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기초자치단체장(민선 8기))] ---- [include(틀:서울특별시 강서구청장)] ---- ||<-2> [[강서구(서울특별시)|[[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width=30]]]][br]'''{{{+1 서울특별시 강서구청장}}}[br]서울特別市 江西區廳長[br]{{{#!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yor of Gangseo-gu}}}'''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진교훈|[[파일:진교훈_캠프샷.jpg|width=100%]]]]}}} || || '''현직''' ||[[진교훈]] ,,/ 제18대 (민선 [[2023년 하반기 보궐선거|8]]기),, || || '''취임일''' ||[[2023년]] [[10월 12일]] || || '''정당''' ||[include(틀: 더불어민주당)] || || '''홈페이지''' ||[[https://www.gangseo.seoul.kr/mayor/index|강서구 열린구청장실]]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강서구청장'''은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를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기초자치단체장]]이다. 근무지는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화곡로]] 302에 있는 [[강서구청(서울)|강서구청]]이다. 1급 공무원 상당의 대우를 받고, 4년에 1회마다 치러지는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주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3회까지 연임할 수 있다. == 상세 == 총 12명[* 관선 8명, 민선 4명.]의 구청장이 강서구를 총괄했다. 강서구는 보수 지지층도 상당했지만 최근엔 [[민주당계 정당]]이 강세를 보인다. 민선 이후 사실상 [[2006년]] ~ [[2010년]], 딱 4년을 제외하면 유영, 노현송 전 구청장이 구청장직을 독식한 구조이다. 유영 전 구청장의 경우 본래 [[민주정의당]], [[정주영]]의 [[통일국민당]] 정치인이었으나 [[민주당계 정당]]으로 전향해 민선 1기는 [[민주당(1991년)]] 소속으로, 민선 3기는 다시 [[한나라당]] 소속으로 나가 당선되었다.[* [[유영(정치인)]] 문서를 보면 나와 있겠지만 강서구청장 선거에 총 5번 나갔다.] 현재는 [[새누리당]], [[자유한국당]] 당협위원장도 맡았던 [[국민의힘]] 소속 지역 정치인이다. [[유영(정치인)|유영]] 전 구청장과 [[노현송]] 전 구청장이 사실상 강서구청장 선거를 독식했다고 보면 된다. 유영 전 구청장의 경우 1998년 선거에서 [[한나라당]], 2006년, 2007년 선거에서도 [[열린우리당]] 후보를 제치고 2위를 한 걸 보면 지역 내에서 얼마나 영향력이 큰 지 알 수 있다. == 역대 구정 목표 == || '''구청장''' || '''구정 목표''' || || [[유영(정치인)|유영]] ,,(민선 1기),, || - || || [[노현송]] ,,(민선 2기),, || 따뜻한 가슴으로 여는 눈높이 행정 || || [[유영(정치인)|유영]] ,,(민선 3기),, || 미래를 열어 가는 건강한 강서 || || [[김도현(1943)|김도현]] ,,(민선 4기),, || 역동하는 매력도시 강서 || || [[김재현(1941)|김재현]] ,,(민선 4기),, || 번영과 미래, 희망의 도시 강서 || || [[노현송]] ,,(민선 5-7기),, || 세계로! 미래로! 웅비하는 강서[br]중단 없는 도약, 명품도시 강서[br]조화로운 성장 삶이 아름다운 강서 || || [[김태우(1975)|김태우]] ,,(민선 8기),, || 변화로 만드는 미래, 구민과 도약하는 강서 || || '''[[진교훈]] ,,(민선 8기),,''' || '''함께 더하는 미래, 같이 나누는 강서''' || == 명단 == === 과거 강서구가 속했던 지역의 장 === ||
'''대수''' || '''성명''' || '''재임 기간''' || '''정부 및 당적[* 관선의 경우 임명 정부명 기재, 민선의 경우 당선 시 기준. 당적 변동 사항은 각주로 기재]''' || '''기타''' || ||<-5> '''간선 경기도 김포군 양서면장''' || ||<-5> '''직선 경기도 김포군 양서면장''' || || [[1956년 지방선거|초대]] ||<|2> 윤효여 || ||<|2> [include(틀:무소속)] || || [[1960년 지방선거|2대]] || ||<-5> '''관선 경기도 김포군 양서면장''' || ||<-5>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청]] [[양서출장소]]장''' || || 초대 || 권혁종 || || 2대 || 유갑선 || || 3대 || 김기동 || || 4대 || 강천희 || || 5대 || 권효안 || || 6대 || 권이긍 || || 7대 || 김계호 || || 8대 || 최 홍 || || 9대 || 김제량 || ||<-5> || ||<-5> '''간선 경기도 김포군 양동면장''' || ||<-5> '''직선 경기도 김포군 양동면장''' || || [[1956년 지방선거|초대]] || || || [[1960년 지방선거|2대]] || 김정묵 || ||<-5> '''관선 경기도 김포군 양동면장''' || ||<-5>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청]] [[양동출장소]]장''' || || 초대 || 윤민 || || 2대 || 김기동 || === 강서구청장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1963년부터 1977년까지 현 강서구 지역을 관리했던 사람, rd1=영등포구청, paragraph1=2.1)] * 국회의원, 시·도지사, 차관급 이상의 직을 역임한 구청장에게는 '''볼드체''' 표시함. ||
