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차대전 독일의 에이스 파일럿, rd1=아돌프 갈란트)] ||<-2> [[갤런트|[[파일:gallant logo.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갤런트.png|width=100%]]}}} || || '''이름''' ||갤런트[br]Gallant|| || '''본명''' ||크리스토퍼 조지프 갤런트 3세[br]Christopher Joseph Gallant III|| ||<|2> '''출생''' ||[[1992년]] [[11월 14일]] ([age(1992-11-14)]세)|| ||[[컬럼비아구]] [[워싱턴 D.C.]]||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학력''' ||[[뉴욕 대학교]] [[뉴욕 대학교#s-5.13|갤러틴 개별연구대학]] {{{-2 (졸업) (-2013)}}}|| || '''직업''' ||[[싱어송라이터]]|| || '''장르''' ||[[컨템퍼러리 R&B|R&B]], [[얼터너티브 R&B|PBR&B]]|| || '''활동''' ||[[2013년|2013년]] - [[현재]]|| || '''레이블''' ||Mind of a Genius, Warner Records|| ||<|2> '''링크''' ||[[http://www.gallant.spac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youtube.com/@sogallant|[[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https://soundcloud.com/gallant|[[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width=24]]]] | [[http://instagram.com/sogallant|[[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ogallant, 크기=24)] | [[https://www.facebook.com/sogallant|[[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다. [[미겔(가수)|Miguel]], [[Frank Ocean]], [[The Weeknd]] 등을 잇는 [[PBR&B]][* 외신은 Alternative R&B, Urban Contemporary R&B로 부른다.]의 주목할 만한 신성으로 떠올랐다. 능수능란한 [[팔세토]] 창법이 주특기이다. == 생애 == [[미국]] [[워싱턴 D.C.]]에서 태어나 [[컬럼비아]]에서 자랐다. 중학생때부터 음악을 만들기 시작해서, 친구들에게 음악을 들려주곤 했다.[* 그러나 당시 친구들은 대게 그의 작업물이 조잡하고 구리다는 평을 많이 했다고 한다.] 유년기를 보내고 본격적인 뮤지션의 길을 걷기 위해 [[뉴욕 대학교]]에서 음악을 전공했지만, 갤런트는 당시 뉴욕의 분위기에 적응하지 못하고 깊은 우울감을 느꼈으며, 결국 [[LA]]로 본거지를 옮기게 된다. 그 후, 인터넷으로 작업물을 공개하기 시작하는데, 그 과정에서 2014년 4월, 그의 첫 EP인 를 발표하게 된다. Zebra에는 그의 뉴욕생활로 인해 축적된 우울함이 고스란히 담겨있었으며, 퓨처 베이스, 소울, 트랩, 인디 락, 팝 등 다양한 장르들이 섞여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Zebra로 인해 갤런트는 피치 포크, NME 등 여러 매체와 SNS의 관심을 받게 되고, 그의 현 소속사인 Mind of a Genius의 사장 데이비드 댄의 눈에 띄어 'Mind of a Genius'와 계약을 맺게된다. 이후 갈란트는 LA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듀서 스틴트를 만나 2015년 6월, 싱글 'Weight In Gold'를 발표, '''[[Elton John]]의 찬사'''를 받으며 대중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다. 2016년 4월, 그의 첫 스튜디오 앨범인 를 발표하고, 코첼라 페스티벌에 올라 '코첼라의 인상적인 순간들' 에 선정되는 등 많은 활약을 보였다. 2019년 10월, 두번째 앨범인 를 발표했다. == 디스코그래피 == [include(틀:Gallant Discography)] === EP === ==== '''1집 Zebra''' ==== ||<-2>
'''{{{+1 [[https://youtube.com/playlist?list=OLAK5uy_mAXJRc8ctxfvljks-RPbX9YaXOW_ndLbM| ''{{{#c0c187 Zebr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1.sndcdn.com/artworks-000077842753-ejka4k-t500x500.jpg|width=100%]]}}} || ||<-2> '''{{{#c0c187 발매 : 2014. 05. 02.}}}''' || || '''{{{#c0c187 트랙}}}''' || '''{{{#c0c187 곡명}}}''' || || 1 || Intro || || 2 || Forfeit || || 3 || Jupiter Grayscale || || 4 || Sirens || || 5 || Interlude – I’ll Keep U || || 6 || Sienna || || 7 || Manhattan || || 8 || Ibuprofen || || 9 || If It Hurts || 갤런트가 뉴욕생활을 하며 겪었던 감정들을 여러장르의 음악으로 풀어놓은 EP. [[사운드 클라우드]]를 통해 인터넷상에 퍼졌으며, 갤런트의 가창력과 음울한 분위기, 높은 수준의 가사 등으로 대중들과 음악매체들에게 좋은 평을 받아냈다. 이 앨범 덕분에 현재 그가 속한 레이블 Mind of a Genius과의 계약까지 갈 수 있었다. ==== '''2집 Neptune''' ==== ||<-3>
