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9대 부산시의원/지역구)] ||<-4> '''[[부산광역시|[[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height=20]]]] {{{#fff [[부산광역시|{{{#fff 부산광역시}}}]]의 [[부산광역시의회|{{{#fff 의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부산광역시의회|[[파일:지방의회 휘장.svg|height=70]]]]}}}||{{{#!wiki style="margin: -5px 0" '''{{{+2 {{{#fff 강서구 제1선거구}}}}}}'''[br]{{{-1 {{{#fff 대저동, 강동동, 명지1동, 가락동[br]江西區 第一選擧區[br]Gangseo District 1}}}}}}}}}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강서구_제1선거구(부산)8.png|width=100%]]}}} || ||<-2> '''선거인 수''' ||<-2> 58,235명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 ||<-2> '''상위 행정구역''' ||<-2> [[부산광역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강서구 일부'''[br]대저1동, 대저2동, 강동동, 명지1동, 가락동}}} || ||<-2> '''시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 || [[이종환(1960)|이종환]] ,,(재선),,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부산광역시]] [[강서구(부산광역시)|강서구]]의 일부 지역을 관할한다. [[김해국제공항]]이 이 곳에 위치해있어 부산을 비롯한 [[부울경]]의 [[항공]] 교통의 거점인 지역이다.[* [[가덕도신공항]]이 개항할 경우 [[강서구 제2선거구(부산)|옆 지역구]]로 이 역할이 옮겨질 예정이다.] 원래 보수세가 초강세를 보였고 그나마 나오는 진보세도 인구가 비교적 있는 북부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5회 지선]]만 봐도 [[부산광역시장]] 선거에서 [[김정길(1945)|김정길]] 후보가 이긴 곳이 [[대저동]]과 [[강동동(부산)|강동동]]이였다.], [[명지국제신도시]]가 개발되면서 부산에서 가장 [[더불어민주당]] 지지세가 가장 강한 지역 중 한 곳으로 변모했다. 다만 농촌 지역도 다수 끼고 있다보니 [[녹산동]]까지 민주당세에 가담하는 [[강서구 제2선거구(부산)|옆 지역구]]보다는 보수세가 강하다. 그리고 아직까지는 그래도 [[국민의힘]] 지지세가 대체로 더 높은 편이라 격차에 차이가 있다 해도 다른 부산 지역처럼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7회 지선]] 때를 제외하면 모두 보수 성향의 후보가 승리했다. == 역대 선거 결과 == || 대수 || 당선자 || 당적 || 임기 || 비고 || ||<-5> '''강서구 제1,2,3선거구''' || ||<|3> 제2대 || [[박광명]] || [include(틀:민주자유당)] ||<|3>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 강서구 제1선거구 ('''대저1동''', '''대저2동''')] || || 전선택 || [include(틀:무소속)] || [* 강서구 제2선거구 ('''강동동''', '''명지동''')] || || [[조용원(정치인)|조용원]] || [include(틀:민주자유당)] || [* 강서구 제3선거구 ('''가락동''', 녹산동, 천가동)] || ||<-5> '''강서구 제1,2선거구''' || ||<|2> 제3대 || 김원준 ||<|4>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2>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 강서구 제1선거구 ('''대저1동''', '''대저2동''', '''강동동''')] || || [[구대언]] || [* 강서구 제2선거구 ('''명지동''', '''가락동''', 녹산동, 천가동)] || ||<|2> 제4대 || 김원준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6] || || [[강인길]] || [[2002년]] [[7월 1일]] ~ [[2005년]] [[4월 1일]][* [[2005년 재보궐선거|2005년 상반기 재보선]] [[강서구청장(부산)|강서구청장]] 재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 [[홍준표|보궐선거를 치루지 않기 위해 보궐선거 해당 시한을 지난 뒤 사퇴해버리면서]] 보궐선거를 치루지 않게 되었다.] || [*7] || ||<|2> 제5대 || 이성두 ||<|2> [include(틀:한나라당)] ||<|2>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6] || || [[조용원(정치인)|조용원]] || [*7] || ||<|2> 제6대 || 이병조 || [include(틀:무소속)] ||<|2> [[2010년]] [[7월 1일]] ~ [[2014년]] [[3월 12일]][*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6회 지선]] [[강서구청장(부산)|강서구청장]] 재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 || [*6] || || [[이종환(1960)|이종환]] || [include(틀:한나라당)] || [*7] || ||<-5> '''강서구 제1선거구''' || || 제7대 || 김진용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 '''대저1동''', '''대저2동''', '''강동동''', '''명지동'''(1~15,18~20통), '''가락동'''] || || 제8대 || [[김동일(1961)|김동일]]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2> [* '''대저1동''', '''대저2동''', '''강동동''', '''명지1동''', '''가락동'''][* [[2018년]] [[1월 1일]]에 명지동이 명지1,2동으로 분동됐다.] || || 제9대 || [[이종환(1960)|이종환]] || [include(틀:국민의힘)] || [[2022년]] [[7월 1일]] ~ 현재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강서구 