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문화방송/대표이사 사장)]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6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도|{{{#cfa547 경기}}}]] [[|{{{#cfa547 오산시·화성군}}}]])'''}}} || || 제15대[br][[박신원(정치인)|박신원]] || → || '''제16대[br]강성구''' || → || ''선거구 분리''[br][[안민석]][* [[오산시(선거구)|오산시]] 선거구의 [[제17대 국회의원]] 이다.][br]~~[[안병엽]]~~[* 화성시 선거구의 [[제17대 국회의원]] 이다.][* 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 상실.] || ---- ||<-2><#15183c> '''{{{#ffffff 제20·21대 문화방송 대표이사 사장[br]{{{+1 강성구}}}[br] 姜成求 | Kang Seongku}}}'''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강성구.jpg|width=100%]]}}} || ||<|2> '''출생''' ||[[1940년]] [[9월 12일]] ([age(1940-09-12)]세)|| ||[[경기도]] [[수원시|수원군]] [[남양읍|남양면]][br](現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 || '''본관''' ||[[진주 강씨]] || ||<|2> '''재임기간''' ||제20-21대 [[문화방송|[[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50]]]] '''대표이사 사장''' || ||[[1993년]] [[3월 17일]] ~ [[1996년]] [[6월 15일]] || || '''학력''' ||남양국민학교 {{{-2 ([[졸업]])}}}[br][[남양중학교(경기)|남양중학교]] {{{-2 ([[졸업]])}}}[br][[남양고등학교|남양고등학교]] {{{-2 ([[졸업]])}}}[br][[고려대학교/학부/생명과학대학|고려대학교 농과대학]] {{{-2 (농업경영학 / [[학사]])}}}[br][[고려대학교/대학원|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 ([[최고위과정|최고언론과정]] / [[수료]])}}}[br][[고려대학교/대학원|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 ([[최고위과정]] / [[수료]])}}}|| || '''종교''' ||[[개신교]] || || '''소속 정당''' ||[include(틀:무소속)]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16대 국회의원|16]]''' || || '''약력''' ||[[문화방송]] 보도국 사회부·정경부·외신부 기자[br]문화방송 해설위원실 해설위원[br]문화방송 보도국 외신부장[br]문화방송 보도국 외신부 주일특파원[br]문화방송 보도국 뉴스데스크담당 부국장[br]문화방송 보도국 편집담당 부국장[br]문화방송 보도국 TV편집1부장[br]문화방송 보도국장[br]문화방송 해설주간[br]문화방송 보도이사[br]문화방송 뉴스데스크담당 이사[br]문화방송 전무이사[br]문화방송 유럽본부장[br][[도쿄대학]] 객원연구원[br]문화방송 창사30주년기획단장[br][[MBC경남|마산문화방송]] 대표이사 사장[br]제20~21대 문화방송 대표이사 사장[br][[한국방송협회]] 부회장[br]서울언론재단 이사[br]한국방송기자클럽 고문[br]국회 한일미래포럼 회장[br][[새정치국민회의]] 당무위원[br][[새천년민주당]] 창당발기인[br][[새천년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br][[제16대 국회의원]] {{{-2 ([[화성시 갑|경기 오산시·화성군]] / [[새천년민주당]])}}}[br][[새천년민주당]] 원내부총무[br][[새천년민주당]] [[최고위원]][br][[새천년민주당]] 당무위원[br][[제16대 국회]] 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문화관광위원회]] 위원[br]제16대 국회 후반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림해양수산위원회]] 위원[br]제16대 국회 후반기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방송자문위원회]] 위원[br][[한나라당]] 상임고문[br][[바른정당]] 전임고문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정치인]]. == 생애 == 1940년 9월 12일 [[경기도]] 수원군(현 [[화성시]] [[남양읍]])에서 농부의 외아들로 태어나 [[남양중학교(경기)|남양중]] 및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그 당시만 해도 대학 진학은 염두에 두지 않고 농사나 지을 생각을 한 적 있었고, 1959년 고교 졸업 후 서울에 있는 외삼촌의 사업을 도우면서 공부의 필요성을 느껴 19대 1의 경쟁력을 뚫고 1961년 [[고려대학교]] 농업경영학과에 입학했다. 1965년 졸업 후 어느 여행사에서 비행기표를 끊는 일을 맡다가 1966년 [[문화방송]] 공채 3기 기자로 입사하여[* 입사 동기로는 [[이득렬]], 이상욱(전 충주MBC 사장), 임동훈(전 목포MBC 사장) 등이 있다.] 