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881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개미핥기 먹는 개미, 일어판명칭=オオアリクイクイアリ, 영어판명칭=Anteatereatingant, 속성=땅, 레벨=5, 공격력=2000, 수비력=500, 종족=곤충족, 특수소환=, 효과1=이 카드는 일반 소환 / 세트할 수 없다. 자신 필드 위의 마법 / 함정 카드 2장을 묘지로 보낸 경우에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는 공격을 하는 대신에 상대 필드 위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파괴할 수 있다.,)] 같은 팩에 나온 [[신염황제 우리아]]와 비슷한 소환 조건과 효과를 가진 카드. 텍스트가 애매해 오해하기 쉬운데, 배틀 페이즈에 공격하는 대신 마함을 파괴한다는 소리가 아니라 '''메인 페이즈에 마함을 파괴하는 기동 효과를 쓸 수 있고 이 효과를 쓰면 그 턴 공격을 못 한다는 소리.''' 즉 '1턴에 1번, 자신의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파괴한다. 이 효과를 발동한 턴에, 이 카드는 공격할 수 없다.'로 해석 가능하다. 공격을 못 해도 일단 소환만 해놓으면 매턴 노 코스트로 상대의 마함을 파괴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다. 레벨 5의 상급 몬스터지만 제물 없이 특수 소환하는 몬스터란 것도 장점. 다만 그 특수 소환 코스트가 좀 무거워서 아무 덱에서나 쓸 만한 카드는 아니다. 마함 카드 2장을 그냥 버리고 소환해야 한다는 건 좀 아깝고, 레벨에 비해 능력치도 그렇게 좋진 않다. 또한 묘지 소환도 안 된다. 더 이상 필요 없어진 지속 마법 / 함정을 묘지로 보내고 소환하는 식의 운용이 그나마 손실이 적다. [[매크로 코스모스]] 등으로 인해 카드를 묘지로 못 보내면 특수 소환이 안 되니 주의. 곤충족 장착이 쉬워진 현시점에선 장착된 [[고키폴]], [[응전의 G]], [[공진충]]을 묘지로 보낸 뒤에 어드밴티지도 벌 수가 있다. [[데블도우저]], [[체인소우 인섹트]]와 함께 곤충 덱 부흥의 시초가 된 카드. 이 카드들이 나오기 전까지만 해도 곤충 덱은 [[대타 메뚜기]]와 [[얼티미트 인섹트]], [[드래곤플라이|드래곤 플라이]], [[브레인 크러셔]], [[공명충]] 정도밖엔 쓸 카드가 없었다. 이름과 일러스트가 재미있는 카드다. 일본명은 '''오오아리쿠이쿠이아리'''인데, 모든 글자를 한 번씩 반복한 특이한 이름. 이걸 직역한 게 국내명 '''개미핥기 먹는 개미'''다. 영문판은 '''Anteatereatingant'''인데, "Anteater-eating ant"로 읽으면 역시 같은 뜻이다. 한국명이 "개미핥기 핥는 개미"였음 더 좋았을 듯하다. --[[햇빛이 선명하게 나뭇잎을 핥고 있었다|개미가 선명하게 개미핥기를 핥고 있었다]]-- 일러스트에선 엄청난 크기의 개미들을 보고 개미핥기가 땀까지 흘리며 당황한다. 비교적 진지한 그림체의 일러스트에서 이렇게 만화적인 표현이 들어간 카드도 참 드물다. [[포켓몬스터]]의 [[아이앤트]]와 [[앤티골]]의 관계를 연상케 한다.[* 이쪽은 설정상으로나 스토리에서나 개미핥기 쪽이 개미를 이기기는 하지만 실제 대전에서는 빌드에 따라 개미 쪽이 개미핥기를 이기기도 하며 개미쪽 성능이나 인식이 개미핥기보다 훨씬 우월하다.] [[http://blog.naver.com/xezenan/220711269877|뜬금없이 2016년 5월 14일 대회에서 우승 덱에 투입되기도 했다.]] 아주 예전엔 비전투 덱에서 피니시 카드로 쓰기도 했다. 대개 [[그레비티 바인드]]나 [[평화의 사자]] 등으로 락을 걸고 번 주문으로 상대 LP를 깎다가, [[빅토리 드래곤]]을 꺼내 매치킬하는 덱들이 있었는데 빅토리 드래곤이 공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이 카드로 락 카드를 치웠다. 패에서 나오기에 마법/함정 칸이 5장 다 채워져 있어도 문제 없었단 점이 장점.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무한의 그림자]] || SOI-KR022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 Vol.4 || HGP4-KR142 || [[레어(유희왕)|레어]] || 한국 || || || [[무한의 그림자|SHADOW OF INFINITY]] || SOI-JP022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 4 || EE04-JP142 || [[레어(유희왕)|레어]] || 일본 || || || [[무한의 그림자|Shadow of Infinity]] || SOI-EN022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 4 || DR04-EN142 || [[레어(유희왕)|레어]] || 미국 || || [[분류:유희왕/OCG/곤충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