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화성 FC/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강철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K3리그/감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강철의 역임 직책'''}}}}}} || || {{{#!folding ▼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대표팀'''}}} || || || || || || ||<-4> {{{#333333,#cccccc '''클럽'''}}} || || [[틀:대전 하나 시티즌/역대 감독|[[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972841; font-size: 0.9em" [[틀:대전 하나 시티즌/역대 감독|{{{#ffffff '''대전 하나 시티즌'''}}}]]}}}[br]{{{-2 대행}}} || [[틀:화성 FC 감독|[[파일:화성 FC 엠블럼.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b6d00; font-size: 0.9em" [[틀:화성 FC 감독|{{{#ffffff '''화성 FC'''}}}]]}}}[br]{{{-2 5대}}} || || || ---- [include(틀:제주 유나이티드 FC/역대 주장)] ---- [include(틀:전남 드래곤즈/역대 주장)]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강철의 수상 이력'''}}}}}} || || {{{#!folding ▼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K리그1|[[파일:K리그1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e3224; font-size: 0.9em" [[K리그 대상#s-7.1|{{{#ffffff '''K리그 베스트 11'''}}}]]}}} ||<-3>[[틀:1999 K리그 베스트 11|1999]] · [[틀:2000 K리그 베스트 11|2000]]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b6d00 0%, #eb6d00)" {{{+1 [[화성 FC|{{{#ffffff '''화성 FC 감독'''}}}]]}}}}}} || ||<-3> {{{#1d2088 '''Hwaseong Football Club'''}}}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_화성 강철.png|width=100%]]}}} || ||<-2> {{{#ffffff ''' 이름 ''' }}} || {{{+1 '''강철'''}}}[br]'''姜喆 | Kang Chul''' || ||<-2> {{{#ffffff ''' 출생 ''' }}} ||[[1971년]] [[11월 2일]] ([age(1971-11-02)]세) || ||<-2> {{{#ffffff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ffffff ''' 신체 ''' }}} ||176cm || ||<-2> {{{#ffffff ''' 학력 ''' }}} ||[[대신고등학교(서울)|대신고]] - [[연세대학교|연세대]] || ||<-2> {{{#ffffff ''' 직업 ''' }}} ||[[축구 선수]] ([[수비수(축구)|수비수]][* [[윙백]]] / 은퇴)[br][[축구 감독]] || ||<|3> {{{#ffffff ''' 소속 ''' }}} || {{{#ffffff ''' 선수 ''' }}} ||'''[[제주 유나이티드/유공과 SK 시절|유공 코끼리/부천 SK]] (1993~2000)''' [br] → {{{-1 [[상주 상무|상무 축구단]] (1996~1997 / 군 복무)}}} [br] [[LASK]] (2001) [br] [[전남 드래곤즈]] (2001~2004) || || {{{#ffffff ''' 코치 ''' }}} ||[[전남 드래곤즈]] (2005~2008) [br]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3 대표팀]] (2007~2008) [br] [[부산 