'''{{{+1 [[https://youtube.com/playlist?list=OLAK5uy_mqT4Joolg_XicSFwhtcbSSQo7Ik1V9oHM| ''{{{#fff Neptun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allant - Neptune(2021).jpg|width=100%]]}}} || ||<-3> '''{{{#fff 발매 : 2021. 03. 26.}}}''' || || '''{{{#fff 트랙}}}''' || '''{{{#fff 곡명}}}''' || '''{{{#fff MV}}}''' || || 1 || Comeback. || [[https://youtu.be/-9ydcpopGf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 Chemical Romance. || - || || 3 || {{{#!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3px 3px; border-radius:3px; background: #017294; font-size:0.5em" {{{#fff '''TITLE'''}}}}}} '''Dynamite.'''[br]{{{-3 (Feat. [[Brandy]])}}} || [[https://youtu.be/YyLlAWWtCa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4 || Julie. || - || || 5 || Third Eye Blind.[br]{{{-3 (Feat. Arin Ray)}}} || - || || 6 || Scars. || - || || 7 || No More Tries.[br]{{{-3 (Feat. VanJess)}}} || - || || 8 || Relapse. || [[https://youtu.be/yS9lqB35ev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정규 앨범 === ==== '''1집 Ology''' ==== ||<-3>
'''{{{+1 [[https://youtube.com/playlist?list=OLAK5uy_liofByA1t2rSwG4b5qR5NztGoeKi5c62Y| ''{{{#000 Olog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hiphople.com/c22e6302b35541667cf6d6fc94c3e44c.jpg|width=100%]]}}} || ||<-3> '''{{{#000 발매 : 2016. 04. 14.}}}''' || || '''{{{#000 트랙}}}''' || '''{{{#000 곡명}}}''' || '''{{{#000 MV}}}''' || || 1 || First || - || || 2 || Talking To Myself || [[https://youtu.be/7whEJUOLyL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3 || Shotgun || - || || 4 || Bourbon || [[https://youtu.be/zgfBW5agmV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5 || Bone + Tissue || - || || 6 || Oh, Universe || - || || 7 || {{{#!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3px 3px; border-radius:3px; background: #dbc176; font-size:0.5em" {{{#000 '''TITLE'''}}}}}} '''Weight In Gold''' || [[https://youtu.be/qh7BCluk3w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8 || Episode || - || || 9 || Miyazaki || [[https://youtu.be/FbLFcSPL31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0 || Counting || - || || 11 || Percogesic || - || || 12 || Jupiter || - || || 13 || Open Up || [[https://youtu.be/iLV2wcfg7F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4 || Skipping Stones[br]{{{-3 (Feat. [[Jhene Aiko]])}}} || - || || 15 || Chandra || - || || 16 || Last || - || >'''Going to be huge''' >-[[Elton John]] 데뷔 EP인 Zebra가 발표된지 꼭 2년째 되는 2016년 4월, 그는 그의 첫 스튜디오 데뷔 앨범인 를 발표한다. 앨범이 발표될 당시, 그에 대한 대중의 기대감은 [[엘튼 존]]의 찬사와, [[스포티파이]]가 제공한 'In The Room' 시리즈에서 Seal과의 Weight In Gold 라이브 영상으로 인해 가득 차있었고, 그에 보답하듯이 Ology는 훌륭한 퀄리티를 들고 등장했다. [[지미 팰런]]의 '[[투나잇 쇼|Tonight Show]]'에서 선보인 Weight In Gold의 라이브는 가히 [[타일러, 더 크리에이터]]가 보여준 퍼포먼스와 맞먹는 충격이였다고. Zebra와 비슷하게 우울함이 앨범의 주 분위기이다.난해하고 어려운 단어를 가사에 대거 사용했지만 대체적으로 호평이다. 허나, 여러가지의 장르가 섞인 음악으로 트랙을 프로듀싱하여 개성적인 분위기를 꾀했지만, 몇 곡을 제외하고 나머지 트랙이 전부 비슷한 구조와 분위기를 품고있어 앨범 구성쪽으로는 아쉬움이 남는다는 평도 있다. 발표날, [[아이튠즈]] R&B/Soul 차트에서 1위로 데뷔했다. [[피치포크 미디어]]에서 10점중 7.5점을 받았고, 가디언에서 5점중 4점을 받아내며 '미래 R&B씬의 모습이 기대된다'는 평을 받기도 했다. 메타크리틱에선 76점을 받았다. EW에서 지정한 '''2016년 최고의 앨범 25'''에 선정되었다 ==== '''2집 Sweet Insomnia''' ==== ||<-3>