제1선거구'''}}}}}}[br]{{{#ffffff 대저1동, 대저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광명(朴光明)''' || '''5,539''' || '''1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37.04%''' || '''당선''' || ||<|2> {{{#FFFFFF {{{+5 '''2'''}}}}}} || 김덕건(金德健) || 3,116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20.84% || 낙선 || ||<|2> {{{#ffffff {{{+5 '''3'''}}}}}} || 박정길(朴正吉) || 4,264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8.51% || 낙선 || ||<|2> {{{#FFFFFF {{{+5 '''4'''}}}}}} || 조광래(趙光來) || 2,034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13.6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2,164 ||<|3> '''투표율'''[br]70.53% || || '''투표 수''' || 15,633 || || '''무효표 수''' || 681 || ||<-4> {{{#ffffff {{{+1 '''강서구 제2선거구'''}}}}}}[br]{{{#ffffff 강동동, 명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서판명(徐坂明) || 5,389 || 2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48.43% || 낙선 || ||<|2> {{{#FFFFFF {{{+5 '''2'''}}}}}} || '''전선택(全善鐸)''' || '''5,738'''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51.56%'''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15,766 ||<|3> '''투표율'''[br]73.91% || || '''투표 수''' || 11,653 || || '''무효표 수''' || 526 || ||<-4> {{{#ffffff {{{+1 '''강서구 제3선거구'''}}}}}}[br]{{{#ffffff 가락동, 녹산동, 천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조용원(정치인)|조용원]](趙鏞元)''' || '''4,697''' || '''1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43.10%''' || '''당선''' || ||<|2> {{{#FFFFFF {{{+5 '''2'''}}}}}} || [[구대언]](具大彦) || 3,974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36.47% || 낙선 || ||<|2> {{{#ffffff {{{+5 '''3'''}}}}}} || [[김진옥(1966)|김진옥]](金陳玉) || 2,225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20.4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3,895 ||<|3> '''투표율'''[br]82.13% || || '''투표 수''' || 11,412 || || '''무효표 수''' || 516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강서구 제1선거구'''}}}}}}[br]{{{#ffffff 대저1동, 대저2동, 강동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원준(金元俊)''' || '''10,583'''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67.26%''' || '''당선''' || ||<|2> {{{#ffffff {{{+5 '''4'''}}}}}} || 박광명(朴光明) || 5,151 || 2위 || || [include(틀:국민신당)] || 32.7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8,332 ||<|3> '''투표율'''[br]57.76% || || '''투표 수''' || 16,365 || || '''무효표 수''' || 631 || ||<-4> {{{#ffffff {{{+1 '''강서구 제2선거구'''}}}}}}[br]{{{#ffffff 명지동, 가락동, 녹산동, 천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구대언]](具大彦)''' || '''15,484'''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58.64%''' || '''당선''' || ||<|2> {{{#FFFFFF {{{+5 '''2'''}}}}}} || 강재권(姜在權) || 780 || 4위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6.36% || 낙선 || ||<|2> {{{#ffffff {{{+5 '''4'''}}}}}} || [[조용원(정치인)|조용원]](趙鏞元) || 3,199 || 3위 || || [include(틀:국민신당)] || 26.10% || 낙선 || ||<|2> {{{#FFFFFF {{{+5 '''5'''}}}}}} || [[강인길]](姜仁吉) || 3,652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8.8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0,981 ||<|3> '''투표율'''[br]62.53% || || '''투표 수''' || 13,121 || || '''무효표 수''' || 867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강서구 제1선거구'''}}}}}}[br]{{{#ffffff 대저1동, 대저2동, 강동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원준(金元俊)''' || '''8,186'''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56.95%''' || '''당선''' || ||<|2> {{{#FFFFFF {{{+5 '''3'''}}}}}} || 박광명(朴光明) || 3,239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2.53% || 