姜希顔(1419~1464) || [[파일:Joseon-Kang_Huian-Gosagwansudo.jpg|width=100%]] || || 강희안이 그린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화가]]. 본관은 [[진주 강씨|진주]], 자는 경우(景愚), 호는 인재(仁齋). [[심온]]의 외손자이자 [[소헌왕후]]의 조카이며 자연스레 문종ㆍ세조 등 소헌왕후 소생들과는 내-외종 관계, [[노사신]]과는 이종사촌 관계이다. 동생 [[강희맹]](姜希孟, 1424~1483) 역시 형과 마찬가지로 [[글]]과 [[그림]]에 뛰어난 소질을 보였으며, 농서 [[금양잡록]]도 저술했다. == 생애 == 1441년(세종 23년) 과거에 급제했고 [[집현전]]에서 일했으며 1443년 [[신숙주]], [[정인지]] 등의 [[학자]]들과 함께 <[[훈민정음]]>의 해석을 달았고 1445년 [[최항]]과 함께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의 주석을 달았다. 1447년 이조정랑이라는 직위에 올랐으며 1454년(단종 2년) 집현전 직제학에 올랐고 1455년(세조 1년) 원종공신(原從功臣) 2등에 녹훈되었다. [[서예]]와 글짓기에 뛰어나서 당대의 누구도 강희안의 솜씨를 따라가지 못했다고 한다. 1455년 강희안의 서체를 바탕으로 <[[을해자]]>라는 금속활자도 만들어졌는데 <을해자>는 [[임진왜란]] 전까지 사용되었으며 <[[갑인자]]> 다음으로 조선에서 오랜 기간 사용된 [[금속활자]]였다. 1460년 호조참의 겸 [[황해도]] 감찰사, 1462년 사은부사(謝恩副使), 1463년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가 되었다. 강희안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양화소록]](養花小錄)>이 있으며 서예와 글짓기뿐만 아니라 그림을 그리는데에도 뛰어났는데 강희안의 대표적인 작품이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 1464년 [[사망]]했다. 참고로 [[공양왕]]이 폐위되면서 고려가 망할 때 처형당한 공양왕의 두 사위 중 하나인 강회계는 강희안의 친할아버지의 동생, 즉 종조부가 된다. == 관련 항목 == * [[고사관수도]] * [[고사도교도]] * [[양화소록]] * [[을해자]] * [[동국정운]] [각주] [[분류:강희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