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519년 출생]][[분류:1581년 사망]][[분류:진주 강씨]][[분류:조선의 문관]][[분류:우의정]][[분류:이조판서]][[분류:병조판서]][[분류:형조판서]][[분류: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include(틀:역대 조선 정승(중종-광해군))] ---- ||<-2> '''[[정승|{{{#f0ad73 조선 정승}}}]][br]정정공(貞靖公)[br]{{{+1 강사상}}}[br]姜士尙''' || || '''출생''' ||[[1519년]]([[중종(조선)|중종]] 14)|| || '''사망''' ||[[1581년]] [[12월 5일]][* [[율리우스력]] [[11월 25일]].] (향년 61 ~ 62세)[* [[연 나이]] 62세.][br](음력 [[선조(조선)|선조]] 14년 10월 30일)[* [[세는나이]] 63세.]|| || '''[[봉호|{{{#f0ad73 봉호}}}]]''' ||[[추증|증(贈)]] 진천부원군(晉川府院君)[* [[공신#호성공신(扈聖功臣)|호성공신]] 3등 강인(姜絪)의 부모 명목.]|| || '''[[시호|{{{#f0ad73 시호}}}]]''' ||정정(貞靖)|| || '''[[본관|{{{#f0ad73 본관}}}]]''' ||[[진주 강씨]]|| || '''[[자(이름)|{{{#f0ad73 자}}}]]''' ||상지(尙之)|| || '''[[아호|{{{#f0ad73 호}}}]]''' ||월포(月浦)|| || '''부모''' ||부친 - 강온(姜溫)[br]모친 - 박식(朴栻)의 딸|| || '''부인''' ||임간(任幹)의 딸[br]윤광운(尹光雲)의 딸|| || '''자녀''' ||장남 - 강서(姜緖, {{{-3 1538 ~ 1589}}}) {{{-3 임씨 소생}}}[br]차남 - 강신(姜紳, {{{-3 1543 ~ 1615}}}) {{{-3 임씨 소생}}}[br]3남 - 진창군(晋昌君) 강인(姜絪, {{{-3 1555 ~ 1634}}}) {{{-3 윤씨 소생}}}[br]4남 - 강담(姜紞) {{{-3 윤씨 소생}}}[br]장녀 - 민여건(閔汝健)의 처[br]차녀 - 이의가(李義可)의 처[br]3녀 - 김충각(金忠慤)의 처||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중기의 문신. == 생애 == 1519년([[중종(조선)|중종]] 14년)에 태어났다. 1543년(중종 38년)에 진사시에 합격하고, 3년 뒤에는 [[과거 제도#문과|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한림이 되었다. 1552년([[명종(조선)|명종]] 7년)에 수찬 직을 제수받았고[[http://sillok.history.go.kr/id/kma_10706018_002|#]] 이후 [[사간원]]의 정언 직과 헌납 직을 맡았다.[[http://sillok.history.go.kr/id/kma_10801029_001|#]][[http://sillok.history.go.kr/id/kma_10911025_003|#]] 그리고 [[이조(조선)|이조]] 정랑 및 [[의정부]]의 검상과 사인을 거쳐[[http://sillok.history.go.kr/id/kma_10912021_001|#]][[http://sillok.history.go.kr/id/kma_11012009_002|#]][[http://sillok.history.go.kr/id/kma_11012029_001|#]] [[홍문관]]의 응교와 직제학을 역임한 뒤[[http://sillok.history.go.kr/id/kma_11012029_001|#]][[http://sillok.history.go.kr/id/kma_11210016_003|#]] [[승정원]]의 동부승지, 우부승지, 좌부승지, 우승지로 임명받았다.[[http://sillok.history.go.kr/id/kma_11211013_001|#]][[http://sillok.history.go.kr/id/kma_11305019_002|#]][[http://sillok.history.go.kr/id/kma_11308005_003|#]][[http://sillok.history.go.kr/id/kma_11310024_002|#]] 이후 홍문관으로 돌아와 부제학 직을 맡았고[[http://sillok.history.go.kr/id/kma_11408019_001|#]], 다시 [[승정원]]으로 복귀하여 좌승지와 지금의 [[대통령비서실장]] 격인 [[도승지]]까지 올랐다.[[http://sillok.history.go.kr/id/kma_11411028_001|#]][[http://sillok.history.go.kr/id/kma_11501014_001|#]] 도승지를 지낸 후에는 병조참의가 되었는데, 이때 세자빈 간택에 대한 하례를 거행하지 못했다는 책임을 지고 파직당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ma_11507024_001|#]] 얼마 뒤 형조참판 직을 제수받았고[[http://sillok.history.go.kr/id/kma_11607021_002|#]], 첨지중추부사와 황해감사 직을 맡았다. [[사헌부]]에서도 [[대사헌]]과 [[대사간]]으로서 봉무했다. 