아이파크]] (2008~2010 / 수석 코치) [br] '''[[포항 스틸러스]] (2011~2015 / 수석 코치)''' [br] [[FC 서울]] (2016~2018 / 수석 코치)[br] [[옌볜 푸더]] (2018~2019 / 수석 코치) [br] [[대전 하나 시티즌]] (2020 / 수석 코치) || || {{{#ffffff ''' 감독 ''' }}} ||[[대전 하나 시티즌]] (2020 / 감독 대행) [br] '''[[화성 FC]] (2022~)''' || ||<-2> {{{#ffffff ''' 국가대표 '''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25]]]] 54경기 1골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1992~2001)^^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출신 [[축구 감독|감독]]. 현역 시절 풀백을 소화했다. == 선수 경력 == === 프로 데뷔 전 === 특이하게도 학창 시절에는 스트라이커였다고 하며, 아시아 학생 선수권대회에서 득점왕과 MVP를 수상했을 정도로 공격적인 재능을 선보였다. 수비수로 포지션을 변경한 것은 연세대 진학 후 주전 풀백을 보던 선수가 부상당하자 정병탁 당시 연대 감독의 권유로 풀백 자리에 들어간 것이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 클럽 경력 === [[파일:3153_1.jpg]] 1993년 [[유공 코끼리]]에 입단한 후 계속 주전으로 활약했으며, [[발레리 니폼니시]]가 감독으로 부임한 이후에는 이른바 "니포 축구"의 일원으로 영리함과 강인한 정신력을 바탕으로 한 활약으로 팬들에게 많은 인상을 남기며 K리그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키는 데 일조했다. 이런 활약으로 1999년과 2000년에 팀의 주장을 역임하며 2년 연속으로 K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며 전성기를 구가했으며, 탁월한 기량과 훤칠한 외모를 자랑하며 축구팬들의 많은 사랑을 독차지 했다. 그 뒤 2001년 [[최성용]]과 함께 [[오스트리아]]의 [[LASK 린츠]]로 이적했으나, 별다른 활약을 보이지 못하고 4개월만에 국내로 복귀했다. 하지만 친정 팀인 부천 SK가 아닌 [[전남 드래곤즈]]에 입단해 부천 팬들의 공분을 샀는데, 어느 정도였냐면 이 때 부천 팬들이 경기장에서 강철의 유니폼을 태우는 화형식까지 했을 정도였다. 그래도 전남에서 3년 간 활약하며 주장으로 활약하는 등 연맹 주관 대회만 69경기에 출전했고 [[전남 드래곤즈]]에서 2004년에 은퇴했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383860#home|#]] === 국가대표 경력 === [[연세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1989년에 '''만 17세 7개월'''로 국가대표팀에 입성하는 파격적인 행보를 걸었다. 이 때 기존의 국가대표팀 선수들과 나이 차이가 제법 나서 "삼촌"이라고 불렀다고... 비록 A매치에서 활약하지는 못하고 훈련만 소화한 것이었지만 당시 같이 대학 무대에서 명성을 떨치던 [[홍명보]]도 받지 못했던 대우였다. 하지만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90 FIFA 월드컵]] 직전 대표팀에서 낙마하고 그 자리에 대학 무대에서 맹활약하던 [[홍명보]]가 발탁되면서 월드컵 무대를 밟지는 못했다. 비록 월드컵에는 출전하지 못했으나 대신 1991년 [[포르투갈]]에서 열린 U-20 월드컵에 출전했다. 여담으로 당시 국가대표팀은 남북 단일 팀으로 구성되었는데, 북한의 최철과 윤철, [[대한민국]]의 박철과 함께 "철 4총사"로 불렸다고 한다. 이 대회에서 강철은 몸을 아끼지 않는 수비를 선사했고, 단일 팀은 첫 경기에서 [[아르헨티나]]를 1-0으로 잡는 이변을 일으키며 8강에 진출했다. 이후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대표팀으로 발탁되었지만, 대표팀은 [[서정원]]과 [[정재권]] 등 수준급의 공격 자원을 보유했음에도 불구하고 단 2골만을 득점하는 부진 끝에 3무로 토너먼트 진출에 실패했다. 