'''대수''' || '''성명''' || '''재임 기간''' || '''정부 및 당적[* 관선의 경우 임명 정부명 기재, 민선의 경우 당선 시 기준]''' || '''기타''' || ||<-5> '''관선 서울특별시 강서구청장'''[*3급 [[부이사관|지방부이사관(3급)]]] || || 초대 || [[박수복]] || [[1977년]] [[9월 1일]] ~ [[1979년]] [[6월 21일]] ||<|2> '''[[대한민국 제4공화국|{{{#000 제4공화국}}}]]''' || 前 [[자민련]] [[양천구 갑]] 지구당위원장[* [[통일민주당]], [[통일국민당]] 지구당위원장도 역임했고, 13, 14, 15대 총선에도 출마하였으나 모두 낙선하였다.] || || 2대 || '''신성호''' || [[1979년]] [[6월 22일]] ~ [[1981년]] [[12월 18일]] || 前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농수산물도매시장관리공사]] 사장[* [[문민정부]] [[이원종(1942)|이원종]] 시정] || || 3대 || [[이문재(정치인)|이문재]] || [[1981년]] [[12월 19일]] ~ [[1982년]] [[9월 9일]] ||<|3> '''[[대한민국 제5공화국|{{{#ffffff 제5공화국}}}]]''' || 前 [[중랑구청#s-2.1|중랑구청장]][* 민선 1기. [include(틀:민주당(1991년))]→[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 4대 || '''김진욱''' || [[1982년]] [[9월 10일]] ~ [[1985년]] [[3월 13일]] || 前 [[서울주택도시공사|서울도시개발공사]] 사장[* [[문민정부]] [[이원종(1942)|이원종]] 시정] || || 5대 || '''이원택''' || [[1985년]] [[3월 14일]] ~ [[1988년]] [[5월 11일]] || 前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중앙공무원교육원]]장[* [[문민정부]]. [[서울특별시 부시장]] 역임.] || || 6대 || 유중호 || [[1988년]] [[5월 12일]] ~ [[1991년]] [[7월 24일]][* [[감사원]]의 해임 요구로 해임.] ||<|2> '''[[노태우 정부|{{{#ffffff 노태우 정부}}}]]''' || 前 [[용산구청#s-2.1|관선 용산구청장]] || || 7대 || 이경배 || [[1991년]] [[7월 25일]] ~ [[1993년]] [[3월 17일]] || 前 [[마포구청#s-2.1|관선 마포구청장]] || || 8대 || '''도명정''' || [[1993년]] [[3월 18일]] ~ [[1995년]] [[6월 30일]] || '''[[문민정부|{{{#ffffff 문민정부}}}]]''' || 前 [[서울주택도시공사|서울도시개발공사]] 사장[* [[고건]] 시정] || ||<-5> '''민선 서울특별시 강서구청장'''[*1급 [[관리관|지방관리관(1급) 대우]]]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9대]] || [[유영(정치인)|유영]]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前 [[산업연구원]] 연구조정실장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10대]] || '''[[노현송]]'''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前 [[국회의원]][*17대 [[강서구 을]]. [include(틀:열린우리당)]→[include(틀:무소속)]→[include(틀:중도개혁통합신당)]→[include(틀:중도통합민주당)]→[include(틀:무소속)]→[include(틀:대통합민주신당)]→[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11대]] || [[유영(정치인)|유영]]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제9대 강서구청장 역임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12대]] || '''[[김도현(1943)|김도현]]''' || [[2006년]] [[7월 1일]] ~ [[2007년]] [[10월 26일]][*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사퇴] || [include(틀:한나라당)] || 前 [[문화체육관광부|문화체육부]] [[차관]][* [[문민정부]]. 동 정부 [[민주평통]] 사무차장도 역임했다.] || || {{{-1 권한대행}}} || 김충민 || [[2007년]] [[10월 27일]] ~ [[2007년]] [[12월 19일]] || [include(틀:권한대행 표시)] || 前 [[중구(서울)|중구]] [[부구청장]][* 구청장 권한대행 역임] || || [[2007년 재보궐선거|13대]] || [[김재현(1941)|김재현]] || [[2007년]] [[12월 20일]] ~ [[2010년]] [[6월 30일]] || [include(틀:한나라당)] || 前 한국물가조사회 이사장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14대]] ||<|3> '''[[노현송]]'''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include(틀:민주당(2008년))] ||<|3> 제10대 강서구청장 역임[br]前 [[국회의원]][*17대][br]前 [[열린우리당]] 원내수석부대표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15대]]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16대]]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17대]] || [[김태우(1975)|김태우]] || [[2022년]] [[7월 1일]] ~ [[2023년]] [[5월 18일]][* 공무상 비밀누설로 인한 집행유예형 선고로 구청장직 상실.] || [include(틀:국민의힘)] || 前 청와대 특별감찰반 || || {{{-1 권한대행}}} || 박대우 || [[2023년]] [[5월 18일]] ~ [[2023년]] [[10월 11일]] || [include(틀:권한대행 표시)] || 前 [[광진구]] [[부구청장]] || || [[2023년 