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미연합군사령부 부참모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4f22, #2A5034 20%, #2A5034 80%, #2a4f22)" '''{{{#fff {{{+1 강인순}}}[br]Kang Insoon}}}'''}}}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강인순 소장.jpg|width=100%]]}}} || ||<|2> '''{{{#fff 복무}}}''' ||[[대한민국 육군]] || ||<(> [[1988년]] ~ [[2021년]] || || '''{{{#fff 학력}}}''' ||[[부산동고등학교]] {{{-2 (졸업 / 28회)}}}[br][[육군사관학교]] {{{-2 (독일지역학 / 학사)}}}[br][[국방대학교]] {{{-2 (국제관계학 / 석사)}}} || ||<:> '''{{{#fff 임관}}}''' ||<(> [[육군사관학교]] {{{-2 (44기)}}} || ||<:> '''{{{#fff 최종 계급}}}''' ||<(> [[소장(계급)|소장]] {{{-2 (대한민국 육군)}}} || ||<:> '''{{{#fff 최종 보직}}}''' ||<(>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참모장]][* [[한미연합사령부]]는 모든 보직이 정·부로 나뉘며 정 보직에는 [[미군]]이, 부 보직에는 [[대한민국 국군]]이 보직된다.] 겸 [br]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수석대표 || ||<:> '''{{{#fff 주요 보직}}}''' ||<(>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장[br][[제20기계화보병사단]]장[br][[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정책기획차장[br][[제7기동군단]] [[참모장]][br][[한미연합군사령부]] 지구사 작전과장[br][[한미연합군사령부]] 지구사 비서실장[br][[제8기동사단|제8기계화보병사단]] [[제21기계화보병여단]]장[br][[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국방위기관리담당관[br][[제11기동사단|제11기계화보병사단]] 작전참모[br][[제11기동사단|제11기계화보병사단]] [[제20기갑여단#제37전차대대 번개|제37전차대대]]장[br][[제7기동군단]] 작전계획과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육군]]의 전 [[군인]]. 퇴역 계급은 [[소장(계급)|소장]]이며,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수석대표직을 역임하였다. == 생애 == [[부산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학년 위 직속선배가 부산 북구-강서구 을에서 내리 3선을 지낸 [[김도읍]] 국민의힘 국회의원이다. 부산동고-육사 직계후배로 [[손식]] 특전사령관이 있다.] 1984년 [[육군사관학교]] 44기로 입교하여 1988년 졸업과 함께 육군 [[기갑]] [[소위]]로 임관했다.[* 작전 직능이 아니냐는 얘기가 있었지만 영관급 이상 직능은 보병, 포병병과만 있다. 즉 강인순 장군은 기갑병과일뿐 직능은 없다] 해외 [[위탁교육]] 대상자로 선발되어 독일 육사에서 유학한 독사파로 독일 기갑 전술에 박식하다. 독사파 선배들은 잘나가는 군인이 많았는데 대표적으로 [[김관진]], [[김태영(군인)|김태영]], [[박찬주]]가 있다. 독일 육사 유학 시기 독일 체류 기간이 겹치는 선배들은 43기 신현기 예)준장 (1기갑여단장 역임), 42기 [[신인호]] 전 국가안보실 2차장이다. == 주요 직위 == * '''중령''' * [[제7기동군단]] 작전처 작전계획과장 {{{-2 (2004 ~ 2006)}}} * [[제11기계화보병사단]] [[제20기계화보병여단]] 제37전차대대장 {{{-2 (2006 ~ 2008)}}}[* 현재는 [[제20기갑여단]]으로 소속이 변경된 상태.] * [[제11기계화보병사단]] [[작전참모]] {{{-2 (2008 ~ 2009)}}} * '''대령''' *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국방정책실 정책기획관실 국방위기관리담당관 {{{-2 (2009 ~ 2011)}}} * [[제8기동사단|제8기계화보병사단]] [[제21기계화보병여단]]장 {{{-2 (2011 ~ 2012)}}} * [[한미연합군사령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지상군구성군사령관]] [[비서실장]] {{{-2 (2012 ~ 2013)}}}[* [[지상작전사령부]]의 창설과 함께 지상군구성군사령관 직이 [[지상작전사령관]]으로 넘어갔다. 