유독 월드컵과는 인연이 없는데, [[1994 FIFA 월드컵 미국|1994 FIFA 월드컵]] 당시에는 대회 직전 발목 인대가 끊어지는 부상을 당해 좌절되었고, 이후 1996년 [[상주 상무|상무]]에 입대해 1997년 전역했으나 당시 [[K리그]] 소속이 아니었던 상무에서 2년을 보낸 탓에 몸 상태가 정상이 아닌지라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1998 FIFA 월드컵]]에도 나오지 못했다. 이후 [[거스 히딩크]]가 감독으로 부임해 한 때 주장 완장까지 차는 등 대표팀의 핵심 멤버로 활약했지만 결국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2002 FIFA 월드컵]] 본선 엔트리에 들어가는 데 실패했다. 이 탓에 선수 시절 커리어에 비해 명성이나 인지도가 매우 떨어진다. 반면 [[AFC 아시안컵]]은 [[1996년 AFC 아시안컵|1996년]]과 [[2000년 AFC 아시안컵|2000년]]에 모두 참가했으며,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도 발탁되었다. 다시 말해 국가대표팀으로 뛸 수 있는 대회에서 다 뛰었는데 결국 유독 월드컵만 못 나온 셈이다. 대표팀에서의 기록은 54경기 1골. 이외에 [[2000 시드니 올림픽]]에도 출전한 경력이 있어 선수 생활 동안 두 번이나 [[올림픽]]에 참가한 진귀한 기록도 가지고 있다.[* 강철 이외에 이런 기록을 갖고 있는 한국 선수는 [[이천수]], [[최태욱]], [[김동진(1982)|김동진]], [[김정우(축구인)|김정우]], [[박주영]], [[기성용]], [[권창훈]]이 있다.] 당시 수비수 와일드 카드는 홍명보로 낙점 되었지만, 대회 직전에 홍명보가 부상으로 이탈하자, 강철을 대신 집어넣었다. 강철 본인도 전혀 예상치 못한 선발이라 허겁지겁 준비해서 시드니로 갔다고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홍명보 땜빵 격으로 뛰던 선수로 기억되고 있다. 그 단적인 예가 2000 시드니 올림픽 당시 홍명보가 부상으로 [[와일드카드(스포츠)|와일드카드]]에서 낙마하자 대회 며칠을 앞두고 바로 [[시드니]]로 합류했던 사건. 허나 다른 사람도 아닌 홍명보의 땜빵이었고, 홍명보는 부상도 거의 없었기에 당시에 축구를 보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인지도가 지극히 낮다. == 지도자 경력 == === 코치 시절 === 전남에서 은퇴 후에는 [[전남 드래곤즈]] 코치를 거쳐 [[2008 베이징 올림픽]]을 준비하던 [[박성화]] 감독을 보좌하는 코치로 활약했다. === [[황선홍]] 사단 === 올림픽이 끝난 직후 성적 부진에 빠진 부산이 [[김판곤]] 수석코치를 경질하며 강철을 데리고 왔는데, 이때 부산의 감독인 황선홍과 인연이 시작됐다. 전남에서 한솥밥을 먹다가 3년 만에 재회했다. 은퇴 후 스카우트로서 스탭직을 시작했기에 선수 보는 눈이 좋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황선홍]] 감독 부임 후 성적이 좋지 않았을 무렵에는 강철과 윤희준 코치가 '수비축구의 원흉'으로 찍혀서 퇴진 압력을 받은 적도 있다.[* 황선홍 감독이 포항에서 [[레전드|어떤 입지]]를 갖고 있는지를 생각한다면 성적이 일시적으로 안 나올 때 비난이 감독 대신 코치들에게 어느 정도 갈 수밖에 없다.] 하지만 황선홍 감독 체제에서 강철과 윤희준 두 코치가 수비전술을 만들다시피 한 점을 생각해보면 그런 평가는 좀 성급한 면이 있었으며, 2012년의 고비를 넘긴 이후에 탄탄한 수비를 바탕으로 시즌 더블을 일구어냈으니 결과적으로는 틀린 비판이 되었다.[* 그러나 이후 2014시즌 15시즌을 거치면서 '''도무지 나아지지 않는''' 포항의 세트피스 수비/공격을 보면 여전히 의문부호가 드는 것도 사실이다.] 유한 성격의 황선홍 감독 대신 총대를 메고 팀의 기강을 잡는 역할을 하는 등 팀의 중심역할을 했고 부산에서는 리그컵 준우승과 FA컵 준우승의 성과를 거뒀다. 포항에서는 5년 간 활약하며 FA컵 2연패와 더불어 '''2013 시즌 사상 첫 리그&FA컵 더블'''이라는 대기록을 세우는데 일조했다. 2015 시즌 이후 황선홍 감독이 지휘봉을 내려놓으면서 같이 수석코치직도 내려놓았다. 