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시 공영차고지)] [목차] == 개요 == [[부산광역시]] [[강서구(부산)|강서구]] 녹산화전로 117에 소재한 시내버스 [[공영차고지]]이다. 통칭 '''화전공영차고지'''이다. 2019년에 준공과 운영을 시작할 계획이었으나 착공이 연기에 연기를 거듭한 끝에 2021년에 공사가 시작됐다. 2022년 완공이 목표였으나 [[화물연대 파업]], [[레미콘]] 대란 등의 영향으로 기자재 수급이 지연되어 2023년 4월 준공되었다.[[https://naver.me/xD6xe37B|#]] 업체 입주 및 가동은 2023년 7월 29일에 시작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tation&no=58612|#]] 강서공영차고지 입·출고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ALI8l3CIktc|#]] 강서구는 2015년에 들어서 [[명지오션시티]], [[명지국제신도시]], 신호지구, [[에코델타시티]] 등 대단위 도시개발 사업으로 인구 유입이 급증하고 있으나 그동안 시내버스 차고지가 없어 노선 부족으로 인해 주변 지역으로의 이동이 어려워 주민들이 버스 증편 요구 민원을 지속적으로 요청했었다. == 전망 == [[강서구(부산)|강서구]]에 CNG 가스충전소가 하나도 없어 [[하단역]]과 하단교차로 주변에서 [[회차]]하는 대부분의 노선이 충전을 위해 [[사상구]] [[학장동]]에 위치한 [[대도운수]]의 대도하이젠(주)로 [[공차회송]]을 하고 있다.[* 다만 58-2번, 520번은 [[사하구]] [[신평동(부산)|신평동]]에 위치한 [[영신여객(부산)|영신여객]]차고지로 공차회송을 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배차간격 문제로 운행에 애로사항이 발생하고 있는데 공영차고지와 함께 충전소가 건립이 되면 이 문제가 해결된다는 장점이 있다. == [[공영차고지]]가 조성될 때까지의 경과 == 부산광역시가 [[https://n.news.naver.com/article/112/0002351991?sid=102|명지오션시티ㆍ국제신도시 지옥의 교통난 무시한 채 대규모 아파트 분양 잇따라]] [[난개발|신도시 몸집]]만 '''우선적으로''' 불려 교통지옥이란 오명을 갖기도 하였다.[* 부산에서 가장 유명한 신도시라고 할수있는 해운대 신시가지는 입주와 동시에 중전철 공사가 되었지만 이후 부산의 신도시 계획인 정관,명지,일광 지역은 버스로만 연계를 해야하며 일광의 경우 동해선이 있으나 역사와 신도시가 너무멀어 버스와의 환승이 상당히 힘들고 결국 공영차고지가 들어온 명지를 제외하면 공영차고지가 없거나 너무멀어 노선연계도 빈약한 상태이다. 사실상 정관,일광은 여전히 출퇴근시 시내보다 긴 배차간격일 수 밖에 없다.] 지역 여론의 우려로 부산광역시는 부랴부랴 강서구의 교통 체계를 검토하지만, 그 핵심이 될 [[공영 차고지]] 건설에 따른 인근 지역 주민들의 반대에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2&aid=0000561472|신중해야만 했다.]] 명지 지역에 차고지가 없어서 버스노선 들어오는 것이 힘들다는 불편함에 강서구청과 [[김도읍]] 국회의원이 기재부 설득 끝에 강서구 [[화전동(부산)|화전동]] 임야 지대에 [[공영 차고지]]를 짓는 것으로 [[http://www.lawissue.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161228152406320916201_12|부산광역시 예산에 반영되는 것으로 확정이 되었다.]] 부산광역시 [[공영 차고지]] 내실화를 위한 강서공영차고지 조성 계획에 따르면 2017년 서부지법 개원과 [[강서구(부산광역시)|지역 간]] [[사상구|이해관계]]로 구치소 이전이 지연되어 시유지인 교정시설 부지가 [[유휴지]]로 되면서 보상기간 단축, 예산 절감 위함으로 화전동으로 확정됐다고 한다. 참고로 부산구치소 이전 부지는 사상구 [[감전동]] 부산환경공단 위생사업소가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infra&no=91920|선정됐다.]] 그러나 사상구의 즉각적인 항의 반발로 [[부산구치소]] 이전 부지가 [[강동동(부산)|강동동]] 평강수문 인근으로 변경되었다.[* 남해고속도로 북부산요금소 북측이며 부산구치소 이전과 대저에 종합교정타운 신설을 계획하면서 사하+사상구와 강서구 주민 간의 의견충돌로 사실상 원점으로 백지화에 있는 상태다.] 