하반기 재보궐선거|18대]] || [[진교훈]] || [[2023년]] [[10월 12일]] ~ [[현재]]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前 [[경찰청 차장]] || == 역대 선거 결과 == ||<-10> [[강서구(서울특별시)|[[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width=20px]]]] {{{#ffffff '''역대 [[강서구청장(서울)|{{{#ffffff 서울특별시 강서구청장}}}]] 선거 결과'''}}}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95'''}}}]]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98'''}}}]]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02'''}}}]]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06'''}}}]] || [[2007년 재보궐선거|{{{#fff ''''07'''}}}]]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10'''}}}]]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14'''}}}]]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18'''}}}]]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2'''}}}]] || [[2023년 하반기 보궐선거|{{{#ffffff ''''23'''}}}]] || || [[민주당(1991년)|{{{#ffffff {{{#!html
민주
}}}}}}]] || [[새정치국민회의|{{{#ffffff {{{#!html
국민
}}}}}}]] || [[한나라당|{{{#ffffff {{{#!html
한나라
}}}}}}]] ||<-2> [[한나라당|{{{#ffffff {{{#!html
한나라
}}}}}}]] || [[민주당(2008년)|{{{#ffffff {{{#!html
민주
}}}}}}]] || [[새정치민주연합|{{{#ffffff {{{#!html
새정치
}}}}}}]] || [[더불어민주당|{{{#ffffff {{{#!html
민주
}}}}}}]] || [[국민의힘|{{{#ffffff {{{#!html
국힘
}}}}}}]] || [[더불어민주당|{{{#ffffff {{{#!html
민주
}}}}}}]] || || [[유영(정치인)|유영]] || [[노현송]] || [[유영(정치인)|유영]] || [[김도현(1943)|김도현]] || [[김재현(1941)|김재현]] ||<-3> [[노현송]] || [[김태우(1975)|김태우]] || [[진교훈]] || ||<-10> {{{#!folding [ 2위 후보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10> {{{#ffffff '''2위 후보'''}}} || || [[민주자유당|{{{#ffffff {{{#!html
민자
}}}}}}]] || [[무소속|{{{#ffffff {{{#!html
무소속
}}}}}}]] || [[새천년민주당|{{{#ffffff {{{#!html
민주
}}}}}}]] ||<-2> [[무소속|{{{#fff {{{#!html
무소속
}}}}}}]] || [[한나라당|{{{#ffffff {{{#!html
한나라
}}}}}}]] || [[새누리당|{{{#ffffff {{{#!html
새누리
}}}}}}]] || [[자유한국당|{{{#ffffff {{{#!html
한국
}}}}}}]] || [[더불어민주당|{{{#ffffff {{{#!html
민주
}}}}}}]] || [[국민의힘|{{{#ffffff {{{#!html
국힘
}}}}}}]] || || 박승정 || [[유영(정치인)|유영]] || [[노현송]] ||<-2> [[유영(정치인)|유영]] || [[김재현(1941)|김재현]] || 김기철 || 김태성 || [[김승현(정치인)|김승현]] || [[김태우(1975)|김태우]] ||}}}}}}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1995년]] === ||<-4> [[강서구(서울특별시)|{{{+1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width=20px]]}}}]] [[강서구청장(서울)|{{{#ffffff {{{+1 '''강서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373a3c,#dddddd 박승정(朴勝正)}}} || 86,973 || 2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39.45% || 낙선 || ||<|2> {{{#ffffff {{{+5 '''2'''}}}}}} || '''[[유영(정치인)|{{{#373a3c,#dddddd 유영}}}]](兪煐)''' || '''133,445''' || '''1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60.54%'''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340,989 ||<|3> 투표율[br]66.58% || || 투표 수 || 227,026 || || 무효표 수 || 6,608 || ---- [[1995년]] [[6월 27일]] 선거, [[7월 1일]] 취임. 민주당 유영 후보가 민자당 박승정 후보를 넉넉하게 앞질렀다. 민주자유당에서는 [[민주정의당]] 때부터 강서구 지역에서 지구당 당료로 근무한 박승정 후보를, 민주당에서는 [[산업연구원]] 출신 경제연구원인 [[유영(정치인)|유영]] 후보를 공천했다. 공교롭게도 두 후보 모두 민주정의당에서 정치를 시작한 것이 공통점이다. 이 선거에서 낙선한 박승정 후보는 이후 [[강서구시설관리공단]] 이사장을 지낸다.