사회부를 비롯 정경부, 외신부 등을 전전하며 현장에서 뛰었다. 1974년 10월 차장으로 오른 후 해설위원실 해설위원으로 전보되어 1975년부터 2년 동안 라디오 종합뉴스 프로 을 통해 앵커로 데뷔했고, 1976년 8월 외신부장으로 겸임 발령되어 보직간부 생활을 시작했다. 1978년 7월 도쿄특파원으로 발령났다가 1981년 6월 귀국 후 보도국 뉴스데스크담당 부국장이 됐고, 1983년 조직개편 당시 뉴스데스크-뉴스센터-뉴스쇼 3개 프로 담당 부국장이 '편집담당 부국장'으로 일원화되면서 동 직책을 맡았다. 1984년 TV편집1부장을 겸했다가 1985년 3월 보도국장에 임명되었다. 1987년 2월 해설주간으로 이동된 후 5월에 [[땡전뉴스]]의 이미지가 강했던 [[이득렬]] 대신 [[MBC 뉴스데스크]]의 메인 앵커가 되었다. 이때는 [[한국방송공사|KBS]]가 정권의 나팔수의 이미지로 고전하던 시기라서, MBC가 반사이익을 보면서 뉴스데스크 시청률이 40%를 넘나들었다.[* 현재 시점 5% 전후 기준에서 뉴스데스크 시청률이 놀고 있는걸 생각하면 그때가 MBC 뉴스의 최전성기였다. 물론 당시는 [[케이블 방송]]과 인터넷이 없던 시절인데다가 비디오텍스(PC통신)는 보급이 더뎠고, 당시의 [[시청률]] 조사방식도 분단위로 집계하는 방식이 아닌 전화 면접조사 방식이기 때문에 지금과 일률적인 시청률 비교는 힘들다. 하지만 당시 뉴스데스크가 [[KBS 뉴스 9]]를 압도적으로 찍어누른 1등이었다는건 명백한 사실이다. KBS 뉴스9의 시청률이 크게 우세를 보이고 현재까지도 그 여파가 남아있는 2010년대에도 일일연속극-9시 뉴스 연계 효과가 KBS 뉴스9의 시청률을 크게 끌어올린다라는 말이 많지만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큰 힘을 발휘하지는 못했고(KBS 1TV에서 상업 광고를 편성했던 시절이기는 했지만 이 시절에도 일일연속극과 9시 뉴스 사이에 따로 광고를 편성하지는 않았다.) 본격적으로 힘을 발휘하기 시작한건 문민정부 들어서 [[당신이 그리워질 때]]가 대히트를 치고 KBS가 이미지 쇄신에 나섰던 것이 맞물렸을 때부터였다.] 물론 MBC도 군사정권 당시 [[보도지침]]에 따라서 충실하게 땡전뉴스를 했지만, KBS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색채가 옅었다는 소리를 들었기 때문이었다.[* 일례로 [[김영삼]]은 군사정권 시절부터 뉴스는 MBC만 본다는게 공공연한 비밀이었다.] 9월 25일부터는 보도이사(이사대우)도 겸임했다가 1988년 6월 17일부터 뉴스데스크담당 이사급까지 승진했다. 1988년 8월 4일 방송분에서 지금도 회자되는 [[방송사고]]인 [[내귀에 도청장치]] 사건을 겪었다. [youtube(MIberkcgQvU)] 1988년 11월 [[송도균]]을 거쳐 [[추성춘]]에게 뉴스데스크 메인 앵커 자리를 넘긴 뒤, [[김영수(1935)|김영수]] 사장 선임 후 전무로 내정됐지만 이듬해 [[최창봉]] 사장으로 바뀐 뒤 유럽본부장으로 이동됐다. 1990년 일본 [[도쿄대학]]에서 해외연수를 마치고 MBC 창사30주년기획단장을 거쳐 1991년 [[MBC경남|마산MBC]] 사장을 맡다가 1993년부터 1996년까지 MBC 사장 겸 [[한국방송협회]] 부회장을 맡았다. 그러나 이 시절에 뉴스데스크의 시청률이 KBS 뉴스 9에게 뒤처진 데다가 사장 자리도 마산MBC 시절 김영삼 전 대통령의 부친과 친해서 얻어냈다는 비야냥을 받았다. 그래도 광고시장 자체는 한창 호황을 누렸을 때였고 케이블 방송도 보급되지 않았던 시절인지라 경영은 무난하게 했다는 평가도 받았다. 하지만 문민정부의 후광으로 앉은 자리는 오래가지 못했다. 결국 1996년 그의 연임 시도에[* 1997년 김현철 스캔들이 터지자 강 사장의 연임 과정에 [[김현철(1959)|김현철]]의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5923|개입 사실이 밝혀졌다]].] 분노한 MBC 사원들의 파업으로 물러났기 때문이다.[* 후임 사장으로는 이득렬이 취임했는데 이득렬의 경우 1980년대 어용방송은 강성구보다 더하면 더했지 덜 할 것이 없었지만 MBC 사장으로서는 보도 논조에 크게 관여하지 않았다. 덕분에 [[국민의 정부]]와 [[새천년민주당]]에서도 영달을 누렸다.] MBC 사장 퇴임 뒤인 1996년 8월 [[새정치국민회의]]에 입당하였고, 1997년부터 1년간 한국방송회관 이사장을 지낸 뒤 2000년 [[새천년민주당]] 공천으로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오산시]]·[[화성시|화성군]] 선거구에서 당선됐다. 이후 [[새천년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과 원내부총무를 지냈다. 2002년 지방선거 참패 이후 [[후보 단일화 협의회]](약칭 후단협)를 조직했으나, 정작 본인은 중간에 [[한나라당]]으로 이적해버렸다(...). 이 때문에 [[철새(정치)|철새]] 정치꾼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그 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화성시 선거구에 출마했지만, 탈당과 이적,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 및 심판|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안]] 찬성 때문에 총선시민연대가 낙천·낙선운동 대상자로 지목했다. 