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통일부장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764 0%, #003764 20%, #003764 80%, #003764)" '''[[통일부장관|{{{#ffffff 대한민국 제24대 통일부 장관}}}]][br]{{{#ffffff {{{+1 강인덕}}}[br]康仁德 | Kang In-deo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SI_20070910023644.jpg|width=100%]]}}} || ||<|2> '''출생''' ||[[1932년]] [[11월 10일]] ([age(1932-11-10)]세) || ||[[평안남도]] [[평양부(일제강점기)|평양부]] || || '''본관''' ||[[강(성씨)|곡산 강씨]] || ||<|2> '''재임기간''' ||제24대 통일부 장관|| ||[[1998년]] [[3월 3일]] ~ [[1999년]] [[5월 23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강기선, 어머니 김병기 || || '''형제자매''' ||6남매 중 막내 || || '''배우자''' ||배정숙 || || '''자녀''' ||슬하 2남 1녀 || || '''학력''' ||[[한국외국어대학교]] {{{-2 ([[노어노문학과|러시아어과]] / [[학사]])}}}[br][[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 ([[국제정치학]] / [[석사]])}}}[br][[경희대학교/대학원|경희대학교 대학원]] {{{-2 ([[정치학]] / [[박사]])}}} || || '''약력''' ||[[6.25 전쟁]] [[학도병]] 참전[br][[중앙정보부]] 해외정보국장[br][[중앙정보부]] 북한정보국장 겸 남북대화협의회 사무국장[br][[중앙정보부]] 심리전국장[br][[극동문제연구소]] 초대 이사장 겸 소장[br]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이념분과위원장[br]제24대 [[통일부 장관]][br]극동문화 대표이사[br]대통령 국가안보자문단 위원[br][[극동문제연구소]] 초빙교수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공무원]], [[정치인]]이다. == 생애 == [[1932년]] [[평안남도]] [[평양부(일제강점기)|평양부]]에서 아버지 강기선과 어머니 김병기 사이에서 6남매 중 막내아들로 태어나 [[1950년]]에 평양제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6.25 전쟁]] 때 [[월남]]하여 학도병으로 참전한 바 있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노문학과|러시아어과]]를 졸업하고 해병대 복무를 하기도 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대학원|동 대학 대학원]] 아시아 지역사회 연구학(국제정치학) [[석사]], [[경희대학교/대학원|경희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박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1961년]] [[중앙정보부]] 창설 당시 입사한 후 [[1971년]]부터 해외정보국장을 시초로 간부직을 맡기 시작해 [[1972년]] 북한정보국장 겸 남북대화협의회 사무국장, [[1975년]] 심리전국장 등 간부직을 역임하였다. [[1978년]]에 [[북한]]/공산권 연구소 (재)극동문제연구소(현 한올)를 세우고 초대 이사장 겸 소장을 맡아 [[1981년]]부터 12년간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이념분과위원장을 지냈다. [[1980년]] 1월부터 [[1998년]] 2월까지 [[KBS 사회교육방송]]에서 심리전 프로그램 <북한 노동당 간부들에게>를 진행했다. 그 외에 [[KBS 1TV]] <[[남북의 창]]> 같은 북한 관련 TV프로나 뉴스에 단골 출연했고, [[1982년]]에 <어린이세계> 발행을 맡는 (주)극동문화를 세웠다. 6.25 참전 경력과 중앙정보부 재직 이력 탓에 강경 보수 [[우익]] 성향으로 분류됐으나, [[김대중 정부]]에서 초대 [[통일부장관]]으로 임명되었다. 임명 과정에서 [[김종필]] 당시 국무총리가 천거했다는 후문이 있었다. [[1999년]] [[옷로비 사건]] 청문회 때 아내 배정숙씨가 "미안합니다 몸이 아파서..."라는 말을 하여 화제가 되었다. 공교롭게도, 이 사건은 당시 신인이었던 개그맨 [[김영철(코미디언)|김영철]]이 이 말을 따라하면서 전국적으로 유명세를 타는 계기가 된다. 퇴임 후 [[2000년]]에 극동문제연구소 소장으로 재취임해 운영 일선에 복귀했다가 [[2013년]] [[박근혜 정부]] 출범 뒤에 대통령 국가안보자문단 통일/북한분야로 위촉됐고, [[2015년]]에는 극동문제연구소를 김형성 [[성균관대]] 법학대학원 교수에게 넘기며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초빙교수로 재직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국민의 정부의 국무위원)]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강인덕, version=9)] [[분류:통일부 장관]][[분류:평양시 출신 인물]][[분류:1932년 출생]][[분류:실향민]][[분류:한국외국어대학교 출신]][[분류:경희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공무원 출신 정치인]][[분류:국민의 정부/인사]][[분류:6.25 전쟁/군인]][[분류:해병대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