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1998년]] === ||<-4> [[강서구(서울특별시)|{{{+1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width=20px]]}}}]] [[강서구청장(서울)|{{{#ffffff {{{+1 '''강서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373a3c,#dddddd 권혁길}}}(權赫吉) || 47,463 || 3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28.81% || 낙선 || ||<|2> {{{#ffffff {{{+5 '''2'''}}}}}} || '''[[노현송|{{{#373a3c,#dddddd 노현송}}}]](盧顯松)''' || '''58,290''' || '''1위'''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35.38%''' || '''당선''' || ||<|2> {{{#ffffff {{{+5 '''3'''}}}}}} || {{{#373a3c,#dddddd 최덕수}}}(崔德洙) || 10,259 || 4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6.22% || 낙선 || ||<|2> {{{#ffffff {{{+5 '''4'''}}}}}} || [[유영(정치인)|{{{#373a3c,#dddddd 유영}}}]](兪煐) || 48,721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9.5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357,313 ||<|3> 투표율[br]46.69% || || 투표 수 || 166,823 || || 무효표 수 || 2,090 || ---- [[1998년]] [[6월 4일]] 선거, [[7월 1일]] 취임. 현직 구청장인 [[노현송]] 전 구청장이 초선을 한 선거이다. 범여권 후보가 3명[* 국민회의 노현송, 자민련 최덕수, 무소속 유영][* 유영 전 구청장의 경우 구청장 역임 당시 민주당-국민회의 소속이었다.] 출마했으며 무소속 유영 전 구청장이 한나라당 후보를 1,258표차로 근소하게 앞지르고 2위를 차지했다. [[한나라당]]에서는 강서구의회 의장을 지낸 권혁길 후보를, [[새정치국민회의]]에서는 [[강서구 갑]] [[신기남]] 전 의원의 특별보좌관을 역임한 교수 출신 [[노현송]] 후보를, [[자유민주연합]]에서는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다가 낙선한 최덕수 강서구 갑 지구당 위원장을 공천했다. 이외에도 당시 구청장이었던 [[유영(정치인)|유영]] 후보는 국민회의 공천에 불복해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02년]] === ||<-4> [[강서구(서울특별시)|{{{+1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width=20px]]}}}]] [[강서구청장(서울)|{{{#ffffff {{{+1 '''강서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유영(정치인)|{{{#373a3c,#dddddd 유영}}}]](兪煐)''' || '''89,677'''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54.08%''' || '''당선''' || ||<|2> {{{#ffffff {{{+5 '''2'''}}}}}} || [[노현송|{{{#373a3c,#dddddd 노현송}}}]](盧顯松) || 69,596 || 2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41.97% || 낙선 || ||<|2> {{{#ffffff {{{+5 '''3'''}}}}}} || {{{#373a3c,#dddddd 최영돌}}}(崔泳突) || 6,536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3.9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381,647 ||<|3> 투표율[br]44.02% || || 투표 수 || 167,948 || || 무효표 수 || 4,819 || ---- [[2002년]] [[6월 13일]] 선거, [[7월 1일]] 취임. 유영 구청장이 한나라당에 복당해 4년 만에 복귀에 성공하였다. [[한나라당]]에서는 유영 전 구청장을, [[새천년민주당]]에서는 현직 노현송 구청장을 공천했다. 노현송 구청장은 낙선 이후로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당적으로 [[강서구 을]]에 출마하여 당선된다.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06년]] === ||<-4> [[강서구(서울특별시)|{{{+1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width=20px]]}}}]] [[강서구청장(서울)|{{{#ffffff {{{+1 '''강서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000000 {{{+5 '''1'''}}}}}} || [[이창섭(1962년 10월)|{{{#373a3c,#dddddd 이창섭}}}]](李昌燮) || 44,696 || 3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1.39% || 낙선 || ||<|2> {{{#FFFFFF {{{+5 '''2'''}}}}}} || '''[[김도현(1943)|{{{#373a3c,#dddddd 김도현}}}]](金道鉉)''' || '''110,008'''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52.64%''' || '''당선''' || ||<|2> {{{#FFFFFF {{{+5 '''6'''}}}}}} || {{{#373a3c,#dddddd 고재익}}}(高在益) || 7,860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3.76% || 낙선 || ||<|2> {{{#FFFFFF {{{+5 '''7'''}}}}}} || [[유영(정치인)|{{{#373a3c,#dddddd 유영}}}]](兪煐) || 46,390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2.2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430,027 ||<|3> '''투표율'''[br]49.21% || || '''투표 수''' || 211,623 || || '''무효표 수''' || 2,669 || ---- 한나라당 김도현 후보가 당선되었으며, 전국동시지방선거 강서구청장 선거에서 유영, 노현송 외의 인물이 당선된 최초의 선거이다. 