결국 [[열린우리당]] [[안병엽]] 후보에게 7.35%pt 차이로 패하여 낙선한 후 그대로 정계 은퇴하였고, 총선 직후인 2005년에 [[한나라당]]을 탈당하였다. 2013년 11월에는 화성시 남양읍(당시 남양동)에 위치한 모 식당에서 주차 문제로 시비를 벌이다가 식당 주인을 폭행했으며, 동시에 [[음주운전]]까지 한 것이 밝혀져 논란이 되었다. 2017년 [[바른정당]]이 창당되면서 전임고문을 맡았으나 이후 바른정당을 탈당하였다. 2022년 2월 24일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를 지지 선언을 한 대한민국 헌정회원 중 316명의 명단에 포함되었다.[[http://www.sisa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6591|#]]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오산·화성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44,417 (42.28%)''' || '''당선 (1위)''' || '''초선'''[* 2002.11.4. 탈당(후단협 참가), 2002.11.20. [[한나라당]] 입당.]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화성 || [include(틀:한나라당)] || 36,713 (38.30%) || 낙선 (2위) ||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대 총선 강성구.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대 총선 강성구.jpg|width=100%]]}}}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16대 총선}}}]] [[경기 오산시·화성군|{{{#000000,#fff (경기 오산시·화성군)}}}]]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17대 총선}}}]] [[경기 화성시|{{{#000000,#fff (경기 화성시)}}}]] ||}}}}}}}}} || == 소속 정당 == || '''소속''' || '''기간''' || '''비고'''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1996 - 2000 || 정계 입문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 - 2002 || 합당[*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2 || 탈당[*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후단협]] 참가)] || || [include(틀:한나라당)] || 2002 - 2005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5 - 2017 || 탈당[br]정계 은퇴 || || [include(틀:바른정당)] || 2017 - 2018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8 - 현재 || 탈당 || == 출처 == * 1985년 5월호 '방송에 산다: 보도 사령탑 강성구'([[https://4.bp.blogspot.com/-nsXyidzdB8Q/XYTesADJzFI/AAAAAAAAM7Q/dU7viRV7nBcLMhBkigl3Z0Znh7gJK9DbgCLcBGAsYHQ/s1600/041.jpg|#1]], [[https://4.bp.blogspot.com/-iqlMkB-K-fo/XYTesIIehcI/AAAAAAAAM7U/ffEug2cu1ewo-L-j1b77yAZ7jFLGMZszQCLcBGAsYHQ/s1600/042.jpg|#2]], [[https://3.bp.blogspot.com/-jzhIYD7dz1o/XYTesZWFkJI/AAAAAAAAM7Y/ECt1JEXQO5sGNFy1NaUSFsXeIhjQ4QLVwCLcBGAsYHQ/s1600/043.jpg|#3]], [[https://1.bp.blogspot.com/-KSJwieDZ-mk/XYTeswx_50I/AAAAAAAAM7c/4Woh99P_QtI-Z4NMzRNcWRE2WlYKgES8wCLcBGAsYHQ/s1600/044.jpg|#4]])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6대 국회의원/경기도)]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자]][[분류:기자 출신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MBC 전직 기자]][[분류:1940년 출생]][[분류:화성시 출신 인물]][[분류:진주 강씨]][[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분류:고려대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제16대 국회의원]][[분류:새천년민주당 국회의원]][[분류:한나라당 국회의원]][[분류:기자 출신 정치인]][[분류:문화방송 대표이사 사장]][[분류:2005년 은퇴]][[분류:인터넷 밈/정치인/대한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