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강서구(서울) 소재 관공서]][[분류:서울특별시의 기초자치단체 청사]][[분류:강서구(서울)]]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기초자치단체 청사)] ||<-3>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svg|width=20]][br] {{{+2 {{{#000 '''강서구청'''}}}}}}[br]{{{#000 江西區廳 | Gangseo-gu Offic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seoulgangseogu.jpg|width=100%]]}}} || ||<-3>{{{#!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강서구청, 너비=100%, 높이=100%)]}}} || || '''주소''' ||<-2>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화곡로]] 302 || || '''국가''' ||<-2> [include(틀:국기,국명=대한민국)] || || '''관할 구역''' ||<-2>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 || '''직원 수''' ||<-2> 1,006명 || || '''예산''' ||<-2> 1조 304억 원 ([[2021년]]) || || '''구청장''' || [[진교훈]] ,,(초선),,[* 민선 [[2023년 하반기 재보궐선거|8]]기]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부구청장''' ||<-2> 박대우[*2급 [[이사관|지방이사관(2급)]]] || || '''상급 기관''' ||<-2> [[대한민국 정부]] [[행정안전부]] [br][[서울특별시청]] || || '''홈페이지''' ||<-2> [[http://gangseo.seoul.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 '''SNS''' ||<-2> [[https://blog.naver.com/gangseokkachi|[[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https://youtube.com/user/gangseotv|[[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facebook.com/smartgangseo|[[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lymefeel, 크기=20)] | [[https://story.kakao.com/ch/gangseogu|[[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강서구청'''은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의 행정을 총괄하는 기관이자 그 기관이 입주한 곳으로 [[화곡동]]에 위치한다. 참고로 강서구의회는 좀 떨어진 [[등촌동]]에 위치한다. [[대장홍대선]]이 개통할 경우 구청 앞에 [[강서구청역(서울)|강서구청역]]이 생길 예정이다. 다만 대장홍대선은 2030년 이후에 개통될 예정이고 강서구청은 그보다 앞선 2026년 마곡 신청사로 이사를 가기 때문에 구청 앞에 있는 역은 대장홍대선이 아닌 [[서울 지하철 5호선]] [[마곡역]]이 될 예정이다. || [[파일:Gangseo District Office Notice.jpg|width=100%]] || || 강서구청 안내판 || == 역사 == 강서구청 청사는 [[1977년]] 강서구 분리 당시 지어졌으므로, 46년 가까이 된 청사이다.[* 여기보다 더 오래된 청사는 무려 '''1922년'''에 지어진 [[종로구청]]이 있었으며(현재는 재건축 공사로 임시청사로 이전), 그 외에 1966년 지어진 [[광진구청]], 1975년 지어진 [[강남구청]]이 있다.] 건물 노후화로 인해 [[마곡지구]]로 이전할 예정이다. 신청사는 [[강서구의회(서울)|강서구의회]], 강서구보건소 등이 포함된 복합 청사이다. 청사 이전에 대해 살펴보면, [[2011년]] 이전부터 청사 이전 계획은 있었던 듯 하다. 그러나 [[2011년]] [[이명박 정부]] 당시 행안부에서 [[마곡역]] 앞 호화청사 신축은 안 된다며 청사 이전 계획은 중단되었다. 그러나 [[2020년]] 9년 만에 행안부의 청사 건립 승인을 받게 되어 신청사 건립을 확정지었다고 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강서구(서울특별시), version=867, paragraph=3)] [[파일:202108031105123215_0.jpg]] [[2021년]] [[8월 3일]] 공개된 강서구청 신청사 [[조감도]]. 진경도원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현재 목표로 하는 신청사 이전은 [[2026년]] [[12월]]이며[* 2026년 말이면 민선 9기가 들어선 이후이다.], 이전 위치는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마곡동]] 745-3번지이다. [[마곡역]]이 근처에 위치[* 마곡역 1번출구에서 200m, 도보 2~3분 거리다.]