첫 발표 당시에는 강서공영차고지가 신설되면 강서구를 기점으로 한 3개 버스운송업체 110여대의 버스가 확충되어 탄력적인 버스노선 운영이 가능하다고 했다.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infra&no=66254|대중교통 계획 확정고시(2017-2021)]]에 따르면, 태영버스의 본사, 영업소, 주차장 이전을 확정지었고 그 외에는 다른 업체 이전에 대한 설명은 없었다. 그러나 [[2017년]] [[8월 28일]]에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170828.22007011939|강서 시내버스 공영차고지 조성사업 용역보고회]]에서 21,000여㎡를 예상했다가 규모를 키웠다. 차고지를 이용하는 버스회사도 3개 업체 110여 대에서 6개 업체 300여 대로 늘렸다.[* 강서 시내버스 공영차고지 조성사업 도시관리계획(시설:자동차정류장) 결정 용역은 2017.02.18~2018.02.26까지 이었다.] 정보공개에 따른 향후 추진 계획에 의하면 9월 도시관리계획 입안 신청하여, 2개월 동안 관련기관 실무부서간의 협의하여 12월 도시관리위원회에서 심의하게 된다. 2018년 1월 GS엔지니어링의 용역 바탕으로 변경절차를 이행하게 된다. 2018년 3월 시내버스 공영 차고지 시설 결정을 위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과했으며 현재 기본 및 실시설계를 위한 용역을 발주하기 위하여 관련 행정절차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올해 말까지 국토교통부로부터 개발제한구역관리계획 변경 승인을 받아 버스차고지 조성 공사를 시작, 내년 말까지 건설하여 운영할 계획이다. 부산시역 내 차고지 확보가 어려워 김해시(구산동), 창원시 진해구(두동) 지역에서 임대 차고지로 운영하고 있던 운수업체의 차고지 확보 문제를 해소하고 기존 주거지역에 입지된 차고지를 이전할 [[http://www.busan.go.kr/nbtnews/1317261|계획이다.]] 하지만 부산시의회 예결위에서 기존 총사업비보다 무려 절반이 훨씬 넘는 58억 2,400만 원이 삭감된 채로 본회의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sec&sid1=102&oid=082&aid=0000862034|상정됐으나]] 공유재산심의회 심의를 거치지 않았다는 이유로 '''단 1푼의 예산도 반영되지 [[https://m.dcinside.com/board/station/8413|못했다.]]''' 이 때문에 실시설계 지연을 이유로 [[2019년]] [[11월 20일]]까지 소규모 환경영향평가를 [[http://m.dcinside.com/board/station/5019|연기했다.]] 이후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 변경승인 지연[* [[국토교통부]]에서 부산구치소 이전 TF팀(부산시, 법무부, 사상구)의 결과가 아직 나오지 않았다.]을 이유로 실시설계 용역을 [[2019년]] [[12월 31일]]까지 [[http://m.dcinside.com/board/station/6868|연기했다.]] 2017년 연말에도 이미 실시설계 용역이 1년 미뤄졌기 [[http://m.dcinside.com/board/station/104|때문에]] 2020년에도 사업추진이 될지는 상당히 의문이며, 설령 용역에 착수한다 할지라도 실제 착공시기는 빨라야 2020년 하반기는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 지정과 변경은 [[국토교통부]], 환경영향평가는 [[대한민국 환경부|환경부]] 소관이다.] [[2019년]] [[7월 16일]]에 있었던 부산시의회 해양교통위원회 2019년 하반기 업무보고 회의에서 나온 내용에 따르면 강서공영차고지에 입주할 업체는 금진여객, 동남여객, 동진여객, 영신여객, 태영버스라고 언급이 나왔다.[[http://council.busan.go.kr/assem/user/assem/minute/preView.busan?command=update&minuteSid=23401|#]] 그러나 [[2020년]] [[6월 11일]]에 있었던 중도위 결과 또 보류 되면서 빨라야 2021년이 되어야 착공할 수 있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tation&no=21659&_rk=zx3&page=1|#]] [[2020년]] [[9월 8일]] 그린밸트관리계획승인 변경 안이 중앙도시계획위원회로부터 심의통과를 확정 지으면서 강서공영차고지 조성에 청신호가 켜졌다. 