이후 [[대한축구협회]] 기술위원회의 부위원장으로 선임되어 행정가로 활동했다. 2016년 6월 [[중국]]으로 떠난 [[최용수]]의 후임으로 [[황선홍]]이 [[FC 서울]]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최용수 감독을 따라 중국으로 간 김성재 코치를 대신해 FC 서울의 수석 코치로 임명되었으며, 2016시즌 서울의 K리그 클래식 우승을 이끌었다. 하지만 2018시즌 중반 황선홍이 성적 부진을 이유로 물러나면서 동반 퇴진했다. 이후 황선홍을 따라 [[http://www.iybrb.com/sport/content/2018-12/17/35_337431.html|연변의 수석 코치로 부임했지만]] 연변이 금방 해체되면서 연변을 떠나게 되었다. 2020시즌을 앞두고 황선홍 감독을 따라 [[대전 하나 시티즌]]의 수석 코치에 합류했다.[[https://www.yna.co.kr/view/AKR20191229035700007?input=1195m|#]] ==== [[대전 하나 시티즌]] 감독 대행 ==== [[파일:2020091301001214100078101_20200913181416562.jpg ]] 하지만 9월 6일 18R 부천전 이후 이틀 뒤인 8일에 황선홍 감독이 성적 부진으로 자진 사퇴를 발표하면서 후임 감독 선임시 까지 감독 대행으로 팀을 이끌게 되었다. 비록 강철은 P급 라이선스를 가진만큼 시간적 부담은 없겠지만 오랜 시간 황선홍과 감독과 코치로 합을 맞춰온 사이인만큼[* 황선홍 전 감독과 강철 감독대행이 함께 지도했던 팀만 [[전남 드래곤즈]](여기선 2006년 한 해만 같이 있었지만, 이후 계속 황선홍 감독이 선임되는 팀으로 간 것을 보면 황 감독이 이때 눈여겨보고 항상 불러왔을 가능성도 있다.), [[부산 아이파크]], [[포항 스틸러스]], [[FC 서울]], [[연변 FC]], [[대전 하나 시티즌]]까지 6곳에 달한다. 다만 황선홍 감독이 팀에서 나간 뒤 강철 코치가 감독대행을 맡은 건 이번 대전이 처음이다. 이전 구단인 전남에서는 황선홍 당시 수석코치가 떠난 뒤에도 코치로서 남아있었고 부산, 포항, 서울에서는 황선홍 감독이 물러날 때 같이 팀에서 나갔었다. 연변에선 뭘 해보기도 전에 팀이 재정난으로 해체되는 바람에(...) 남고 말고를 결정할 수조차 없었다.] 감독 대행을 맡을 시간이 그다지 길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9월 13일 [[제주 유나이티드]]전을 통해 감독 대행으로 첫 경기를 치렀지만 전임 황선홍 감독과 딱히 차이점은 없었으며, 안드레가 부상으로 빠진 한계를 그대로 드러내며 유효슈팅 하나 없이 무기력하게 2:0으로 패했다. 이후 [[조민국]] 전력강화실장이 감독 대행으로 선임되면서 감독 대행직에서 물러났다. 팀을 떠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종전 직책인 수석코치로 돌아가며 팀에 잔류해 조민국 감독 대행을 보좌했으며, 2020시즌 종료 후 대전을 떠났다. 2021년 황선홍이 올림픽 대표팀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올림픽 대표팀의 코치로 부임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이번만큼은 황 감독과 동행하지 않았다. === [[화성 FC]] 감독 === [[파일:2023061101000356100016761.jpg ]] 2022년 [[김학철(축구인)|김학철]] 감독의 후임으로 [[K3리그]] [[화성 FC]] 감독으로 선임되면서 감독으로 데뷔하게 되었다. [[김해시청 축구단]]과의 개막전을 통해 감독 데뷔전을 치렀으나 아쉽게 3:1로 패했고, [[창원시청 축구단]]과의 2라운드에서 2:1 승리하며 감독 데뷔승을 거두었다. 3월 9일 자신이 코치를 맡았던 [[대전 하나 시티즌]]과의 FA컵 경기에서는 0:0 무승부를 기록해 승부차기 끝에 승리해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는 이변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화성에서 [[쓰리백]]을 바탕으로 후방에서 안정적인 [[빌드업]] 축구를 구사하며 12경기 무패 행진을 달리기도 하였다. 