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 ||<-2> '''대한민국 제4대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br]{{{+1 강정민}}} [br]姜鄭敏'''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강정민원자력공학자.jpg|width=100%]]}}} || ||<|2> '''출생''' ||<(> [[1965년]]|| ||[[경상남도]] [[김해군]] || || '''학력''' ||<(> [[김해고등학교]] {{{-2 ([[졸업]] / 8회)}}}[br][[서울대학교 공과대학]] {{{-2 (원자력공학 / [[학사]])}}}[br][[서울대학교 대학원]] {{{-2 (원자력공학 / [[석사]])}}}[br][[도쿄대학]] {{{-2 (시스템양자공학 / [[박사]])}}} || || '''약력''' ||<(> 미국 NRDC 선임연구위원[br]한국과학기술원(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초빙교수[br]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국제대학원(SAIS) 객원연구원[br]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원[br][[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2 ([[문재인 정부]])}}}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의 원자력공학자. == 생애 == [[김해고등학교]](8회)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원자핵공학과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일본 도쿄대학에서 시스템양자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국내외에서 다수의 언론, 학술지를 통해 북한 핵위협의 기술적 평가, 한국의 원자력 정책, 비확산 분야에 관한 저술을 발표했다. 원자력 전공자지만, [[탈원전]]에 관하여 찬성론자로 구분된다. 신고리 5/6호기 건설 문제에 대해서도 반대측 자문으로 참여했다. 2016년 11월, 부산-울산의 사용후핵연료 저장탱크의 냉각장치가 중단될 경우, 최대 3만1000㎢ 지역의 사람들이 대피해야 하고 그 인구가 3500만명에 달할 것이라고 분석을 하면서 후쿠시마 핵발전소 참사 때보다 피해 범위가 30배에 달할 것이라며 위험성을 강조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256893|#]] 2017년 2월, 사용후핵연료를 재사용하는 파이로프로세싱이 성공사례가 없다고 강조했다. [[http://www.j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84004|#]] 2018년 1월,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했다. 취임 후 1월 24일의 기자 간담회에서 자신이 탈원전론자라는 지적을 부정했다. 신고리 5/6호기 반대도 "이미 경남이라는 특정 지역에 원전이 집중되어 있어서 그런 것이며, 만약 다른 지역에 짓는다면 반대 안 했을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비판론자들은 강 위원장이 이전부터 원전의 안전 문제(특히 지진 등에 의한 취약성)를 내세워 탈원전을 주장해 왔음을 지적하며, "말바꾸기"라고 재차 비판했다.] 2018년 5월, [[대진침대 라돈 기준치 초과 검출 사건]]이 발생한다. 강정민 위원장이 이로 인해 긴 조사를 받게 되었는데, 2020년 1월 최종 불기소 처분 되었다.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33481|#]] 2018년 10월, [[국정감사]]를 앞두고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직을 사퇴했다. KAIST 초빙교수 시절이던 2015년 원자력연구원 사업에 참여했는데, 원자력안전위의 법률상 3년 내 사업관여를 했다면 결격사유에 해당하기 때문. [[https://www.yna.co.kr/view/AKR20181029027152017|#]] 2019년 1월,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장직 지원자 16명 안에 들었으나, 되지 못 했다.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14/2019011400132.html|#]] 2019년 3월, [[자유한국당]] [[김도읍]] 의원은 강정민 전 위원장을 '친문 낙하산'으로 규정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1VGNWI4KYU|#]] 2020년 10월, 사용후핵연료를 재활용하는 파이로·SFR은 "백해무익"하다며 사업들을 전부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0/23/2020102303021.html|#]] 2020년 10월, 일본의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오염수 방류를 비판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1Z98B15RT3|#]] 2021년 3월, "핵융합발전은 미래의 희망 에너지원일까"라는 부정적인 기고문을 올렸다. [[https://m.khan.co.kr/opinion/column/article/202103150300055|#]] 2021년 5월, 또 "핵융합발전은 경쟁력이 없다"고 부정적인 기고문을 올렸다. [[http://weekly.khan.co.kr/khnm.html?www&mode=view&art_id=202105071120151&dept=114|#]] 2021년 6월, '파이로프로세싱' 등 핵연료 부족 푼다는 '플루토늄 재활용' 아이디어는 전 세계의 악몽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https://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997766.html|#]] 2021년 8월, [[이재명]] 대선후보의 정책자문단에 들어갔다.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629195300725133004|#]] 2021년 9월, 플루토늄 재활용은 한-미가 10년을 연구해도 결과가 없었다며 또 비판했다. [[https://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1010140.html|#]] 2022년 2월, [[윤석열]] 대선후보의 탈원전 폐기 공약이 유럽의 그린택소노미(친환경 분류기준)에 들려면 난관이 많다고 비판했다. [[https://www.hani.co.kr/arti/opinion/because/1030049.html|#]] [각주] [[분류:김해시 출신 인물]][[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1965년 출생]][[분류:김해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도쿄대학 출신]][[분류: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