이에 따라 2021년 시예산 편성과 함께 국비투입으로 착공, 2022년 완공을 계획하고 있다.[[http://kimdoeup.com/bbs/board.php?bo_table=bodo&wr_id=382|※]] [[2021년]] [[4월 11일]] 강서공영차고지 건설 시설배치 계획도가 공개됐다. 천연가스충전소, 수소충전소, 전기버스 충전소 모두 설치할 예정이다. [[2021년]] [[5월 28일]] 강서공영차고지 건설에 대한 주민설명회가 개최됐다.[[https://m.dcinside.com/board/station/31090|※]] [[2021년]] [[6월 30일]] 강서구를 지역구로 두고 있는 [[김도읍]] 의원이 강서공영차고지 조기 착공을 위한 특별교부세 10억 원을 확보했다.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1063011291436245|※]] [[2021년]] 9월, 강서공영차고지 착공을 시작했으며, 2022년 개장 예정이라고 한다.[[http://mobile.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1072919155911000|※]] [[2022년]] 2월 행정사무감사에서 언급이 나오기를 연말까지 공사가 진행될 것으로 추측된다. 노선개편은 2023년 초에나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https://m.dcinside.com/board/station/40568|※]] [[2022년]] 11월 행정사무감사에서 언급이 나오기를 레미콘 파업, 화물 파업등으로 기자재 수급 차질로 완공이 지연되어 2023년 2월 경으로 예상되며, 입주업체는 태영, 금진, 영신으로 확정됐다. 일전에 언급된 동진, 동남은 입주를 거절했다고 한다.[[https://m.dcinside.com/board/station/51490|※]] [[https://council.busan.go.kr/broadcast/videocount/view?num=11265&nums=54884|#]] [[2023년]] 1월 부산시에서 올린 정보공개에 따르면 부산면허 김해발 노선 중 일부가 폐지되는 게 확정되었으며 김해시는 노선개편 용역을 발표했으며 대체노선 신설을 추진 중이라고 한다.[[https://m.dcinside.com/board/station/54477?page=2|#]] 또한 김해시의회의 안전도시국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회의에 따르면 현재 김해~부산 간을 운행하는 부산 버스 7개 노선 100여대[* 123번 22대, 124번 10대, 125번 3대, 127번 11대, 128-1번 26대, 221번 2대, 1004번 19대 총합 93대]중 '''2개 노선 40대만 김해에 남고 나머지 5개 노선 60대는 감축될 예정'''이라고 언급이 나왔다.[[https://m.dcinside.com/board/station/55200|#]] 사실상 삼계동에 자가차고지를 운영 중인 성원여객만 김해에 남는 셈이고[* 현재 성원여객이 단독 운영 중인 노선이 [[부산 버스 123|123번]], [[부산 버스 127|127번]]으로 2개 노선이며, 공동배차하는 [[부산 버스 126|126번]], [[부산 버스 1009|1009번]] 배차분과 예비차량 포함 시 회사 보유차량 대수가 딱 40대이다.], 금진여객과 태영버스는 김해 노선을 정리하고 모두 강서공영차고지로 이전할 것으로 점쳐졌다. 금진여객과 태영버스 김해차고지는 2023년 하반기에 이전이 전망되고 있다. 태영버스가 2023년 1월말경 [[https://m.dcinside.com/board/station/55757|관리직 사원 채용공고]]을 냈는데 거기에서 구산동 근무 5개월 후 강서공영차고지 근무 예정이라고 기입해놓았으며, 또한 김해시 측에서 부산버스 김해 철수 건에 대해 늑장대처를 하는 바람에 부산광역시에 차고지 이전 및 노선조정을 2023년 하반기로 미뤄달라며 요청을 했기 때문이다.[[https://m.dcinside.com/board/station/55821|#¹]] 김해에서 완전히 철수하는 부산 버스는 [[부산 버스 124|124번]], [[부산 버스 125|125번]], [[부산 버스 128-1|128-1번]], [[김해 버스 220, 부산 버스 221|221번]], [[부산 버스 1004|1004번]] 5개 노선으로 알려졌으나,[[https://m.dcinside.com/board/station/55820|#²]][[https://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817764|#³]] 부산시와 김해시가 합의에 성공하여 [[부산 버스 1004|1004번]]은 폐선하지 않는 대신 감차하고(19대 72회 -> 9대 34회) [[부산 버스 123|123번]], [[부산 버스 127|127번]]은 그대로[* 애초에 성원여객은 강서공영차고지 이전과는 전혀 무관한 업체이기 때문에 당연하다. 