대사간으로 재직 중에 권신 [[이량]]에게 아부한 지중추부사 원계검을 벌줄 것을 청했다가[[http://sillok.history.go.kr/id/kma_11812004_001|#]] 이량에게 밉보여 오히려 호분위 부호군으로 강등당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ma_11902017_002|#]] 1565년(명종 20년)에는 [[경상도]] 관찰사로 파견나가 근무하기도 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ma_12010002_001|#]] [[선조(조선)|선조]]가 즉위한 후에도 [[사헌부]] [[대사헌]]과 [[대사간]] 직을 여러 번 맡았다. 잠시 [[성균관]] 대사성과 동지경연, 이조참판을 거쳐 [[한성판윤]]과 [[병조]], [[형조]], [[이조(조선)|이조]] [[판서]]를 역임했다. 그리고 1579년(선조 12년)에는 삼정승 중 하나인 [[우의정]] 직에 올랐다. 영중추부사도 지냈다. 관직 생활을 하면서 당파 간 정쟁에 휘말리지 않고 의연하게 대처했으며, 매사에 엄격했고, 당대 사람들이 알아줄 정도로 언제나 청렴검소한 생활을 했다고 한다. 1581년(선조 14년)에 병으로 물러났고 그해 10월에 사망했다. 향년 63세였다.[* 당시 나이 셈법인 [[세는나이]] 기준. 만으로는 62세이다.] == 가족과 후손 == 아버지는 의정부 사인을 지냈던 강온(姜溫)이며, 어머니는 박씨이다. 남동생이 3명으로, 강사안, 강사필, 강사부이다. 부인은 [[파평 윤씨]]로, 윤광운의 딸이다. 윤씨 부인 사이에서 4남 3녀를 낳았으며 이중 차남 강신의 아들이 [[광해군]] 시기에 [[사르후 전투]]에 참전했던 [[강홍립]]이다. == 묘역 == ||<-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103호 ||<|2> ← || '''104호''' ||<|2> → || 105호 || || [[경복궁 북원#침류각(枕流閣)|침류각]] || '''정정공 강사상 묘역''' || [[이경직(1577)#s-4|효민공 이경직 묘역]]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04호}}}]]''' || ||<-2> {{{#fff {{{+1 '''정정공 강사상 묘역'''}}}[br]{{{-1 貞靖公 姜士尙 墓域}}}}}}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산 107-2,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산 107-2 || || '''{{{#fff 시대}}}''' || [[조선시대]] || || '''{{{#fff 분류}}}''' ||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 || '''{{{#fff 수량 / 면적}}}''' || 강사상신도비 1基, 강홍립상석 1基, 토지 2.3㎡ || || '''{{{#fff 지정연도}}}''' || [[1997년]] [[12월 31일]] || || '''{{{#fff 관리자[br](관리단체)}}}''' || [[진주 강씨]] 대사간공파 종중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강사상 묘역.jpg|width=100%]]}}} || || {{{#f0ad73 ''' 강사상 묘역[* [[https://history.seoul.go.kr/nuri/bbs/bbs.php?sub_type=view&b_idx=544&pidx=146975648276&didx=116&bs_idx=116&s_where=&s_text=&search_status=&s_cate=&s_recom=&s_year=&s_month=&s_day=&page_num=3|사진 출처 - 서울역사편찬원.]]] '''}}}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강사상신도비.jpg|width=100%]]}}} || || {{{#f0ad73 ''' 강사상 묘역 신도비[*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36287&ccbaKdcd=21&ccbaAsno=0104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clearfix] ---- 현재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정확히는 소위 [[난곡]] 지역에 강사상 및 자손들의 묘가 있다. 친손자인 [[강홍립]]의 묘도 이곳에 있다. 강사상과 그의 부인 윤씨의 묘는 쌍분 형태로 조성되어있다. 묘 앞에는 묘표와 혼유석, 상석, 향로석이 각각 1기 씩 있고, 망주석과 문인석이 각각 1쌍 씩 있다. 그리고 강사상의 업적과 일생을 적은 신도비가 묘역 아래쪽에 있다. 1713년([[숙종(조선)|숙종]] 39년)에 제작한 것으로, 글은 권유가 짓고 글씨는 이진검이 썼다. 비는 사각받침돌 위에 비신을 세우고 그 위에 팔작지붕 형태의 머릿돌을 얹은 모습이다. 비를 보호하기 위한 비각도 세워져있다. 1997년 12월 31일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04호로 지정받았다. 처음에는 신도비만 '강사상신도비'란 이름으로 등재되었는데 2008년 10월 30일에 [[서울특별시]]에서 명칭을 '정정공 강사상 묘역'으로 바꾸고 묘역 전체를 문화재로 확대지정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경직(1577), version=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