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울산 현대/간략)]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시즌 30. 강윤구.png|width=100%]]}}} || ||<-2> {{{#white '''울산 현대 No. 30 '''}}} || ||<-2> '''{{{#014ea0 {{{+1 강윤구}}}}}}''' [br] '''{{{#014ea0 {{{-2 Kang Yun-Gu}}}}}}''' || || '''생년월일''' ||[[2002년]] [[4월 8일]] ([age(2002-04-08)]세) || ||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 '''신체''' ||177cm, 73kg || || '''주발''' ||왼발 || ||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윙어]] || || '''유소년''' ||경기의왕정우사커클럽 (2012~2013) [br] 하남천현초등학교 (2013~2014) [br] [[수원 삼성 블루윙즈]] U-12 (2014~2015) [br] 경기 골클럽 U-15 (2016~2018) [br] 경기 골클럽 U-18 (2018~2021) || || '''프로 입단''' ||2021년 [[울산 현대]] 신인 자유 계약 || || '''소속팀''' ||[[울산 현대]] (2021~) [br] → {{{-1 [[부산 아이파크]] (2022 / ^^임대^^)}}} || || '''국가대표'''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25]]]] 1경기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3]] / 2021~)^^ || || '''등번호''' ||[[울산 현대]] - 24번[* [[FIFA 클럽 월드컵 카타르 2020]]], 30번[* 2021시즌, 2023시즌 ~] [br] [[부산 아이파크]] - 24번[* 2022시즌] [br]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 19번[* [[황선홍호/2022 AFC U-23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2022 AFC U-23 아시안컵 예선]]]||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축구선수로, 현재 [[울산 현대]] 소속이다. == 클럽 경력 == === 유소년 시절 === [[포천시]]에 소재한 유소년 클럽팀 "경기 골클럽 U-18"에서 활약하며 2020년 추계한국고등학교축구연맹전에서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고, 이 대회 득점왕과 함께 최우수선수상(MVP) 또한 수상하면서 "고교 최대 유망주"라는 타이틀로 불렸다. 동시기 대한민국 U-19 축구 국가대표팀 멤버이기도 하다. === [[울산 현대]] === [[2021년]] 시즌을 앞두고 [[울산 현대]]에 신인 자유계약으로 영입되었다. 울산의 경우 특히 고졸 자유계약은 거의 없는 편인데, [[조현택]]과 함께 오랜만에 영입된 고졸 자유계약 신인 선수이다. 고교 무대를 주름 잡은 선수의 영입이라 대부분의 팬들은 많은 기대를 하는 중이다. 선수 소개 멘트는 '''울산 중원의 당돌한 새 지휘자.''' ==== [[울산 현대/2021년|2021년]] ==== 울산의 통영 전지훈련에서 [[동아대학교]]를 상대로 득점에 성공하였다. [[FIFA 클럽 월드컵 카타르 2020 Presented by Alibaba Cloud|2020 FIFA 클럽 월드컵]]에서 [[티그레스 UANL]]을 상대로 79분 교체투입되어 울산에서의 데뷔전이자 프로 데뷔전을 클럽 월드컵으로 치뤘다. 고교 최대어라는 수식어 답게 여러 거물급 선수들 사이에서도 전혀 기죽지 않고 볼을 다루는 기술을 선보였으며, 턴 이후 패스를 주는 모습 등을 보면 대체 데뷔전을 치루는 선수가 맞는거냐는 반응이 나올 정도로 훌륭한 퍼포먼스를 보여주었다. 3월 1일의 2021 [[K리그1]] 1라운드 [[강원 FC]] 전에서 선발출장하였고, 이 경기에서도 멀리있는 상대에게 정확히 찔러주는 롱패스와 여러 기술적인 플레이를 비롯한 본인의 훌륭한 실력을 선보이며 팬들의 호평을 받았다. 약간의 패스미스와 피지컬적인 부분은 조금 아쉬웠지만 [[K리그]] 데뷔전이라고 믿기 힘든 매우 훌륭한 플레이를 선보였다. 이후 하프타임에 [[이동경]]과 교체아웃되었다. 5R [[제주 유나이티드]]전에서도 선발출전했으나 전반 10분에 깊은 태클로 옐로카드를 받는 아쉬운 모습을 보여줬고, 전반 25분에 [[이청용]]과 교체됐다. 10R [[수원 삼성 블루윙즈]]전에서도 선발로 나섰다. 