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 주소1=PsychoticLudicrousSteepMaid, 합의사항1=사용된 디스플레이에 비해 무거운 무게에 대한 MPOV를 적용하여 서술하며 물리적으로 같은 포지션의 기종이 아닌 갤럭시 탭과의 직접 비교를 자제하는 것으)]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갤럭시 탭 S9)]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갤럭시 탭 S9+, top2=갤럭시 탭 S9 Ultra)] ||<-5> '''{{{#aaa [[갤럭시 탭 S 시리즈]]}}}의 논란 및 문제점''' || || [[갤럭시 탭 S8/논란 및 문제점|갤럭시 탭 S8]] || → || '''갤럭시 탭 S9''' || → || '''최신 기종''' || [목차] == 전 기종 공통 == === [[디스플레이]] 반사방지 코팅 미적용 === 이는 [[갤럭시 탭 S9]] 시리즈 이외에도 Dynamic [[AMOLED]] 2X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삼성전자]] 제품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문제점으로 AR(반사방지) 코팅이 적용되지 않아 주간 시간 대 기기 사용 시 주변광 반사가 매우 심해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 일각에서는 Dynamic AMOLED 2X가 전면발광 형태이기 때문에 AR 코팅이 어렵다는 주장도 있으나 이는 동일한 디스플레이를 적용했음에도 AR 코팅을 적용한 [[LG gram Style]]로 반박이 가능하다.[[https://www.youtube.com/watch?v=t5u1a08SCNw|관련영상]] 이와 관련해 삼성에서는 갤럭시 탭 S9 시리즈를 대상으로 AR 보호필름을 판매하고 있으나 부착에 실패할 가능성도 있으며[* 심지어 [[스마트폰]]과 다르게 [[태블릿 컴퓨터]]의 경우 실패할 가능성을 이유로 삼성전자서비스에서 부착 대행을 해주지 않는다.] 소모성이다보니 흠집이 심해지면 교체를 해줘야한다. 또한 정품 AR 보호필름의 가격이 서드파티 AR 보호필름에 비해 비싸다보니 차라리 태블릿 자체에 AR 코팅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냐는 지적도 받고있다. === 전작의 액세서리와 호환 불가능 === [[갤럭시 탭 S9]] 시리즈는 전작과 규격이 거의 같거나 완전히 같음에도 불구하고 전작의 액세서리와 호환이 안돼 전작에서 넘어오는 유저들까지도 액세서리를 다시 구매해야 한다. 카메라 구멍만 차이가 있으면 강제로 호환시키겠지만 버튼의 위치까지 달라져서 강제로 호환시키는 것도 불가능하다. 그래서 최근 [[ESG]] 경영의 일환으로 재활용 소재 부품의 사용을 적극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삼성전자]]가 정작 기존 액세서리의 재활용을 막아 환경적인 처리비용을 소비자에게 부담시키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다만 2023년 기종들과 디자인 컨셉을 일치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형상에 대한 변경이 이루어진 것으로 어쩔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 === PPS 25W 충전 케이블 동봉 === 전작의 탭 S8 시리즈는 충전기는 미동봉이었을지언정 케이블은 PPS 45W 대응 케이블을 동봉했으나, 탭 S9 시리즈는 25W 대응 케이블을 동봉하여 45W 충전을 하려면 케이블까지 또 다시 사야 한다. ESG 경영을 한다면서 굳이 구성품 다운그레이드라는 원가절감을 실시한 이유가 이해가 안 된다는 평이 많다. 