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강서구(서울)]][[분류:서울특별시의 교통]]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강서구(서울특별시))]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교통)] [목차] == 개관 == [include(틀:강서구(서울)의 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교통에 대해 정리한 문서. [[인천항]]과 [[인천국제공항]]으로 인해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부천시]]를 지나오가는 서울 서부지역의 관문이다. == 도시.광역철도 == 현재 전철 노선은 [[수도권 전철 5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김포 골드라인]], 그리고 [[까치산역]]에서 5호선과 연결되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이 있다. [[화곡역]] 또는 [[까치산역]]을 출발해 강서구청을 지나 [[홍대입구역]]을 잇는 노선이 현재 강서구의 제일 큰 지하철 떡밥이다. 예전에 신정지선을 강서구청 또는 [[가양역]]까지 연장하겠다는 구의원 후보가 나오는가 하면 2011년 6월엔 [[화곡역]]과 [[홍대입구역]]을 잇는 서울 지하철 9-1호선의 건설을 제안하는 서울시의회 건설위원회 소속 시의원도 [[http://www.siminilbo.co.kr/main/list.html?bmain=view&num=272005&lcode=01&mcode=0101002|있었다.]] 결국엔 2013년 8월 새로운 [[서울 경전철]] 계획에 [[화곡역]]-[[홍대입구역]] 노선이 새롭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4&aid=0002937739|후보노선]]으로 채택되었다. 자세한 건 [[대장홍대선]] 참조. [[서울 지하철 5호선]]의 [[마곡역]]은 마곡지구 개발을 염두에 두고서 허허벌판에 건설했는데, 당연히 수요의 ㅅ자도 넘볼 수 없었던지라 1996년 3월 [[방화역|방화]]~[[까치산역|까치산]] 구간이 개통될 때부터 무정차 통과하다가 12년 후인 2008년 6월 20일 드디어 승객 취급을 시작했다. 이 역 남쪽으로 500~600m 정도 떨어져있는 마곡 수명산파크 단지 입주민들의 민원이 시발점이었는데, 사실 동쪽에 [[우장산역]]이 있는지라 생각만큼 수요가 나오지 않고 1일 평균 이용객 500여명 남짓 불과한 실정이었으나 '''마곡엠밸리14/15단지의 입주 이후 이용객들이 꽤 늘어났다.''' 거기에 상업지구 추가 개발도 진행중인지라 과거 무정차 시절은 고사하고 여객 취급이 시작된 2008년 6월과 비교해도 가히 상전벽해 수준이다. 이와 유사한 사례로 9호선 [[마곡나루역]]이 있는데, 2009년 7월 [[개화역|개화]]~[[신논현역|신논현]] 1단계 개통 당시에는 [[https://theqoo.net/square/1833173950|아직 주변 개발이 제대로 안된 상황이었던지라]] 앞서 언급한 마곡역과 마찬가지로 무정차 통과하다가 인근 마곡엠밸리 단지가 완공될 무렵인 2014년 5월 24일에 여객 취급을 개시했다. 그로부터 4년 후인 2018년 9월 29일에는 공항철도 마곡나루역이 개통된건 덤. 현재 지하철로 강서구청에 가는 방법은 '''사실상 없다.''' 그리고 이런 구청은 단 두 곳뿐이다.[* 다른 한 곳은 서대문구청. 서대문구청 역시 가장 가까운 곳이 [[홍제역]]이지만 직선거리가 1km가 훨씬 넘는다. 깔끔하게 7713번과 7738번으로 환승하자.] 다른 자치구는 구청이 지하철역 인근에 있지만 강서구는 인근에조차도 없다. 5호선 [[화곡역]]과 9호선 [[가양역]]이 그나마 가깝지만 전부 1km 이상 떨어져 있다. 하지만 [[마곡지구]]가 개발되면 모든 관공서들이 5호선 [[마곡역]] 인근으로 이전할 예정이다. 그러나 강서구청 근처 상권의 반대로 인하여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대장홍대선]]의 착공에 대한 기대감인지 주변에 오피스텔들이 많이 들어서고 있다. === 관내 [[철도]][[역(교통)|역]] 목록 === ||<-2>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width=20]]''' {{{#white 강서구의 철도역}}}''' || || '''철도역''' || '''역명'''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000,#fff 서울 지하철 