한편, 유영 전 구청장은 또 공천에 불복해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열린우리당]] 후보를 약 1,700표 차이로 꺾고 2위를 차지했다. [[열린우리당]]에서는 강서구의회 의장 출신이자 이후 서울특별시의원을 지내게 되는 이창섭 후보를, [[한나라당]]에서는 [[김영삼]] [[전직 대통령|전 대통령]]이 재야에 있을 때 측근으로 활동했으며 [[문민정부]] 당시 [[문화체육관광부|문화체육부차관]]을 역임한 [[김도현(1943)|김도현]] 후보를 공천했으며, [[유영(정치인)|유영]] 전 구청장은 한나라당 공천에 불복해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 [[2007년 재보궐선거|2007년]] === ||<-4> [[강서구(서울특별시)|{{{+1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width=20px]]}}}]] [[강서구청장(서울)|{{{#ffffff {{{+1 '''강서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373a3c,#dddddd 김영권}}}(金榮權) || 56,997 || 3위 || || [include(틀:대통합민주신당)] || 21.39% || 낙선 || ||<|2> {{{#ffffff {{{+5 '''2'''}}}}}} || '''[[김재현(1941)|{{{#373a3c,#dddddd 김재현}}}]](金在炫)''' || '''104,728'''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39.30%''' || '''당선''' || ||<|2> {{{#ffffff {{{+5 '''6'''}}}}}} || {{{#373a3c,#dddddd 고재익}}}(高在益) || 15,576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5.85% || 낙선 || ||<|2> {{{#ffffff {{{+5 '''7'''}}}}}} || {{{#373a3c,#dddddd 신낙형}}}(申烙炯) || 12,953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4.86% || 낙선 || ||<|2> {{{#ffffff {{{+5 '''8'''}}}}}} || [[유영(정치인)|{{{#373a3c,#dddddd 유영}}}]](兪煐) || 76,197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8.5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436,701 ||<|3> 투표율[br]62.33% || || 투표 수 || 272,217 || || 무효표 수 || 5,766 || ---- [[2007년]] [[12월 19일]] 선거, 익일인 [[12월 20일]] 취임. 전임 김도현 구청장의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인한 당선무효로 [[제17대 대통령 선거]]와 함께 치러진 선거이다. 한나라당 김재현 후보가 당선되었고, 유영 전 구청장은 5번째 출마해 또 2등으로 낙선하는 고배를 마셨다. [[대통합민주신당]]에서는 한의사인 김영권 후보를, [[한나라당]]에서는 당료 출신인 [[김재현(1941)|김재현]] 후보를 공천하였다. 민주신당 후보의 득표율이 지난 지선 열린우리당의 득표율과 같다.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0년]] === ||<-4> [[강서구(서울특별시)|{{{+1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width=20px]]}}}]] [[강서구청장(서울)|{{{#ffffff {{{+1 '''강서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재현(1941)|{{{#373a3c,#dddddd 김재현}}}]](金在炫) || 106,133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44.36% || 낙선 || ||<|2> {{{#ffffff {{{+5 '''2'''}}}}}} || '''[[노현송|{{{#373a3c,#dddddd 노현송}}}]](盧顯松)''' || '''127,350''' || '''1위'''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53.23%''' || '''당선''' || ||<|2> {{{#ffffff {{{+5 '''7'''}}}}}} || {{{#373a3c,#dddddd 김근미}}}(金根美) || 5,719 || 3위 || || [include(틀:평화민주당(2010년))] || 2.3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455,047 ||<|3> 투표율[br]53.35% || || 투표 수 || 242,786 || || 무효표 수 || 3,584 || ---- [[2010년]] [[6월 2일]] 선거, [[7월 1일]] 취임. 민선 2기 구청장이었던 노현송 후보가 8년 만에 복귀했다. [[한나라당]]에서는 당시 구청장인 [[김재현(1941)|김재현]] 구청장을, [[민주당(2008년)|민주당]]에서는 전직 구청장인 [[노현송]] 현 구청장을 공천했다. 이 외에도 [[평화민주당(2010년)|평화민주당]]에서 후보를 공천했다.