그러나 123번은 [[하단역]] 단축으로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운행하기로 결정되었다. [[부산 버스 1004|1004번]], [[부산 버스 123|123번]], [[부산 버스 127|127번]]을 제외한 나머지 노선들은 당초 계획대로 김해 구간에서 완전히 철수한다.[[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32309550001487?did=NA|#]] 또한, 부산시가 기존 김해 노선 철수를 7월 말로 늦추고, 기존 부산~김해 간 노선들의 대체 노선인 [[김해 버스 911|911번]], [[김해 버스 912|912번]], [[김해 버스 913|913번]]의 덕천교차로([[덕천역]]) 진입을 허가하는 대신, 김해시에서는 [[부산 버스 122|삼계동~명지 노선]]을 허가하기로 했다.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개편/2023년/논란|문제점 및 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부산광역시 시내버스/개편/2023년/논란)] [include(틀:화전사태)] == 입주 업체 정보 == || '''운행업체''' || '''관리노선''' || '''문의전화''' || '''비고''' || || [[금진여객]] || '''[[부산 버스 55-1|{{{#3399ff 55-1}}}]]''', '''[[부산 버스 55-2|{{{#3399ff 55-2}}}]]''', '''[[부산 버스 124|{{{#3399ff 124}}}]]''', '''[[부산 버스 128-1|{{{#3399ff 128-1}}}]]''', '''[[부산 버스 1009|{{{#f58220 1009}}}]]''' || 051-972-6765 || || || [[영신여객(부산)|영신여객]] || '''[[부산 버스 55-1|{{{#3399ff 55-1}}}]]''', '''[[부산 버스 55-2|{{{#3399ff 55-2}}}]]''', '''[[부산 버스 61|{{{#3399ff 61}}}]]''', '''[[부산 버스 161|{{{#3399ff 161}}}]]''', '''[[부산 버스 171|{{{#3399ff 171}}}]]''' || 051-205-7851[* 기존 신평본사 차고지 번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사하구 [[국번]]은 2XX로 시작하기 때문이다.] || || || [[태영버스]] || '''[[부산 버스 55|{{{#3399ff 55}}}]]''', '''[[부산 버스 55-1|{{{#3399ff 55-1}}}]]''', '''[[부산 버스 55-2|{{{#3399ff 55-2}}}]]''', '''[[부산 버스 58|{{{#3399ff 58}}}]]''', '''[[부산 버스 58-2|{{{#3399ff 58-2}}}]]''', '''[[부산 버스 520|{{{#3399ff 520}}}]]'''[br]'''[[부산 버스 58-1|{{{#f58220 58-1}}}]]''', '''[[부산 버스 1005|{{{#f58220 1005}}}]]''', '''[[부산 버스 1009-1|{{{#f58220 1009-1}}}]]''', '''[[부산 버스 2000|{{{#f58220 2000}}}]]''', '''[[부산 버스 58-1|{{{#666666 58-1심야}}}]]''', '''[[부산 버스 58-2|{{{#666666 58-2심야}}}]]''' || 051-973-6612 || || == 운행 노선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부산 버스 55|{{{#3399ff 55}}}]]''' ||<|11> 강서공영차고지 || 삼성전기후문 - 화물터미널 - 용원사거리 -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경제자유구역청]] - 옥포마을 - 지사휴먼시아 - 지사과학산단 - 지사휴먼시아 - 세산교차로 - 강서경찰서 - 을숙도.