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한국과학기술원 총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191, #004191 20%, #004191 80%, #004191)" '''{{{#fff 제15대 한국과학기술원 총장}}}[br]{{{#fff {{{+1 강성모}}}[br]姜城模 | SungMo Steve Ka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ang_photo_Aug2011.jpg|width=100%]]}}} || || '''국적''' ||[[미합중국]]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 ||<|2> '''출생''' ||[[1945년]] [[2월 25일]] ([age(1945-02-25)]세) || ||[[경기도]] [[양평군]][[http://www.daejeon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9400|#]] || || '''학력''' ||[[경신고등학교(서울)|경신고등학교]] {{{-2 (졸업 / 56회) }}}[br][[연세대학교 공과대학|연세대학교]] {{{-2 (전기공학과 / 중퇴)}}}[br][[페어레이 디킨슨 대학교]] {{{-2 (공학 / 학사)}}}[br][[버팔로 대학교|뉴욕주립대학교 버팔로]] {{{-2 (공학 / 석사)}}}[br][[캘리포니아 대학교/버클리 캠퍼스|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2 (공학 / 박사)}}}[[http://times.kaist.ac.kr/news/articleView.html?idxno=1947|#]] || || '''경력''' ||[[럿거스 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교수[br][[AT&T]] [[벨 연구소]] 선임연구원[br][[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전기전산학과 교수[br][[캘리포니아 대학교/산타크루즈 캠퍼스|캘리포니아대학교 산타크루즈 캠퍼스]] 공과대학장[br][[실리콘 밸리|실리콘밸리]] 공학의회 의장[br]한국과학기술원 전기전자공학부 초빙석좌교수[br]스위스 국립기술원 과학자문위원[br][[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술자문위원[br][[캘리포니아 대학교/머세드 캠퍼스|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총장[br]|| || '''웹사이트''' ||[[https://nisl.soe.ucsc.edu/|[[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에서 활동 하고 있는 [[한국계 미국인]] 사업가이자 [[전기전자공학자]]이다. == 소개 == 강성모는 1945년 2월 25일 경기도 양평군에서 태어났다. 양평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상경하여 [[경신학교|경신중·고등학교]]를 졸업[[http://www.yp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4446|#]], 1963년 [[대한민국 공군|공군]] 111기로 입대하여 전자통신병으로 3년간 복무하였다. 이후 공군 병장으로 만기전역한 그는 1966년 연세대학교 전기공학과에 입학하였으며, 1969년 미국으로 건너가 페어레이 디킨슨 대학교에 유학하였다가 그 학교에 편입하여 1970년 졸업하였다.[[https://m.etnews.com/201302150276?obj=Tzo4OiJzdGRDbGFzcyI6Mjp7czo3OiJyZWZlcmVyIjtOO3M6NzoiZm9yd2FyZCI7czoxMzoid2ViIHRvIG1vYmlsZSI7fQ%3D%3D|#]] 이후 1972년 [[뉴욕주립대 버팔로]]에서 전자공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1975년에는 UC 버클리에서 전자전기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같은 해 8월 [[럿거스 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교수에 임용되어 1977년 6월까지 근무했고, 그해 7월부터 [[AT&T]] [[벨 연구소]][* 현재는 [[노키아]] 소속이다.] 연구원으로 근무하기 시작하여 1985년 8월 선임연구원으로 사직하였다. 사직과 동시에 그는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전기전산학과 교수에 임용되었으며 1995년 8월부터는 전기전산학과 학과장을 역임하면서 2000년 12월 사직할 때까지 학과장을 맡았다. 그 사이 1998년 BK21 프로그램 국제자문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2001년 1월부터는 [[UC 산타크루즈]] 공과대학 학장으로 근무하기 시작하여 2007년 2월까지 지냈으며, 그 사이 2002년부터 2003년까지 [[실리콘 밸리]] 공학의회 회장, 2003년부터 2005년까지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부 초빙석좌교수, 2006년 스위스 국립기술원 과학자문위원 및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술자문위원 등을 지냈다.[[http://www.daejeon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9400|#]] 2007년 3월에는 [[UC 머세드]]의 2대 총장에 임명되어 2011년 6월까지 지냈고, 2013년 2월부터 2017년 2월까지는 한국과학기술원에서 [[http://times.kaist.ac.kr/news/articleView.html?idxno=1947|총장]]으로 재직하기도 했다[* [[http://times.kaist.ac.kr/news/articleView.html?idxno=1947|출처]]]. 강성모 박사의 주요 업적으로는 AT&T Bell Laboratories에서 세계 최초로 [[32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를 [[https://ethw.org/First-Hand:The_AT%26T_BELLMAC-32_Microprocessor_Development|만든 사람들 중 하나]]라는 것. 그 외에 해외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UIUC]]에서 [[전기전자공학과]](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학과장(department head)으로 맡은 바가 있다. 그 이후부터 현재까지는 UC 산타크루즈에서 재직 중에 있다. 여담으로 그의 조부 강대현(姜大鉉)은 독립운동가 였다고 한다. 그의 조부는 임시정부의 헌법 초안을 상해에 가져 온 인물로 알려져 있으며, 상해와 경성을 오가며 밀사 역할을 했다. [[분류:미국의 공학자]][[분류:미국의 발명가]][[분류:한국계 미국인]][[분류:미국으로 귀화한 인물]][[분류:1945년 출생]][[분류:양평군 출신 인물]][[분류:경신고등학교(서울)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출신]][[분류:버팔로 대학교 출신]][[분류:UCB 대학원 출신]][[분류:진주 강씨]][[분류:한국과학기술원 재직]][[분류:한국과학기술원 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