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4년]] === ||<-4> [[강서구(서울특별시)|{{{+1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width=20px]]}}}]] [[강서구청장(서울)|{{{#ffffff {{{+1 '''강서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373a3c,#dddddd 김기철}}}(金基喆) || 108,561 || 2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40.28% || 낙선 || ||<|2> {{{#ffffff {{{+5 '''2'''}}}}}} || '''[[노현송|{{{#373a3c,#dddddd 노현송}}}]](盧顯松)''' || '''141,847''' || '''1위'''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52.63%''' || '''당선''' || ||<|2> {{{#ffffff {{{+5 '''4'''}}}}}} || [[백철(1956)|{{{#373a3c,#dddddd 백철}}}]](白喆) || 19,088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7.0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470,411 ||<|3> 투표율[br]58.21% || || 투표 수 || 273,849 || || 무효표 수 || 4,353 || ---- [[2014년]] [[6월 4일]] 선거, [[7월 1일]] 취임. 노현송 구청장이 지난 선거보다 더 큰 격차로 재선 연임, 3선에 성공했다. [[새누리당]]에서는 [[서울특별시의회]] 의원을 지낸 김기철 후보를, [[새정치민주연합]]에서는 현직 노현송 구청장을 공천했다. 이외에도 '''12전 12패'''[* 당시엔 9전 9패]의 기록을 갖고 있는 [[백철(1956)|백철]]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8년]] === ||<-4> [[강서구(서울특별시)|{{{+1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width=20px]]}}}]] [[강서구청장(서울)|{{{#ffffff {{{+1 '''강서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노현송|{{{#373a3c,#dddddd 노현송}}}]](盧顯松)''' || '''184,229''' || '''1위''' || || [[더불어민주당|[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61.57%''' || '''당선''' || ||<|2> {{{#ffffff {{{+5 '''2'''}}}}}} || 김태성(金兌星) || 77,069 || 2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25.75% || 낙선 || ||<|2> {{{#ffffff {{{+5 '''3'''}}}}}} || [[김용성(1959)|{{{#373a3c,#dddddd 김용성}}}]](金容星) || 22,166 || 3위 || || [include(틀:바른미래당)] || 7.40% || 낙선 || ||<|2> {{{#ffffff {{{+5 '''6'''}}}}}} || [[백철(1956)|{{{#373a3c,#dddddd 백철}}}]](白喆) || 15,740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5.2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509,021 ||<|3> 투표율[br]59.65% || || 투표 수 || 303,633 || || 무효표 수 || 4,429 || ---- [[2018년]] [[6월 13일]] 선거, [[7월 1일]] 취임. 노현송 구청장이 60%가 넘는 득표율로 거뜬히 3선 연임, 4선에 성공했다. [[더불어민주당]]에선 노현송 현 구청장을, [[자유한국당]]에선 [[해양경찰청]] 출신 변호사인 김태성 후보를, [[바른미래당]]에서는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출신인 김용성 [[강서구 을]] 지역위원장을 공천했으며, [[백철(1956)|백철]] 후보 또한 무소속으로 출마해, '''11전 11패'''라는 기록을 세웠다.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 ||<-4> [[강서구(서울특별시)|{{{+1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width=20px]]}}}]] [[강서구청장(서울)|{{{#ffffff {{{+1 '''강서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승현(정치인)|{{{#373a3c,#dddddd 김승현}}}]](金勝賢) || 125,408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8.69% || 낙선 || ||<|2> {{{#FFFFFF {{{+5 '''2'''}}}}}} || '''[[김태우(1975)|{{{#373a3c,#dddddd 김태우}}}]](金泰佑)''' || '''132,121'''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51.30%''' || '''당선''' || ||<|2> --{{{#ffffff {{{+5 '''4'''}}}}}}-- || --[[김진선(1961)|{{{#373a3c,#dddddd 김진선}}}]](金鎭仙)-- || - ||<|2> 사퇴 || || --[include(틀:무소속)]-- || - || ||<|3> '''계''' || '''선거인 수''' || 504,606 ||<|3> '''투표율'''[br]51.71% || || '''투표 수''' || 260,942 || || '''무효표 수''' || 3,413 || ----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김승현 전 청와대 행정관을, [[국민의힘]]에서는 김태우 국민의힘 중앙위원회 공익제보분과위원장을 공천했다. 