그리고 사실 25W 케이블과 45W 케이블은 가격 차이도 얼마 안 되기 때문에 억지로 원가절감하는 것이 이해가 안된다는 이야기도 있다. == [[갤럭시 탭 S9]] == === 후면 [[카메라]] 개수 감소 === 전작 [[갤럭시 탭 S8]]은 후면 카메라 개수가 2개였으나 [[갤럭시 탭 S9]]으로 넘어오면서 1개로 감소하였다. === 기대에 못미치는 경량화 === 폼팩터가 거의 동일한 전작인 [[갤럭시 탭 S7]] / [[갤럭시 탭 S8|S8]]과 달리 [[LCD]]가 아닌 [[AMOLED]] [[디스플레이]]가 탑재되었고 후면 [[카메라]] 개수가 1개로 줄었음에도 기기의 무게가 갤럭시 탭 S7과 동일하다. 또한 경쟁작인 LCD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iPad Pro(11형)(4세대)]]보다 무겁다. 다만 늘어난 배터리 용량, 방수방진 설계 및 [[베이퍼 챔버]] 탑재로 인한 어쩔 수 없는 부분으로 보인다.[* [[갤럭시 탭 S9]] 시리즈는 [[갤럭시 탭 시리즈]] 통틀어 최초로 베이퍼 챔버가 탑재되었다.] === 128 GB [[UFS]] 3.1 탑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갤럭시 S23/논란 및 문제점, 문단=3.2)] 같은 년도 플래그십 [[스마트폰]]인 [[갤럭시 S23]]의 128 GB 모델과 마찬가지로 UFS 4.0이 아닌 UFS 3.1이 탑재되었다. 국내향은 256GB이 최소용량이라 이 문제를 피해갔지만 이번 [[갤럭시 탭 S9]]은 내수용에서도 128GB 모델도 출시되었다. 다만 이는 애초에 제대로 된 128 GB UFS 4.0 메모리가 출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키옥시아]]만이 128 GB UFS 4.0 메모리를 생산하는데 UFS 4.0 기준에 못 미치는 다소 문제가 있는 제품이다.] === 약한 측면 [[S펜]] 부착부 자성 === [[갤럭시 탭 S9]] 측면 S펜 부착부에 [[갤럭시 탭 S9+]], [[갤럭시 탭 S9 Ultra]]보다 작은 자석이 들어가서 자성이 약하다.[* 충전 커넥터가 있는 후면이 아닌 측면이다.] 다만 이는 갤럭시 탭 S9 사이즈 한계로 발생한 어쩔 수 없는 부분으로 보인다. 만약 갤럭시 탭 S9+, 갤럭시 탭 S9 Ultra와 같이 큰 자석이 들어갔다면 후면 S펜 부착부에 영향을 줬을거라고 예상이 된다. 마그네틱 뷰어로 들여다 봤을 때 큰 자석이 들어간다면 후면 S펜 부착부 자석에 영향을 안줄 수 없을 것 같다고 느껴진다. == [[갤럭시 탭 S9+]]/[[갤럭시 탭 S9 Ultra|Ultra]] 공통 == === 512GB 모델 [[RAM]] 용량 축소 === 전작과 비교하면 저장공간 512GB 모델의 경우 램 용량이 16GB에서 12GB로 줄어들었다. [[갤럭시 탭 S9+]]는 램 16GB 선택지가 없어졌다. [[갤럭시 탭 S9 Ultra]] 램 16GB 모델을 선택하고자 한다면 저장공간 1TB 모델을 선택해야만 한다. == [[갤럭시 탭 S9+]] == === 화면의 낮은 최대 밝기 === 이번 갤럭시 탭 S9 시리즈가 모두 동일하게 Dynamic AMOLED 2X 디스플레이 패널을 탑재했음에도, S9+의 화면 피크 밝기가 형제 모델들과 비교 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식 스펙에 따르면 [[갤럭시 탭 S9 Ultra]]가 930nits로 가장 밝고, 그 다음이 [[갤럭시 탭 S9]](750nits), [[갤럭시 탭 S9+]](650 nits) 순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갤럭시 탭 S9, version=114)]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갤럭시 탭 S9+, version=41)]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갤럭시 탭 S9 Ultra, version=108)] [[분류:갤럭시 탭 S9]][[분류:삼성전자의 기기별/논란 및 문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