2호선}}}]] || [[까치산역]] ||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000,#fff 수도권 전철 5호선}}}]] || [[방화역]], [[개화산역]], [[김포공항역]], [[송정역(서울)|송정역]], [[마곡역]], [[발산역]], [[우장산역]], [[화곡역]], [[까치산역]] ||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000,#fff 서울 지하철 9호선}}}]] || [[개화역]][* 강서구 소재 역 중 유일한 지상역이다.], [[김포공항역]], [[공항시장역]], [[신방화역]], [[마곡나루역]], [[양천향교역]], [[가양역]], [[증미역]], [[등촌역]], [[염창역]] || || [[파일:AREX_icon.svg|width=20]] [[인천국제공항철도|{{{#000,#fff 공항철도}}}]] || [[김포공항역]], [[마곡나루역]] || || [[파일:GoldLine_icon.svg|width=20]] [[김포 골드라인|{{{#000,#fff 김포 골드라인}}}]] || [[김포공항역]] || || [[파일:Seohae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서해선|{{{#000,#fff 수도권 전철 서해선}}}]] || [[김포공항역]] || || [[KTX|[[파일:KTX BI.svg|width=50]]]] || --[[김포공항역]]-- [*미개통] || || --[[대장홍대선|{{{#000,#fff 대장홍대선}}}]]-- || --[[강서구청역]]-- --[[화곡역]]-- --[[가양역]]-- [*미개통] || 철도역 개수가 무려 '''17개'''다. 강서구는 동서축 교통이 그나마 9호선 생긴 뒤로 나아졌지만[* 5호선은 남쪽으로 목동을 경유하여 올라가기 때문에 불편했다.] 남북축 교통은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버스에 의존적이다.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가 구내 서쪽을 남북으로 지나가지만 혜택은 마곡지구 내에서 불과하며 강서구의 중앙 중심축인 가양역과 화곡역 구간, 등촌역과 목동역쪽은 여전히 불편하다. 이에 따라 가양역과 화곡역은 [[대장홍대선]]으로, 등촌역과 목동역은 [[서울 경전철 강북횡단선]]으로 연결 추진 중에 있다. 이 노선들이 완공되면 강서구 교통망이 많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김포공항역]]은 한국에서 유일하게 5개 전철 노선이 환승하는 역이다. == 도로 == [[고속도로]]는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가 지나가고 [[경인고속도로]] [[신월IC]]와 인접되어 있다. [[국도]]는 [[6번 국도]], [[39번 국도]][* 잠깐 스쳐서 지나간다.], [[48번 국도]]가 강서구를 지나가고 특히 [[48번 국도]]는 김포와 강화군을 지나가는 관문이기도 하다. 또한 [[김포시]] [[고촌읍]]쪽 [[78번 지방도]]와 인접되어 있다. [[서울특별시도]]는 [[중랑구]]방면 [[92번 서울특별시도]]와 [[강동구]]방면 올림픽대로인 [[올림픽대로|88번 서울특별시도]]가 지나간다. [[고속화도로]]는 [[김포한강로]]와 [[올림픽대로]]등이 있다. == 버스 == 전철에 비해 버스 노선이 부실한 동네. 10년 전까지만 해도 [[서울 버스 710|161번]][* 방화동(당시 공항버스 차고지)-[[김포국제공항]]-연대정문-[[종로]]-[[수유역]]-[[도봉공영차고지]]]이 잘 다니다가, 주민들과 강서구청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결국 방화동-마포 구간을 잘라먹고 [[상암공영차고지]]로 옮겨 [[서울 버스 710|710번]]으로 변경되었다. 대체 노선으로 [[서울 버스 601|601번]]이 있긴 하지만. 실제로도 여기서 [[부도심]] 가는 버스들은 [[경기도]] 버스가 많다. 간선도로엔 부도심이나 도심행 버스가 있으니 그나마 다행이지만, 이외 지역은 그런 것도 아니다. 그래도 [[서울 지하철 9호선]]이 개통된 덕에 강남 쪽으로의 이동은 편해졌다. 시외버스정류장은 김포공항내 [[김포공항터미널]]이 있다. == [[공항]] == [[공항동]]에 [[김포국제공항]]이 소재해 있고 공항철도로 가면 [[인천국제공항]]으로 쉽고 빠르게 진출입할수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강서구(서울특별시), version=1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