빌앞 • 건너 등 2개소의 명칭이 각각 강북소방서건너 • 강북소방서 앞으로 변경되었다. [[도남동(대구)|도남동]]의 경우 본서가 직접 관할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도남119안전센터를 신설할 수도 있겠지만, [[강서소방서(대구)|강서서]]가 [[다사읍]] 지역의 서재 및 세천리를 성서센터와 같이 전담하는 사례가 있는 데다 [[강서소방서(대구)|강서서]], 서재세천의 거리와 달리 강북서는 [[도남동(대구)|도남동]]과 꽤 가까이 있어 직할대가 나설 것으로 보인다. 거리상으로는 북부소방서 및 서부소방서가 더 가까운 조야동과 노곡동이지만, 일단 법적 구역상 [[금호강]] 위쪽 지역인 두 동을 강북서가 관할하게 된다. 다만 실질적인 출동 시간 면에서는 무조건 노원119안전센터와 평리119안전센터가 나갈 듯하다.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이 [[2023년]] [[7월 1일]] 시행되기 때문에 해당 4개 안전센터는 [[2023년]] [[4월 17일]] 신설된 [[대구소방안전본부]] 강북소방서가 [[군위군]] 전역을 관할하게 된다. 기존에 [[군위군]]을 관할하던 [[경북소방본부]] [[의성소방서]]에 비해 거리가 매우 멀어지기 때문에 출동 시간이 길어질 것으로 보인다. [[군위군청]] 기준으로 강북소방서까지의 거리는 42km 떨어져 있지만, [[의성소방서]]까지의 거리는 10km에 불과하다. [[대구소방안전본부]]는 [[군위군]]에 강북소방서 관할 119출장소를 만들어 30여 명의 인력을 배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56/0011392866?sid=102|#]] [[2023년]] [[7월 12일]], 대구강북소방서는 군위119출장소 개소식을 개최했다.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30712010001510|#]] [[분류:대구/소방기관]][[분류:북구(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