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한국 함선)] [include(틀:대한민국 해군이 운용 중인 전투지원함)] ||[[파일:2021100701000077800002621.jpg|width=100%]]|| || 강화도함[* 2021년 10월 7일 진수식] || [목차] == 개요 == '''강화도함'''(ASR 22)은 [[대한민국 해군]]이 '차기 잠수함구조함'(ASR-II) 사업을 통해 전력화하려는 길이 120m, 경하 배수량 5,600톤급의 [[잠수함]][[구조함]](ASR: Submarine Rescue Ship)이다. 대한민국 해군은 잠수함 전력 증가와 대형화에 대응하기 위해 2015년부터 2023년까지 약 4,699억 원을 투자해, 신형 잠수함구조함 1척을 국내 건조로 확보하려 한다. 해군의 첫 잠수함구조함인 [[청해진함]](ASR 21)보다 길이는 약 20m, 배수량은 약 2,400톤 증가한 강화도함은, 함정 중앙에 바다로 연결된 수직통로(Center Well)도 있어 파고 4m까지 심해구조잠수정(DSRV)의 진수 및 회수가 가능하다.[* 일본 해상자위대의 잠수함구난함 [[치요다#s-3.2|치요다]]도 센터웰 방식으로 DSRV를 진수·회수한다.] 또한, 잠수함에 대한 유류 등 군수지원 능력도 가졌다. 2021년 10월 [[대우조선해양]]에서 진수식을 가진 강화도함은 2023년 해군에 인도될 예정이다. == 동급함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함종[br]선체번호''' || '''함명''' || '''기공''' || '''진수''' || '''인수''' || '''취역''' || '''건조사''' || '''비고''' || || ASR 22 || 강화도 || [[2020년]] [[7월]] || [[2021년]] [[10월 7일]] || [[2023년]] 하반기 예정[* 중반 예정이었으나 몇개월 연기되었다.] || - || [[대우조선해양]] || 진수 ||}}} 해군은 잠수함구조함 함명으로 해양력 확보와 관련된 역사적인 지명을 선정하고 있다. [[강화도]]는 역사적으로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 항쟁의 거점이었다.[[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474245|출처]] == 사업 배경 == *ASR-II(차기 잠수함구조함) 사업 추진 경과 - 2004년 6월: 장기신규 소요결정 - 2006년 10월: 전력화시기 조정 - 2014년 3월: 중기전환 소요결정 - 2014년 5월: 사업추진기본전략 의결(제79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 - 2015년 11월 ~ 2017년 12월: 탐색개발 - 2018년 12월: 상세설계 및 함건조 계약 - 2020년 7월: 기공 - 2021년 10월 7일: 진수 해군은 잠수함 전력의 증가 및 대형화에 따라, 위급상황 시 더 신속하고 원활한 구조작전이 가능한 신형 잠수함구조함에 대한 소요를 제기했다. 이에 따라 [[방위사업청]]은 2015년 11월 [[대우조선해양]]과 차기 잠수함구조함(ASR-II) 탐색개발에 착수하여 기본설계를 수행했고,[[https://www.yna.co.kr/view/AKR20171215030100014|#]] 2018년 12월 상세설계와 함건조 계약을 체결했다.[[https://www.yna.co.kr/view/AKR20181207036500003|#]] ASR-II는 2020년 7월 기공식을 가졌고 2021년 10월 7일 진수하였으며, 약 2년간의 개발시험평가와 운용시험평가 후 2023년 해군에 인도될 전망이다. 한편 해군은 더욱 향상된 잠수함구조함을 확보하기 위해 조선소와 함께 후속 함정의 개념설계를 진행하고 있다.[[https://kookbang.dema.mil.kr/newsWeb/20201027/1/BBSMSTR_000000100115/view.do|#]] == 제원 및 특징 == ||<-3> '''강화도함''' || |||| '''함종''' ||잠수함구조함(ASR: Submarine Rescue Ship) || ||<-2> '''이전 함급''' ||[[청해진함]]|| |||| '''길이''' ||120.2m || |||| '''폭''' ||19m || |||| '''흘수''' ||8.8m || ||<|2> '''배수량''' || '''경하''' ||약 5,600톤 || || '''만재''' ||약 6,800톤|| |||| '''최대 속력''' ||20노트 || |||| '''승조원''' ||130여 명 || |||| '''비행갑판''' ||[[UH-60]]급 헬기 1기 이·착함 가능 || |||| '''단정''' ||[[고속단정]](RIB) 2척 || |||| '''탐지 장비''' ||다중빔음향측심기(MBES)[* Multibeam Echosounder, 멀티빔 측심기], 수중무인탐사기(ROV)[* Remotely Operated Vehicle] 등 || |||| '''구조 장비''' ||심해구조잠수정(DSRV)[* Deep Submergence Rescue Vehicle ], 잠수사 이송장치(PTC)[* Personnel Transfer Capsule (Closed Bell, Dry Bell)], 포화잠수[* Saturation Diving]체계 등[* [[감압 챔버]]는 이탈리아 Drass사의 챔버가 탑재되었다] || [[파일:ASR-II 예상 CG.jpg]] [[방위사업청]]이 2017년 12월 공개한 강화도함의 3D 모델링 * 강화도함은 길이 120m, 만재 배수량 6,800톤으로 청해진함보다 대형화되었고, DSRV를 함미에서 A-Frame으로 내리는[* DSRV LARS, DSRV Launch And Recovery System] 청해진함과 달리, 함 중앙의 주갑판부터 선저까지 관통해 바다로 연결된 ‘센터 웰'[* Center Well, Moon Pool (문풀)]을 통해 DSRV를 진수 및 회수[* LARS, Launch And Recovery System]하는 방식을 채용해, 파고 4m 해상에서도 DSRV 투입이 가능하게 만드는 등 여러 부분이 개선되었다.[[http://panzercho.egloos.com/11343201|2019년 MADEX 전시회에서 공개된 모형]] * 작전 중인 잠수함에 대한 유류 등 군수 지원 능력도 보유해 잠수함 장기 작전 지원이 가능하다. === DSRV === 강화도함에 탑재될 심해구조잠수정(DSRV: Deep-Submergence Rescue Vehicle)은 영국 업체인 JFD가 개발 중이다.[[https://news.g-enews.com/view.php?ud=20201005113501498c5557f8da8_1&ssk=g090200&md=20201005132810_R|#]] 신형 DSRV는 1회 최대 17명 구조가 가능하다. == 관련 영상 == [youtube(25uS-ze92Uk)] [youtube(YvgZrH2Mp7o)] [youtube(n4QlgeBkA8A)] == 관련 문서 == * [[청해진함]] * [[구조함]] * [[잠수함]] * [[해군 해난구조전대]] * [[감압 챔버]]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청해진함, version=61, paragraph=4)] [[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대한민국 국군/군함]][[분류:2021년 공개]][[분류:2023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