결과는 국민의힘 김태우 후보가 '''2.61%p 차'''로 고전 끝에 승리를 거두어 '''12년 만'''에 보수정당을 배출하였다. === [[2023년 하반기 보궐선거|2023년]] === ||<-4> [[강서구(서울특별시)|{{{+1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width=20px]]}}}]] [[강서구청장(서울)|{{{#ffffff {{{+1 '''강서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진교훈|{{{#373a3c,#dddddd 진교훈}}}]](陳校薰)'''[* [[더불어민주당]], [[민생당]], [[기본소득당]], [[사회민주당(2023년)|사회민주당 창당준비위원회]] 단일 후보] || '''137,066'''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6.52%''' || '''당선''' || ||<|2> {{{#FFFFFF {{{+5 '''2'''}}}}}} || [[김태우(1975)|{{{#373a3c,#dddddd 김태우}}}]](金泰佑)[* [[국민의힘]], [[우리공화당(2020년)|우리공화당]] 단일 후보] || 95,492 || 2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39.37% || 낙선 || ||<|2> {{{#000000 {{{+5 '''3'''}}}}}} || [[권수정|{{{#373a3c,#dddddd 권수정}}}]](權秀靜) || 4,451 || 3위 || || [include(틀:정의당)] || 1.83% || 낙선 || ||<|2> {{{#FFFFFF {{{+5 '''4'''}}}}}} || [[권혜인(정치인)|{{{#373a3c,#dddddd 권혜인}}}]](權惠仁) || 3,364 || 4위 || || [include(틀:진보당(2020년))] || 1.38% || 낙선 || ||<|2> {{{#FFFFFF {{{+5 '''5'''}}}}}} || [[김유리(1985)|{{{#373a3c,#dddddd 김유리}}}]](金유리) || 512 || 6위 || || [include(틀:녹색당)] || 0.21% || 낙선 || ||<|2> --{{{#ffffff {{{+5 '''6'''}}}}}}-- || --[[이명호(정치인)|{{{#373a3c,#dddddd 이명호}}}]](李明鎬)-- || - ||<|2> 사퇴[* [[2023년]] [[10월 5일]], [[국민의힘]] [[김태우(1975)|김태우]] 후보와 [[단일화(정치)|단일화]]로 인한 후보 사퇴] || || --[include(틀:우리공화당)]-- || - || ||<|2> {{{#FFFFFF {{{+5 '''7'''}}}}}} || [[고영일|{{{#373a3c,#dddddd 고영일}}}]](高榮一) || 1,623 || 5위 || || [include(틀:자유통일당(2022년))] || 0.6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500,603 ||<|3> '''투표율'''[br]48.67% || || '''투표 수''' || 243,664 || || '''무효표 수''' || 1,156 || ---- {{{#!folding [서울특별시 강서구청장 동별 개표 결과 보기] ||<-5> {{{#FFFFFF '''2023년 하반기 보궐선거 서울특별시 강서구청장 동별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fff [include(틀: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진교훈|{{{#FFFFFF '''진교훈'''}}}]] || [[김태우(1975)|{{{#FFFFFF '''김태우'''}}}]]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 '''137,066[br](56.52%)'''}}} || '''95,492[br](39.37%)''' || '''+41,574[br](△17.15)''' || '''48.67%''' || || '''염창동''' || {{{#004EA2 59.56%}}} || 36.37% || △23.19 || 52.11% || || '''등촌1동''' || {{{#004EA2 58.74%}}} || 35.74% || △23.00 || 43.60% || || '''등촌2동''' || {{{#004EA2 53.20%}}} || 43.34% || △9.86 || 50.18% || || '''등촌3동''' || {{{#004EA2 54.59%}}} || 41.84% || △12.75 || 55.20% || || '''화곡본동''' || {{{#004EA2 58.32%}}} || 36.11% || △22.21 || 40.95% || || '''화곡1동''' || {{{#004EA2 58.27%}}} || 37.39% || △20.88 || 38.33% || || '''화곡2동''' || {{{#004EA2 59.02%}}} || 36.73% || △22.29 || 42.01% || || '''화곡3동''' || {{{#004EA2 54.22%}}} || 41.21% || △13.01 || 56.20% || || '''화곡4동''' || {{{#004EA2 56.81%}}} || 39.80% || △17.01 || 44.22% || || '''화곡6동''' || {{{#004EA2 55.52%}}} || 40.61% || △14.91 || 50.17% || || '''화곡8동''' || {{{#004EA2 60.64%}}} || 34.88% || △25.76 || 47.33% || || '''우장산동'''[* 재개발 대단지([[강서 힐스테이트]], [[우장산 아이파크 e편한세상]], [[우장산 힐스테이트]])로 이루어진 동네.] || {{{#004EA2 53.79%}}} || 42.44% || △11.35 || 51.58% || || '''가양1동'''[* [[마곡 엠밸리]] 4단지 및 마곡 업무지구가 있는 동네.] || {{{#004EA2 56.09%}}} || 39.89% || △16.20 || 38.91% || || '''가양2동''' || {{{#004EA2 50.88%}}} || '''45.40%''' || △5.48 || '''57.19%''' || || '''가양3동''' || {{{#004EA2 53.79%}}} || 40.85% || △12.94 || 53.93% || || '''발산1동'''[* [[마곡 수명산파크]], [[마곡 엠밸리]] 14단지~15단지로 이루어진 동네.] || {{{#004EA2 '''62.54%'''}}} || 33.35% || '''△29.19''' || 55.19% || || '''공항동'''[* [[마곡 엠밸리]] 9단지~13단지가 있는 동네.] || {{{#004EA2 57.92%}}} || 38.46% || △19.46 || 45.89% || || '''방화1동'''[* [[마곡 엠밸리]] 1단지~3단지, 5단지~8단지가 있는 동네.] || {{{#004EA2 56.89%}}} || 