하지만 팀이 전반 시작하고 얼마 되지 않아 골을 먹히는 바람에 전반 21분에 [[이동준(1997)|이동준]]과 교체됐다. 이후 [[김민준(2000년 2월)|김민준]]에게 U22 주전을 내줬고 설상가상으로 부상을 당해 경기 명단에도 계속 못 들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주전을 보장받을 수 있는 K리그2 소속 팀으로 임대를 갈 수도 있다는 루머가 돌고 있다. ACL 3차전 카야전에서 후반 시작하자마자 김민준과 교체되며 오랜만에 필드를 밟았다. 후반 막판 힌터제어의 포스트 플레이를 통해 데뷔골의 기회를 잡고 슈팅을 때렸지만 아쉽게 상대 수비 맞고 벗어나며 데뷔골은 다음을 기약하게 됐다. 2021시즌 울산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 ACL을 포함해 도합 9경기 출전. ==== [[부산 아이파크]](임대) ==== 2022시즌을 앞두고 더 많은 출전경험을 쌓기 위해 [[K리그2]]의 [[부산 아이파크]]로 임대이적했다. 그러나 페레즈 감독의 알 수 없는 전술 아래에서 본래 위치인 10번 공격형 미드필더 자리가 아닌 윙어 자리에서 뛰는 경우가 부지기수며, 최근에는 '''윙백으로 기용되는 날도 있다.''' 12라운드 [[FC 안양]]과의 리그 경기에서 전반 40분 강력한 왼발 슛으로 프로 무대 데뷔골을 넣는 데 성공했다. 5월 14일 [[전남 드래곤즈]]와의 경기 이후로 부상으로 출전하지 못했고, 이후 시즌이 끝날 때까지 복귀하지 못했다. [[히카르두 페레스]] 감독의 이해 안되는 기용과 시즌 중반 시즌 아웃 부상으로 별 활약을 보여주지 못한 채 아쉽게 한 시즌이 지났다. 2022시즌 부산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을 포함해 도합 13경기 출전 1골 1도움. 시즌 종료 후 울산 현대의 연말 구단 행사에서 모습을 비춘 것으로 보아 임대복귀가 기정사실화 됐고, 결국 2023년 1월 3일 부산이 임대만료 오피셜을 띄우면서 울산으로 복귀하게 됐다. ==== [[울산 현대/2023년|2023년]] ==== 선수 소개 멘트는 '''빅 크라운에 승리의 노래를 연주한다.''' 2월 25일 [[전북 현대]]와의 [[현대가더비]] 개막전에서 울산의 U22 카드로 선발 출전했다. 그러나 [[전북 현대 모터스|전북]]의 압박에 팀 전체가 고전하는 모습을 보였고, 이른 시간에 선제골을 먹히는 바람에 빠른 분위기 반전을 위해 15분에 [[에사카 아타루|아타루]]와 교체됐다. 이후 2라운드부터 4라운드까지는 [[장시영]]이 선발 U-22 자원으로 기용되어 출장하지 못했다. 하지만, 3월 U-22 도하컵에서 장시영이 부상을 입으면서 5라운드 제주전에 선발 출장했다. ||[youtube(watch?v=b1c0KzbXMx8)]|| 4월 2일, 5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와의 경기에서 선발로 나와 전반 29분 팀의 세번째 골을 넣으면서 시즌 첫 골이자 [[K리그1]]과 울산에서의 데뷔골을 기록했다. [[김동준(축구선수)|김동준]]가 발을 헛디딘 틈을 타 오른발로 재치 있게 골문으로 밀어넣으면서 K리그1과 울산 현대에서의 데뷔골을 기록했다. 경기 M.O.M에 뽑히면서 5라운드 베스트 11에도 뽑혔으나, 1골 1어시를 기록한 [[백성동]]에게 밀려 아쉽게 라운드 MVP는 수상하지 못했다. ~~ 바코가 날려먹지만 않았어도... ~~ 4월 8일, 6라운드 [[수원 삼성]]과의 경기에서 선발로 나와 24분을 소화하고 교체 되었다. 4월 16일, 7라운드 [[대전 하나 시티즌|대전]] 경기에 선발 출장해 18분을 뛰고 교체 되었다. 4월 25일, 9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 원정에서 선발로 나와 9분에 날카로운 크로스로 [[마틴 아담]]의 선제골을 어시스트하며 시즌 첫 도움을 기록했다. 이후 후반 시작하자마자 [[이청용]]과 교체되었으며 마틴의 골이 결승골이 되면서 승리를 가져왔다. 4월 30일, 10라운드 [[광주 FC|광주]]전에 선발 출장하여 26분을 뛰고 [[김민혁(1992년 8월)|김민혁]]과 교체되었다. 5월 14일, 13라운드 [[FC 서울|서울]]전에 선발 출장하여 26분을 뛰고 [[엄원상]]과 교체되었다. 이후 14~17라운드에서는 U-22 자원으로 [[황재환]]이 선발 출전하였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6월 10일, 18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 FC|제주]]전에 선발 출장하여 18분을 뛰고 [[엄원상]]과 교체되었다. 