문화회관 || [[하단역]] || [[태영버스]] || || '''[[부산 버스 55-1|{{{#3399ff 55-1}}}]]'''[*출퇴근 출퇴근 전용 노선] || 르노자동차 - 부산차량등록사업소 - 명지환승센터 - 국회부산도서관 - 강서경찰서 - 세산교차로 - 지사과학산단 - 세산교차로 - 렛츠런파크입구 - 둔치도입구 - 신덕마을회관 - [[대저역]] || [[강서구청역]] ||<|2> [[금진여객]][br][[영신여객(부산)|영신여객]][br][[태영버스]] || || '''[[부산 버스 55-2|{{{#3399ff 55-2}}}]]'''[*순환 강서구 순환 노선] || 태광금속 → 송정다리 → 용원사거리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 녹산하수처리장 → 신호부영아파트 → 르노자동차 → 엘크루블루오션 → 명지환승센터 → 호반베르디움2차.금강펜테리움2차 → 명지시장 → 강서경찰서 → 녹산중학교 → 화전우방아이유쉘 → 녹산농협 || 강서공영차고지 || || '''[[부산 버스 58|{{{#3399ff 58}}}]]''' || 녹산하수처리장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 농심 - 성고개 - 화연공원 - 조달청비축기지 - 화전우방아이유쉘 - 강서경찰서 - 국회부산도서관 - 명지환승센터 - 명지초등학교 - [[경일고등학교(부산)|경일고등학교]] - 을숙도.문화회관 || [[하단역]] || [[태영버스]] || || '''[[부산 버스 58-2|{{{#3399ff 58-2}}}]]''' || 태광금속 - 송정다리 - 용원사거리 -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경제자유구역청]]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 신호부영아파트 - 명지롯데캐슬 - 명지환승센터 - 명지스위트팰리스 - [[경일고등학교(부산)|경일고등학교]] - 을숙도.문화회관 - 하단역 - || [[사하구청]] || [[태영버스]] || || '''[[부산 버스 61|{{{#3399ff 61}}}]]''' || 녹산하수처리장 - 르노자동차 - 명지환승센터 - 호반베르디움2차.금강펜테리움2차 - [[경일고등학교(부산)|경일고등학교]] - 을숙도.문화회관 - [[하단역]] - [[신평역]] - 장림동원로얄듀크 - 장림초등학교 - 구평초등학교 - 감천사거리 -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 남부민2동주민센터 - 충무동교차로 - [[남포동(부산)|남포동]] - [[부산역]] - [[부산진역]] - 신암 - 부산진우체국 || [[동의대역]] || [[영신여객(부산)|영신여객]] || || '''[[부산 버스 124|{{{#3399ff 124}}}]]''' || 삼성전기후문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 신호중학교 - 르노자동차 - 부산한솔학교 - 오션초등학교 - 명지환승센터 - 더힐시그니처 - 더 스퀘어 - 명지초중 - 명지세동네 - 을숙도.문화회관 || [[하단역]] ||<|2> [[금진여객]] || || '''[[부산 버스 128-1|{{{#3399ff 128-1}}}]]''' || 르노자동차 - 엘크루블루오션 - 명지환승센터 - 서부지법.서부지검 - [[명지국제신도시]] - 을숙도.문화회관 - [[하단역]] - [[동아대학교]] - 엄궁동주민센터 - 학장교차로 - [[주례역]] - 백양마을 - [[신라대학교]] - [[서부산공업고등학교]] - 모라농협 - [[구명역]] - 덕천교차로 || [[구포시장]] || || '''[[부산 버스 161|{{{#3399ff 161}}}]]''' || 녹산농협 - 화전우방아이유쉘 - 강서경찰서 - 을숙도.문화회관 - [[하단역]] - [[신평역]] - 장림동원로얄듀크 - 장림초등학교 - 구평초등학교 - 감천사거리 -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 남부민2동주민센터 - 충무동교차로 - 서구청 - [[동아대학교/부민캠퍼스|동아대부민캠퍼스]] - [[구덕운동장]] - 학장교차로 - 북부산세무서.[[감전역]]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서부시외버스터미널]] || [[영신여객(부산)|영신여객]] || || '''[[부산 버스 171|{{{#3399ff 171}}}]]''' || 녹산하수처리장 - 신호중학교 - 르노자동차 - 엘크루블루오션 - 낙동강철새도래지 - 을숙도.문화회관 - [[하단역]] - 신평배고개 - 사하구청.