강인순이 대령이었을 때는 연합사 부사령관이 지구사령관이었다.] * [[한미연합군사령부]] 지상군구성군사령부 작전처 작전과장 {{{-2 (2013 ~ 2014)}}} * '''준장''' {{{-2 2014년 10월 1차 진급}}} * [[제7기동군단]] [[참모장]] {{{-2 (2014.10 ~ 2015.10)}}} *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국방정책실 정책기획관실 정책기획차장 {{{-2 (2015.10 ~ 2016.10)}}} * '''소장''' {{{-2 2016년 10월 1차 진급}}} * [[제20기계화보병사단]]장 {{{-2 (2016.10 ~ 2018.11)}}}[* 전임자 [[유무봉]], 후임자 [[황유성]]] *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장 {{{-2 (2018.11 ~ 2020.05)}}}[* 해당 보직 수행 당시 이와 같은 기사가 나왔다.[[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466166622556488&mediaCodeNo=257|#]]][* 전임자 [[김정수(1964)|김정수]], 후임자 [[안병석]]] *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참모장]] 겸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수석대표 {{{-2 (2020.05 ~ 2021.11)}}}[* [[https://m.facebook.com/UnitedNationsCommand/posts/we-bid-farewell-to-mg-kang-in-soon-who-is-retiring-from-service-turning-over-res/1967882296732863/?locale=korea&_rdr|2021년 11월 퇴역하였다.]]][* 전임자 [[김종문(군인)|김종문]], 후임자 [[이기성(군인)|이기성]]] == 여담 == * 중령(진) 시절인 2004년 대대장을 하기도 전에 [[제7기동군단]] 작전처 작전계획과장으로 보직되었는데[* 같은 작전처의 작전과장이 전영남 중령으로 강인순의 육사 5기수 선배(39기)이며 대령에 막차로 진급하고 [[제5보병사단]] [[참모장]]으로 영전했다. '''자신의 한참 선배와 보직이 같았을 정도'''로 엄청 유능했다는 얘기다.] 이 때 동기들은 갓 대대장을 하던 시기였다. 원래 중령 1차 보직은 대대장이며, 당연히 짬 중령이 보임되는 작전계획과장 보직이 안 되는 짬밥인데 강인순이 워낙 뛰어난 인재이다 보니 그냥 넣어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원래 군단급 이상의 부대 사령부 실무장교는 진급심사 대상자가 들어가는 자리[* 군단 작전처 작전과장과 작전계획과장은 하급 부대에서 대대장에 이어 사단 작전참모까지 마치고 온 고참 중령이 보임되어, 이 자리에서 대령으로 진급하는 경우도 많다. 요직이기 때문이다.]이다. 다만, 이 경우는 대대장 보직 예정 부대장 보직기간 문제로 군단급 과장 또는 사단 참모를 먼저 거친 정도로 종종 있는 케이스다. 이걸 두고 중령(진)이 대령(진) 대우를 받았다는 건 비약이다. * [[소장(계급)|소장]] 당시 중장 진급 후보군으로 하마평에 올랐다. 그러나 육사 44기급이 중장으로 진급한 2019년 11월, 2020년 5월, 2020년 12월 인사에서 연거푸 중장으로 인선이 안됐고 군번이 군번인만큼 중장급 장성에서 [[윤의철|사건사고가 터지지 않는 이상]] 이번 보직이 마지막 보직일 듯 하다. 문재인 정부의 육사 비선호 기조에[[https://mnews.joins.com/amparticle/23936094|*]] 진급을 못 한 비운의 인물이다. 중장 진급에 실패한 상황에서 본인의 [[육군사관학교]] 1기수 후배인 [[강건작]], [[안병석]], [[전동진(군인)|전동진]], [[이정웅]] 장군이 [[중장]] 진급에 성공함에 따라 강인순의 중장 진급은 사실상 불가능이나 다름없게 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육사 졸업 당시 수석이었던 [[김현종(군인)|김현종]] 중장도 소장 진급은 2차에 했다.] 결국 한미연합사 부참모장을 끝으로 2021년 11월 퇴역하였다. * 기갑 병과라 차별당하고, 비육사 우대 기조에 역차별도 당하고, 거기에 [[김관진]] 등 보수정부 인물과 겹치는 독사파이기까지 해서 디메릿을 3중으로 먹어 중장 진급이 어려웠다. * 키가 상당히 크다. 185cm는 족히 되는 장신이며, [[황기철]] 前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과 [[최병혁]] 前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과 함께 장신 장군으로 언급된다. 나이대를 고려했을 때 저정도 신장에 머무는 장군들이 몇 없기 때문. [[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부산동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