감독 데뷔 첫해에 12승 10무 8패를 거두며 지난 시즌 12위에 머물렀던 화성을 6위까지 끌어올렸으며, 경기도체육대회에서 우승하며 감독 커리어 첫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2023년 1월, [[연세대학교 축구부]] 감독 부임이 유력하였으나, 연세대 감독인 최태호 감독 유임이 결정되었고 연세대 감독 부임은 없던 일이 되었고, 화성 FC 감독 채용 공고에서 재응시해서 채용되며 2023 시즌도 [[화성 FC]]를 지휘하게 되었다. 2023년 리그 개막 후 '''17경기 무패 행진'''을 이어가며 지도력을 입증햇는데, 리그에서 가장 많은 25골을 넣는 동안 실점은 단 7골로 리그 최다득점에 최소실점으로 2위 [[FC 목포]]를 승점 10점차로 따돌리고 압도적인 선두를 달렸으며, K3리그 전반기 최다 승점 기록을 달성하는 등 2023시즌 강력한 리그 우승 후보로 등극했다. 과거 [[황선홍]] 사단에 소속되었을 당시 주로 수비 파트를 맡았던 탓에 실점을 덜해야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는만큼 화성에서는 주로 수비에 중점을 맞추고 날카로운 역습 축구로 상대의 골문을 공략했는데, 이 부분이 잘 맞아 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7월 15일 [[파주시민축구단]]과의 경기에서 아쉽게 2:1로 패하며 무패 행진을 마무리했다. 이후에도 상승세를 이어가며 선두를 이어갔고, 28라운드 [[울산시민축구단]]과의 경기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하며 화성 사령탑 부임 이후 2시즌 만에 승점 100점을 달성했다.[[https://naver.me/5lx72hwA|#]] 11월 3일 2위 [[FC 목포]]가 [[대전 코레일]]에 패해 승점 차를 좁히지 못하며 리그 우승을 확정지었다. == 여담 == * 1991년 남북 단일팀으로 구성된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대표팀에 선발되어 아일랜드와의 조별리그 경기에 출전하였으며, 이 대회에서 강철은 [[박철(축구)|박철]], [[북한]]의 윤철과 함께 '철트리오'로 불리우며 단일팀 쓰리백의 주축으로 활약했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박철과 강철은 모두 훗날 지도자로서 대전의 감독 대행이 되었다. [[분류:1971년 출생]][[분류:대신고등학교(서울)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수비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감독]][[분류:제주 유나이티드 FC/은퇴, 이적]][[분류:제주 유나이티드 FC/역대 주장]][[분류:상무 축구단/전역]][[분류:LASK/은퇴, 이적]][[분류:전남 드래곤즈/은퇴, 이적]][[분류:전남 드래곤즈/역대 주장]][[분류:대전 하나 시티즌/역대 감독]][[분류:화성 FC/역대 감독]][[분류:감독 대행/축구]][[분류:대한민국의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1996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참가 선수]][[분류:2000 AFC 아시안컵 레바논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분류:2000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분류:2001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한국·일본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2000 시드니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올림픽 축구 와일드카드]][[분류:대한민국의 FIFA U-20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91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포르투갈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코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