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이동통신사)] ||||<:>[[파일:external/www.wikitree.co.kr/img_20140617101037_bcade9f7.jpg|width=300]][br]여기 사진에 나와있는 [[SIM]] 카드에 새겨진 로고가 강성네트망 로고이다. || ||<-2><#ffffff><:>'''{{{#blue 강성네트망}}}''' [br] '''{{{#blue Kangsong Net}}}''' || ||형태 ||공기업[* 북한 당국이 자체적으로 설립한 것이라고 한다.] || ||창립 ||2011년 || ||국가 ||[[북한]] || ||본사 ||[[북한]] [[평양직할시]] || ||사업 지역 ||[[북한]] 전역(주로 북한 북부지역) || ||서비스 이동통신 ||3세대 [[WCDMA]] || ||모기업 ||[[북한]] 당국 & [[조선로동당]] || ||최고 경영자 ||--당연히-- [[김정은]] || ||웹사이트 ||[[북한]]의 [[인트라넷]]인 [[광명망]]에 개설됨 || [목차] == 개요 == [[고려링크]]와 --형식적으로-- 경쟁하는 [[북한]]의 제 2 이동통신사이자, [[오라스콤텔레콤]]과 북한 체신성의 합작과는 다르게 북한에 [[휴대 전화]]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새로운 이동통신 업체가 필요해지자 북한 당국이 자체적으로 설립한 이동통신사로 [[조선로동당]]의 통제를 받는 이동통신사다. 한마디로 북한판 [[KT]].[* 다만 KT는 현재 국가가 지분을 소유하고 있지 않은 순수 [[민영화|사기업이 된 상태]]이므로 현재의 KT보다는 민영화 이전 한국통신과 비교해야 더 정확하다.] == 이동통신 사업 == 북한 전역, 주로 북부지역(함경도.양강도)에서 3세대 [[WCDMA]]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반쪽짜리-- 3G 데이터 서비스도 한다.[* 북한에서 시판하는 스마트폰은 대부분 반쪽짜리로 알려져 있다. [[아리랑]] 스마트폰과 [[평양타치]] 등. 인터넷에는 접속이 불가능하나 [[광명망]]에는 접속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의 경우에는 자국 마켓인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의 경우에는 자국 마켓인 자료봉사 2.0 혹은 나의 길동무 앱스토어를 이용해야 한다. 물론 북한 내의 동영상이나 검증받은 파일은 공유할 수 있다.] === 상세 === ==== 번호 체계 ==== [[김일성]]이 태어난 해를 상징하는 1912 혹은 1913으로 시작하는 번호를 부여받는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는 경쟁사인 [[고려링크]]의 번호이고, 실제로 강성네트망은 서비스 지역이 북한의 북부지역이기 때문에, 내.외국인 가리지 않고 195X-XXX-XXX로 번호를 부여받는다. ==== 특징 ==== 고려링크보다 통신비는 더 저렴하고, 북한 원화로 낼 수 있다고 해서 주민들이 선호한다고 한다. == 기타 == * 강성네트망의 전용 단말기가 공개되었다. [[고려링크]]에서는 시판하지 않으며, 인터넷을 제외하고는 [[조선중앙TV]]를 시청할 수 있는 모바일 TV를 포함한 전부 다 되는 단말기라고 한다. * 오라스콤이 이 회사와 고려링크와의 합병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오라스콤이 북한에서 5억 달러를 벌고도 외화로 바꾸지 못해 송금을 못하고 경쟁사인 이 회사가 등장하자 합병을 하려고 하는 것 같다. 그러나 제 3위 국영 이동통신 사업자인 [[별(북한 통신회사)|별]]이 생기면서 어떻게 될 지가.. * [[외국인]]도 고려링크와 마찬가지로 강성네트망에 가입할 수 있기 때문에 [[북한]]에 [[SIM]]이 지원되는 휴대폰을 들고갈 수 있다. 대신 북한 주민 및 [[대한민국]]과는 통화가 되지 않는다. == 관련 문서 == * [[휴대 전화/북한]] * [[고려링크]] * [[별(북한 통신회사)|별]] [[분류:통신회사]][[분류:북한의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