39.52% || △17.37 || 53.73% || || '''방화2동''' || {{{#004EA2 52.39%}}} || 43.92% || △8.47 || 48.25% || || '''방화3동''' || {{{#004EA2 51.54%}}} || 44.96% || △6.58 || 56.34% || || '''후보''' || [[진교훈|{{{#004ea2 '''진교훈'''}}}]] || [[김태우(1975)|{{{#E61E2B '''김태우'''}}}]] || '''격차''' || || || '''거소투표''' || {{{#004EA2 55.48%}}} || 37.49% || △17.99 || 87.41% || || {{{#FFFFFF '''국회의원[br]선거구'''}}} || [[진교훈|{{{#FFFFFF '''진교훈'''}}}]] || [[김태우(1975)|{{{#FFFFFF '''김태우'''}}}]] || {{{#FFFFFF '''격차'''}}} || {{{#FFFFFF '''투표율'''}}} || || [[강서구 갑|{{{#004ea2 '''강서구 갑'''[* 국회의원: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초선), 관할 지역: 화곡1동, 화곡2동, 화곡3동, 화곡8동, 우장산동, 발산1동]}}}]] || {{{#004EA2 57.96%}}} || 37.82% || △20.14 || 47.75% || || [[강서구 을|{{{#004ea2 '''강서구 을'''[* 국회의원: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재선), 관할 지역: 등촌3동, 가양1동, 가양2동, 공항동, 방화1동, 방화2동, 방화3동]}}}]] || {{{#004EA2 54.74%}}} || 41.59% || △13.15 || 50.20% || || [[강서구 병|{{{#004ea2 '''강서구 병'''[* 국회의원: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3선), 관할 지역: 염창동, 등촌1동, 등촌2동, 화곡본동, 화곡4동, 화곡6동, 가양3동]}}}]] || {{{#004EA2 57.03%}}} || 38.52% || △18.51 || 47.61% ||}}} ---- {{{#!folding [서울특별시 강서구청장 사전투표·본투표 개표 결과 보기] ||<-3> {{{#FFFFFF '''2023년 하반기 보궐선거 서울특별시 강서구청장 사전투표·본투표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fff [include(틀:국민의힘)]}}}]] || || '''후보''' || [[진교훈|{{{#ffffff '''진교훈'''}}}]] || [[김태우(1975)|{{{#ffffff '''김태우'''}}}]] || || '''사전투표''' || {{{#ffffff '''74,200[br](65.68%)'''}}} || 34,585[br](30.61%) || || '''본투표''' || {{{#ffffff '''62,122[br](48.46%)'''}}} || 60,405[br](47.12%) ||}}} ---- 지난 민선 8기 지방선거로 당선됐던 [[김태우(1975)|김태우]] 전 구청장이 [[문재인 정부]] 시절 공무상기밀누설 등의 혐의로 기소된 사건과 관련해서 수원지방법원에서 2022년 8월 12일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를 받은 후 2023년 5월 18일 대법원에서 확정 판결이 있음에 따라 공직선거법 제19조 제2항에 의거하여 지방자치법 제112조 제2항에 따라 당연 퇴직함으로서 발생하게 된 강서구청장직의 공석을 채우기 위해 치러지는 보궐선거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문재인 정부]]의 경찰청 차장 출신인 진교훈 후보를 전략 공천하였고, [[국민의힘]]에서는 강서구청장직을 상실한 [[김태우(1975)|김태우]] 전 구청장 본인이 대통령 특별사면 뒤 경선을 거쳐 재공천되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정확히 6개월 앞두고 치러지는 선거이고 국회의원 선거의 최대 격전지인 수도권에서 열리는 유일한 선거인 탓에 '''국회의원 선거 전초전'''이라는 의미가 붙어서 양당이 사력을 걸고 선거 운동을 치렀다. 일개 구청장 보궐선거였지만 6개월 후의 선거 결과를 미리 엿볼 수 있는 민심 바로미터로서 사실상 전국구 선거로 승격된 수준이다. 일단 인구가 가장 많은 화곡동과[* 인구가 20만에 육박해서 강서구 인구의 1/3를 차지한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 김승현 후보가 이겼던 화곡본동, 1동, 2동, 화곡8동은 물론 김태우 후보가 이겼던 화곡3동, 4동, 6동에서도 10%대 중반 ~ 20%대 초반 격차로 이기면서 기선제압에 성공하더니 김태우 후보가 이겼던 등촌동, 가양동, 우장산동, 공항동, 염창동에서도 크게 이기면서[* 그 가양2동에서도 5% 차이로 이겼다.] 승리에 쐐기를 박아버렸다. 특히 진교훈 후보는 사전투표에서 60%대 가히 더블 스코어를 득표해 [[경기도]] 도시 지역에 맞먹는 득표율을 받았으며, 노년층이 상대적으로 많이 나오는 본투표에서도 근소한 격차지만 승리하여[* 그것도 불과 두 달 전에 [[더불어민주당]] [[김은경(교수)|김은경]] 전 혁신위원장의 [[김은경 노인 폄하 발언 논란|노인 폄하 논란]]이 발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취약세대인 60대 이상 표심을 나름 빼앗았다는 것이다.] 완전히 퍼펙트한 승리를 거두게 되었다.[* 다만 본투표에서는 김태우 후보가 전체 20개 동 중 '''11개 동'''에서 승리하였다.] 그 결과, 진교훈 후보가 이전 여론조사의 예측보다도 더 크게 김태우 후보와 압도적인 차이를 벌리면서 모든 동에서 과반을 확보하여 승리하며 결국 17.15%p, 41,574표 차이로 김태우 후보를 싱겁게 누르고 당선되었다. 김태우는 불과 1년 전 선거에서 당선되었던거와 달리 모든 행정동과 거소투표에서도 패배하며 그야말로 '''완패'''를 당했다. == 관련 문서 == * [[강서구(서울특별시)]] * [[강서구청(서울)]] [[분류:강서구청장(서울)]][[분류:기초자치단체장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