낙선 || ||<|2> {{{#FFFFFF {{{+5 '''4'''}}}}}} || 서판명(徐坂明) || 2,947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20.5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5,998 ||<|3> '''투표율'''[br]57.59% || || '''투표 수''' || 14,974 || || '''무효표 수''' || 602 || ||<-4> {{{#ffffff {{{+1 '''강서구 제2선거구'''}}}}}}[br]{{{#ffffff 명지동, 가락동, 녹산동, 천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 || '''[[강인길]](姜仁吉)''' || '''-'''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 || '''[[무투표 당선|{{{#373a3c,#dddddd 무투표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 ||<|3> '''투표율'''[br]- || || '''투표 수''' || - || || '''무효표 수''' || -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강서구 제1선거구'''}}}}}}[br]{{{#ffffff 대저1동, 대저2동, 강동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000000 {{{+5 '''1'''}}}}}} || 김형복(金炯福) || 3,933 || 2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7.53% || 낙선 || ||<|2> {{{#FFFFFF {{{+5 '''2'''}}}}}} || '''이성두(李成斗)''' || '''6,007'''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42.05%''' || '''당선''' || ||<|2> {{{#FFFFFF {{{+5 '''4'''}}}}}} || 박상봉(朴相奉) || 785 || 5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5.49% || 낙선 || ||<|2> {{{#FFFFFF {{{+5 '''6'''}}}}}} || 박광명(朴光明) || 1,388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9.71% || 낙선 || ||<|2> {{{#FFFFFF {{{+5 '''7'''}}}}}} || 정병준(鄭秉俊) || 2,169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5.1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4,979 ||<|3> '''투표율'''[br]58.11% || || '''투표 수''' || 14,517 || || '''무효표 수''' || 235 || ||<-4> {{{#ffffff {{{+1 '''강서구 제2선거구'''}}}}}}[br]{{{#ffffff 명지동, 가락동, 녹산동, 천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000000 {{{+5 '''1'''}}}}}} || 이홍대(李弘大) || 2,753 || 2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2.78% || 낙선 || ||<|2> {{{#FFFFFF {{{+5 '''2'''}}}}}} || '''[[조용원(정치인)|조용원]](趙鏞元)''' || '''4,737'''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39.20%''' || '''당선''' || ||<|2> {{{#FFFFFF {{{+5 '''6'''}}}}}} || 공광욱(孔光旭) || 1,329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10.99% || 낙선 || ||<|2> {{{#FFFFFF {{{+5 '''7'''}}}}}} || 김국정(金國正) || 2,087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7.27% || 낙선 || ||<|2> {{{#FFFFFF {{{+5 '''8'''}}}}}} || 이정중(李正仲) || 1,176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9.7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817 ||<|3> '''투표율'''[br]62.38% || || '''투표 수''' || 12,362 || || '''무효표 수''' || 280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강서구 제1선거구'''}}}}}}[br]{{{#ffffff 대저1동, 대저2동, 강동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성두(李成斗) || 5,732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42.88% || 낙선 || ||<|2> {{{#ffffff {{{+5 '''7'''}}}}}} || '''이병조(李炳祚)''' || '''7,633'''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57.11%'''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23,255 ||<|3> '''투표율'''[br]59.63% || || '''투표 수''' || 13,867 || || '''무효표 수''' || 502 || ||<-4> {{{#ffffff {{{+1 '''강서구 제2선거구'''}}}}}}[br]{{{#ffffff 명지동, 가락동, 녹산동, 천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종환(1960)|이종환]](李種煥)''' || '''6,592'''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42.54%''' || '''당선''' || ||<|2> {{{#FFFFFF {{{+5 '''7'''}}}}}} || [[조용원(정치인)|조용원]](趙鏞元) || 5,628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36.32% || 낙선 || ||<|2> {{{#FFFFFF {{{+5 '''8'''}}}}}} || 