6월 24일, 19라운드 [[대구 FC|대구]]전에 선발 출장하여 전반전 45분을 소화하고 [[이청용]]과 교체되었다. 7월 2일, 20라운드 [[광주 FC|광주]]전에 선발 출장하여 29분을 뛰고 [[박용우(축구선수)|박용우]]와 교체되었다. 7월 8일, 21라운드 [[포항 스틸러스|포항]]전에 선발 출장하여 35분을 소화하고 [[이규성(축구선수)|이규성]]과 교체되었다. 7월 12일, 22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인천]]전에 선발 출장하여 전반전 45분을 소화하고 [[이청용]]과 교체되었다. 광주전에 이어 [[아타루]]와의 공존을 위해 오른쪽 윙어로 출전하였는데, 강윤구 플레이 스타일상 라이트윙으로서는 역할이 제한적이기에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다. 두 경기 모두 2선 미드필더에 [[아타루]]와 강윤구를 모두 기용했는데, 두 선수 모두 주 포지션이 2선 공격형 미드필더라는 점은 선발 라인업을 짤 때 고려해야할 요소이다. 하지만, 다소 기계적인 로테이션을 돌리면서 이런 식으로 2선 조합을 구성하는 것에 대한 [[홍명보]] 감독의 기용에 대한 비판의 여론도 있다. 7월 15일, 23라운드 [[수원 삼성]]전은 [[조현택]]과 [[황재환]]이 선발 출장하면서 결장했다. 올스타 브레이크 전 마지막 경기인 7월 21일 24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 FC|제주]]전에 선발 출장했다. 전반전 45분 동안 괜찮은 모습을 보여주었고, 후반 시작과 함께 [[엄원상]]과 교체 되었다. 8월 5일, 25라운드 [[대구 FC|대구]]전에 선발 출장하였다. 전반전에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전반 풀타임을 소화할 것으로 보였으나, 전반 30분경 부상을 당하면서 32분만을 소화하고 교체되었다. 이동경 복귀 이후 라이트윙으로 기용되는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팀적으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긴 하나, 선수의 성장과 팀의 장기적 차원에서 보면 옳지 못한 기용이라고 보는 입장이 대다수. 초반에는 라이트윙에서 활약이 미진하였으나, 기본적으로 가진 능력이 좋은 선수이기에 윙어 자리에 점차 적응하면서 윙어에서도 괜찮은 활약을 보여주고 있다. 8월 12일, 26라운드 [[강원 FC|강원]]전에 선발 출장하여 20분을 소화하고 [[엄원상]]과 교체되었다. 이후 27라운드 [[현대가더비]]와 28라운드 [[FC 서울]]전에는 U22 카드로 [[황재환]]이 출장하면서 강윤구는 결장했다.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예선|2024 AFC U-23 아시안컵 예선]] 훈련 명단에 포함되었으나, 부상으로 인해 낙마했다. 이후 부상으로 인해 명단에 들지 못하다가 10월 3일 [[가와사키 프론탈레]] 원정에 동행한 것이 확인되면서 부상이 회복된 것으로 보인다. == 국가대표 경력 ==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 ==== 2021년 ==== 2021년 9월 24일에 [[황선홍]]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의 [[AFC U-23 아시안컵]] 예선 대비 소집 훈련 명단에 포함되었다. '''무려 4살이나 월반하여 이번 U-23 대표팀에 발탁되었다.''' 이후 훈련에서 살아남아 10월 4일에 발표된 [[AFC U-23 아시안컵]] 예선 참가 선수명단에 이름을 올리는데 성공했다.[[https://www.instagram.com/p/CUl99K3F71z/|#]][* 명단에 포함된 선수들 중 유일한 10대 선수다.] 훈련 영상이나 사진을 봤을 때 몸이 약간 불어났는데, 벌크업으로 피지컬을 보완한 듯 하다. [[황선홍호/2022 AFC U-23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2022 AFC U-23 아시안컵 예선]] 필리핀전에 [[고재현]]과 교체되면서 83분 교체 출장했다. 그러나, 별 활약을 보여주지는 못했고 후반 추가시간 2분 경고 한장을 받았다. 이후 동티모르전, 싱가포르전 모두 출장하지 못했고, 본선 명단에서는 낙마했다. ==== 2022년 ==== 2022년에는 5월 중 시즌 아웃 부상을 당해 국가대표팀에 소집 되지 못했다. 