[[당리역]] - 사하경찰서 - 구평동주민센터 - 감천항 - 감천2동 - 감천사거리 -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 남부민2동주민센터 - 충무동교차로 - 서구청- 중앙역- || 부산역 || [[영신여객(부산)|영신여객]] || || '''[[부산 버스 520|{{{#3399ff 520}}}]]''' || 태광금속 - 송정다리 - 용원사거리 -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경제자유구역청]] - [[가덕도]] -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경제자유구역청]]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 르노자동차 - 엘크루블루오션 - 명지환승센터 || 서부지법.서부지검 || [[태영버스]]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부산 버스 58-1|{{{#f58220 58-1}}}]]''' || 강서공영차고지 || 삼성전기후문 - 화물터미널 - 진해(청안동) - 용원사거리 -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경제자유구역청]] - 삼성전기기숙사 - 신호부영아파트 - 명지롯데캐슬 - 낙동강철새도래지 - 을숙도.문화회관 || [[하단역]] || [[태영버스]]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부산 버스 1005|{{{#f58220 1005}}}]]''' ||<|3> 강서공영차고지 || 르노자동차 - 부산차량등록사업소 - 명지환승센터 - 국회부산도서관 - 강서경찰서 - 세산교차로 - 지사휴먼시아 - 지사과학산단 - 지사휴먼시아 - 미음산단 - [[한국해양대학교/캠퍼스|한국해양대학교서부산융합캠퍼스]]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렛츠런파크]] - {{{#aaa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서부시외버스터미널]] || [[태영버스]] || || '''[[부산 버스 1009|{{{#f58220 1009}}}]]''' || 삼성전기후문 - 부산신항 - 가덕도선창 - 부산신항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 송정초등학교 - 르노자동차 - 명지롯데캐슬 - 명지환승센터 || 서부지법.서부지검 || [[금진여객]] || || '''[[부산 버스 1009-1|{{{#f58220 1009-1}}}]]''' || 르노자동차 - 명지환승센터 - 호반베르디움2차.금강펜테리움2차 - [[경일고등학교(부산)|경일고등학교]] - [[서부산유통단지역]] - [[김해국제공항]] - [[강서구청역]] - (← [[구포시장]] ←) - 모라119안전센터 - [[백양터널]] - 국제백양아파트 - 당감시장 - 부암교차로 - [[부산시민공원]] - [[부전시장]] || [[서면]][* 부암역.부산도시공사에서 회차한다.] || [[태영버스]]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부산 버스 58-1|{{{#666666 58-1[br]심야}}}]]''' ||<|2> 강서공영차고지 || 삼성전기후문 - 화물터미널 - 진해(청안동) - 용원사거리 -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경제자유구역청]] - 삼성전기기숙사 - 신호부영아파트 - 명지롯데캐슬 - 명지환승센터 - [[명지국제신도시]] - 을숙도.문화회관 || [[하단역]] || [[태영버스]] || || '''[[부산 버스 58-2|{{{#666666 58-2[br]심야}}}]]''' || 태광금속 - 송정다리 - 용원사거리 -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경제자유구역청]]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 신호부영아파트 - 명지롯데캐슬 - 명지환승센터 - 명지스위트팰리스 - [[경일고등학교(부산)|경일고등학교]] - 을숙도.문화회관 - 하단역 || [[사하구청]] || [[태영버스]] || * 중간경유 노선 * [[부산 버스 강서9]] * [[부산 버스 강서9-1]] == 여담 == 정식 명칭은 강서공영차고지가 되었지만 서울에도 [[강서공영차고지(서울)|같은 이름의 차고지]]가 존재한다. 보통 구분을 위해 부산 강서공영차고지로 불리기도 하고 동호인들 사이에서는 화전공영차고지로 자주 불린다. [[분류:부울경의 버스차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