공광욱(孔光旭) || 3,275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21.1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7,582 ||<|3> '''투표율'''[br]58.24% || || '''투표 수''' || 16,065 || || '''무효표 수''' || 570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강서구 제1선거구'''}}}}}}[br]{{{#ffffff 대저1동, 대저2동, 강동동, 명지동(1~15,18~20통), 가락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진용(金進龍)''' || '''8,175'''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48.49%''' || '''당선''' || ||<|2> {{{#FFFFFF {{{+5 '''3'''}}}}}} || 이대진(李大珍) || 1,517 || 4위 || || [include(틀:통합진보당)] || 8.99% || 낙선 || ||<|2> {{{#FFFFFF {{{+5 '''4'''}}}}}} || 조경환(曺敬煥) || 3,595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1.32% || 낙선 || ||<|2> {{{#FFFFFF {{{+5 '''5'''}}}}}} || 이성두(李成斗) || 3,570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21.1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30,051 ||<|3> '''투표율'''[br]57.79% || || '''투표 수''' || 17,367 || || '''무효표 수''' || 510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강서구 제1선거구'''}}}}}}[br]{{{#ffffff 대저1동, 대저2동, 강동동, 명지1동, 가락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동일(1961)|김동일]](金同一)''' || '''15,323'''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61.32%''' || '''당선''' || ||<|2> {{{#FFFFFF {{{+5 '''2'''}}}}}} || 서광수(徐光洙) || 9,663 || 2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38.6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42,429 ||<|3> '''투표율'''[br]60.63% || || '''투표 수''' || 25,728 || || '''무효표 수''' || 742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강서구 제1선거구'''}}}}}}[br]{{{#ffffff 대저1동, 대저2동, 강동동, 명지1동, 가락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동일(1961)|김동일]](金同一) || 11,262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1.82% || 낙선 || ||<|2> {{{#FFFFFF {{{+5 '''2'''}}}}}} || '''[[이종환(1960)|이종환]](李種煥)''' || '''15,662'''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58.17%''' || '''{{{#000000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58,235 ||<|3> '''투표율'''[br]47.25% || || '''투표 수''' || 27,516 || || '''무효표 수''' || 592 ||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김동일 시의원이 그대로 단수공천받으며 재선에 도전한다. [[국민의힘]]에서는 김진용 전 시의원은 [[강서구청장(부산)|구청장]] 선거를 준비중이고[* 막상 [[김형찬]] 후보가 단수공천 받으며 컷오프되었다. 이에 반발하여 [[무소속(정치)|무소속]] 출마 선언을 했으나, 실제로 출마하진 않았다.], 서광수 전 [[부산광역시청|시청]] 비서관은 낙선 이후 정치적 행보가 없어 새 후보를 찾아야 한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난 지선]] 때 구청장 선거에 출마했다 낙선한 [[이종환(1960)|이종환]] 전 시의원[* 초선 당시 지역구는 [[낙동강]] 이서 지역과 [[명지동]]으로, 현재 지역구 기준으로 [[강서구 제2선거구(부산)|옆 지역구]]와 지역구가 더 많이 일치하긴 하나, [[가락동(부산)|가락동]]과 [[명지동(부산)|명지동]]이 이 지역에 속해있고 보수세도 비교적 더 높은 편이라 여기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이 단수공천을 받으며 재선에 도전한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정치)|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가 형성되었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이종환 후보가 여유롭게 8년만에 시의회에 복귀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역시나 [[명지동(부산)|명지1동]]에서 54.9% : 45.1%로 가장 좁은 격차였으며 유일하게 한 자릿수 격차였다. 그리고 [[대저2동]]에서 56.1% : 43.9%로 의외로 김동일 후보가 40%를 넘었다. 하지만 나머지 지역에서는 이종환 후보가 60% 후반대의 더블 스코어로 압살하며 격차를 16%p 이상까지 더 벌렸다. 관외사전투표에서는 57.9% : 42.1%로 일반적으로 더불어민주당에게 비교적 우호적인 표심이 나오는 양상과는 달리 관내투표와 유의미한 차이는 나지 않았다. 그나마 같이 치러진 [[부산광역시장]] 선거나 [[강서구청장(부산)|강서구청장]] 선거에 비하면 높은 득표율을 올렸고, 이번 부산시의원 선거 에서 더불어민주당이 40% 이상 받은 5곳 중 한 곳이 되면서 부산에서 가장 강한 민주당세를 다시 한번 입증하였다. [[분류:선거구/부산광역시]][[분류:강서구(부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