동 나이대, 동 포지션에 [[이강인]]이라는 강력한 경쟁자가 있지만, [[이강인]]은 아시안게임을 제외한다면 U-23 대표팀에 소집될 가능성이 거의 없기에 울산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면 충분히 차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23 대표팀에서는 [[고영준]]이 주전 자원이기에 [[고영준]]과 경쟁 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 2023년 ==== 울산으로 복귀하고 U22 주전으로 기용되고 있다. 2선에 워낙 좋은 선수들이 많았기에 아시안게임 최종 명단에 예상대로 뽑히진 못했으나, 리그와 아챔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면 U-23 아시안컵이나 파리올림픽 명단에 발탁될 가능성도 있다. 부상 없이 풀타임 소화 가능 능력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2023년 8월 25일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예선|2024 AFC U-23 아시안컵 예선]] 훈련 명단에 포함되었다. 2021년 이후 약 2년만에 U-23 대표팀 복귀. [[황선홍]] 감독의 경우 4-2-3-1과 4-1-4-1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편인데, 이번 U-23 대표팀에는 공미 자원이 [[이현주(축구선수)|이현주]]와 [[황재환]] 정도밖에 없고 두 선수 모두 2선 멀티 자원이기에 주전급으로 나올 확률도 높아보인다. '''그러나, 부상으로 인해 훈련 소집 명단에 제외되었다.''' 아시안게임 직전이라 올림픽 대표팀에서 아시안게임에 승선하는 선수들이 제외되어 최종 명단 승선 가능성이 적지 않았던 만큼 강윤구 개인과 울산팬들에게는 아쉬울만 하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울산 현대]] * [[K리그1]]: 2023 === 개인 수상 === === 통산 성적 === ==== 클럽 기록 ==== ||<|2> '''{{{#fff 시즌}}}''' ||<|2> '''{{{#fff 소속리그}}}''' ||<|2> '''{{{#fff 클럽}}}''' ||<-3> '''{{{#fff 리그}}}''' ||<-3> '''{{{#fff FA컵}}}''' ||<-3> '''{{{#fff 대륙대회[* [[FIFA 클럽 월드컵]] 포함]}}}''' ||<-3> '''{{{#fff 합계}}}''' || || {{{#fff 경기}}} || {{{#fff 득점}}} || {{{#fff 도움}}} || {{{#fff 경기}}} || {{{#fff 득점}}} || {{{#fff 도움}}} || {{{#fff 경기}}} || {{{#fff 득점}}} || {{{#fff 도움}}} || '''{{{#fff 경기}}}''' || '''{{{#fff 득점}}}''' || '''{{{#fff 도움}}}''' || || '''2021''' || '''[[K리그1]]''' || '''[[울산 현대]]''' || 7 || 0 || 0 || 0 || 0 || 0 || 2 || 0 || 0 || 9 || 0 || 0 || || '''2022''' || '''[[K리그2]]''' || '''[[부산 아이파크]]''' || 13 || 1 || 1 || 2 || 0 || 0 || - || - || - || 13 || 1 || 1 || || '''2023''' || '''[[K리그1]]''' || '''[[울산 현대]]''' || || || || || || || || || || || || || || '''1시즌''' || '''[[K리그1]]''' || '''[[울산 현대]]''' || 7 || 0 || 0 || 0 || 0 || 0 || 2 || 0 || 0 || 9 || 0 || 0 || || '''1시즌''' || '''[[K리그2]]''' || '''[[부산 아이파크]]''' || 13 || 1 || 1 || 2 || 0 || 0 || - || - || - || 13 || 1 || 1 || ==== 국가대표 기록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FF2E3C 20%, #FF2E3C 80%, #b71d27)" {{{#ffffff '''소속 대표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FF2E3C 20%, #FF2E3C 80%, #b71d27)" {{{#ffffff '''연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FF2E3C 20%, #FF2E3C 80%, #b71d27)" {{{#ffffff '''경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FF2E3C 20%, #FF2E3C 80%, #b71d27)" {{{#ffffff '''득점''' }}}}}} || ||<|4>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U - 20 || 0 || 0 || || U - 23 || 1 || 0 || || A 대표 || 0 || 0 || || '''통산''' || '''1''' || '''0''' || == 플레이 스타일 == ||[youtube(watch?v=SmHXoalr6HY)]|| 어린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시야가 매우 좋고, 안정된 킥력과 패스 능력이 큰 장점이다. 활동량, 수비 가담능력 또한 장점 중 하나이며, 공미라는 포지션임에도 불구하고 고교 득점왕까지 수상했을 정도로 킥 또한 매우 예리하고 정확하다. 2선 공격형 미드필더에 가장 적합한 선수고, 중앙에서 플레이 메이킹에 능한 메디아푼타 유형의 공격형 미드필더다. 패스길을 매우 잘 보는 편이고, 킥력도 좋아 중앙에서 패스를 잘 찔러준다. 또한 2023시즌부터는 압박이나 수비 부분에서도 상당히 개선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수비력이 다소 아쉽기는 하나, 프로 초기에 비하면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공격형 미드필더라는 포지션을 감안했을때는 큰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단점으로는 수비 능력이 다소 아쉬워 플레이타임 대비 파울, 경고가 많은 편이다. 다만, 플레잉 타임이 적어 경고 누적에 딱히 부담이 없기도 하기에 적극적으로 부딫혀 끊어주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프로 초기에는 피지컬이 아쉽다는 얘기가 많았는데, 선수 본인도 이를 인지하고 있는지 벌크업을 통해 체구를 키웠다. [* 2023년 프리시즌 모습을 봤을 때 2021년 대비 몸이 커졌음을 알 수 있다.] == 역대 프로필 사진 == ||<:> '''{{{#fff 울산 현대}}}''' || '''{{{#fff 부산 아이파크}}}''' ||<-4><:> '''{{{#fff 울산 현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1강윤구1.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강윤구부산2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시즌 30. 강윤구.png|width=100%]]}}} || || '''{{{#fff 2021 시즌}}}''' || '''{{{#fff 2022 시즌}}}''' || '''{{{#fff 2023 시즌}}}''' || == 여담 == * 고교 졸업 후 많은 구단들이 [[강윤구(2002)|강윤구]] 영입을 위해 노력했다. [[대구 FC|대구]]가 [[울산 현대|울산]]의 가장 강한 경쟁자였는데, 강윤구를 놓친 [[조광래]] 대표이사 겸 단장은 극대노를 했다고 전해진다. * 롤 모델은 [[리오넬 메시]]이다. 울산에서의 등번호를 30번으로 한 것도 메시가 프로 데뷔 초에 달았던 등번호를 달고 싶어서였다고 한다. * [[풋볼 매니저]] 2021에서는 -8의 고[[포텐]]을 받았다. 다만, [[풋볼 매니저]] 2023에서는 85/-7로 포텐이 다소 하락했다. 22시즌의 여파인듯 하다. * [[김다미]]의 팬인 것으로 보여진다. * [[인천 유나이티드|인천]]에 [[강윤구(1993)|동명의 축구선수]]가 있으나 이 강윤구는 해외파 출신이다. * 평소 [[김지현(축구선수)|김지현]]과의 케미가 좋다. * [[불투이스]]가 강윤구에게 큰 소리로 훈련을 가자고 말하는 동영상이 유튜브에서 화제가 됐던 적이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XV3KlXpraUI|#]]. 마지막 불투이스가 한 말은 "서부구장 10시반 훈련!"이다. * [[포경수술|고래를 잡지 않았다고 한다.]] [[https://youtu.be/KFupVmg7a6M?t=247|#]] == 같이 보기 == [include(틀:울산 현대)] [각주] [[분류:2002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미드필더]][[분류:공격형 미드필더]][[분류:울산 현대/현역]][[분류:부산 아이파크/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