하여 신청사 개관 시 강서구 주민들의 구청 방문 편의성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 [[강서구청장(서울)|역대 구청장]]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1963년부터 1977년까지 現 강서구 지역을 관리했던 사람, rd1=영등포구청, paragraph1=2.1)]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강서구청장(서울))] [include(틀:서울특별시 강서구청장)] == 조직 == * 각 국장, 보건소장은 [[서기관|지방서기관(4급)]], 각 과장, 담당관, 단장은 [[사무관|지방사무관(5급)]]. * [[강서구청(서울)#s-2.1|구청장]][*1급] * 감사담당관 * 신청사건립추진단 * [[부구청장]][*2급] * 행정관리국[*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느낌의 부서.] * 행정지원과 * 자치행정과 * 협치분권과 * 문화체육과 * 교육지원과 * 민원여권과 * 기획재정국[* 이름 그대로 [[기획재정부]] 느낌의 부서.] * 기획예산과 * 홍보정책과 * 재무과 * 세무관리과 * 세무1과 * 세무2과 * 미래경제국[* [[기획재정부]], [[대한민국 환경부|환경부]] 느낌의 부서.] * 지역경제과 * 일자리정책과 * 스마트도시과 * 정보통신과 * 녹색환경과 * 자원순환과 * 생활복지국[* [[보건복지부]] 느낌의 부서.] * 복지정책과 * 생활보장과 * 장애인복지과 * 가족정책과 * 어르신복지과 * 아동청소년과 * 도시관리국[*A [[국토교통부]] 느낌의 부서.] * 주택과 * 도시디자인과 * 도시계획과 * 도시재생과 * 건축과 * 공원녹지과 * 부동산정보과 * 안전교통국[*A] * 안전관리과 * 건설관리과 * 도로과 * 물관리과 * 교통행정과 * 주차관리과 === 직속 기관 === * [[서울특별시 강서구보건소|강서구보건소]] * 보건행정과 * 건강관리과 * 의약과 * 위생관리과 * [[강서구의회(서울)|강서구의회]] 의회사무국 * 의정팀 * 의사팀 * 의회공보팀 * [[강서구시설관리공단]] * [[강서구립도서관]] * [[서울특별시교육청강서도서관]] * 등빛도서관 * 가양도서관 * 강서영어도서관 * 곰달래도서관 * 길꽃어린이도서관 * 꿈꾸는어린이도서관 * 우장산숲속도서관 * 푸른들청소년도서관 === 휘하 주민센터 === * 가양1동주민센터 * 가양2동주민센터 * 가양3동주민센터 * 공항동주민센터 * 등촌1동주민센터 * 등촌2동주민센터 * 등촌3동주민센터 * 발산1동주민센터 * 방화1동주민센터 * 방화2동주민센터 * 방화3동주민센터 * 우장산동주민센터 * 염창동주민센터 * 화곡본동주민센터 * 화곡1동주민센터 * 화곡2동주민센터 * 화곡3동주민센터 * 화곡4동주민센터 * 화곡6동주민센터 * 화곡8동주민센터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2>
{{{+1 {{{#373A3C,#dddddd '''강서구청.한국건강관리협회(16139·16140)'''}}}}}} || ||<-2>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 [[간선버스(서울)|{{{#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04|{{{#ffffff 604(신월동-중구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06|{{{#ffffff 606(부천상동-조계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50|{{{#ffffff 650(외발산동-낙성대입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52|{{{#ffffff 652(신월동-금천우체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73|{{{#ffffff 673(부천상동-이대부고)}}}]]}}}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5712|{{{#ffffff 5712(가산동-홍대입구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514|{{{#ffffff 6514(양천차고지-서울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627|{{{#ffffff 6627(양천차고지-이대목동병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629|{{{#ffffff 6629(방화동-영등포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642|{{{#ffffff 6642(개화역-가양9단지)}}}]]}}} || ||<-2> '''경기도 시내버스''' || || {{{#ffffff 일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부천 버스 70-2|{{{#ffffff 부천70-2(춘의동-국회의사당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부천 버스 70-3|{{{#ffffff 부천70-3(대장동-경방타임스퀘어)}}}]]}}} || ||<-2>
{{{+1 {{{#373a3c,#dddddd '''강서구청후문(16910)'''}}}}}} || || [[마을버스|{{{#ffffff 마을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강서02|{{{#ffffff 강서02(남부시장-하이웨이주유소)}}}]]}}} || === [[도시철도]] ===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5]] [[서울 지하철 5호선]] [[화곡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5]] [[서울 지하철 5호선]] [[발산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5]] [[서울 지하철 5호선]] [[우장산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5]] [[서울 지하철 9호선]] [[등촌역]] == 여담 == * 구청 주변에 번화가가 있어 지역 주민들에게 '강구베가스'로 불린다고 한다. * 서울 강서구가 대한민국 전국 지자체 최초로 [[버츄얼 유튜버]]를 시작했다. 자세한 내용은 [[새로미]] 문서를 참조. == 관련 문서 == * [[강서구(서울특별시)]] * [[나무위키 관공서 프로젝트]] * [[강서구청(부산)]] - 이름이 같은 몇 안 되는 관공서다. * [[강서구청역(서울)]] * [[강서구시설관리공단]] * [[강서구립도서관]] * [[서울특별시교육청강서도서관]] * [[서울특별시강서양천교육지원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