'''{{{+1 [[https://youtube.com/playlist?list=OLAK5uy_nnrk0R4zDlSW7hJZbl73G2kuV7HwV47LU| ''{{{#000 Sweet Insomnia}}}'']]}}}'''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allant - Sweet Insomnia(2019).jpg|width=100%]]}}} || ||<-3> '''{{{#000 발매 : 2019. 10. 25.}}}''' || || '''{{{#000 트랙}}}''' || '''{{{#000 곡명}}}''' || '''{{{#000 MV}}}''' || || 1 || 410 {{{-2 (Intro)}}} || - || || 2 || {{{#!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3px 3px; border-radius:3px; background: #d57028; font-size:0.5em" {{{#fff '''TITLE'''}}}}}} '''Sharpest Edges''' || [[https://youtu.be/OprPmcx0QX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3 || Crimes || - || || 4 || Paper Tulips || - || || 5 || Forever 21 || - || || 6 || {{{#!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3px 3px; border-radius:3px; background: #d57028; font-size:0.5em" {{{#fff '''TITLE'''}}}}}} '''Sweet Insomnia'''[br]{{{-3 (Feat. [[6LACK]])}}} || [[https://youtu.be/5ml2g-eEnu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7 || Hurt || - || || 8 || Hips || - || || 9 || Panasonic || - || || 10 || {{{#!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3px 3px; border-radius:3px; background: #d57028; font-size:0.5em" {{{#fff '''TITLE'''}}}}}} '''Compromise'''[br]{{{-3 (Feat. Sabrina Claudio)}}} || [[https://youtu.be/yWflh7MYF0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1 || {{{#!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3px 3px; border-radius:3px; background: #d57028; font-size:0.5em" {{{#fff '''TITLE'''}}}}}} '''Sleep On It''' || [[https://youtu.be/-e-xXN-tcF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2 || Konami || - || || 13 || Céline || - || === 싱글 === ||
'''{{{#000 앨범 아트}}}''' || '''{{{#000 발매일}}}''' || '''{{{#000 곡명}}}''' || '''{{{#000 MV}}}'''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lease (Vignette).jpg|width=100%]]}}} || {{{-2 2013.05.14.}}} || [[https://youtu.be/DD6qwcNgAAg| {{{#141414,#588da8 '''Please? (Vignette)'''}}}]]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ve Me In.jpg|width=100%]]}}} || {{{-2 2017.01.26.}}} || [[Cave Me In]][br]{{{-3 (With. [[타블로]] x [[에릭남]])}}} || [[https://youtu.be/NQunCjYdAc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allant_Gentleman.jpg|width=100%]]}}} || {{{-2 2018.04.06.}}} || [[https://youtu.be/DD6qwcNgAAg| {{{#141414,#588da8 '''Gentleman'''}}}]] || [[https://youtu.be/vv2oR5kk7X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allant_Doesn't Matter.jpg|width=100%]]}}} || {{{-2 2018.05.04.}}} || {{{#141414,#588da8 '''Doesn't Matter'''}}} || [[https://youtu.be/-e-xXN-tcF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allant_Doesn't Matter (Remix).jpg|width=100%]]}}} || {{{-2 2018.06.18.}}} || [[https://youtu.be/L9gYuoq2d_E| {{{#141414,#588da8 '''Doesn't Matter'''}}}]][br]{{{-3 (Feat. [[A$AP Ferg]])}}} || -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OOGOODTOBETRUE.jpg|width=100%]]}}} ||<|2> {{{-2 2018.09.21.}}} || [[https://youtu.be/p_hIJ1bBtfc| {{{#141414,#588da8 '''TOOGOODTOBETRUE'''}}}]][br]{{{-3 (Feat. [[수프얀 스티븐스]] & Rebecca Sugar)}}} || - || || [[https://youtu.be/agmhTAgsYC0| {{{#141414,#588da8 '''Haha No One Can Hear You!'''}}}]]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robe Lights.jpg|width=100%]]}}} || {{{-2 2019.02.22.}}} || [[https://youtu.be/q-5rxzZkXZQ| {{{#141414,#588da8 '''Strobe Lights'''}}}]] [* [[아마존닷컴|Amazon Music]]의 오리지널 곡.]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entleman (feat. T-Pain).jpg|width=100%]]}}} || {{{-2 2018.04.06.}}} || [[https://youtu.be/He8WUlPhwwA| {{{#141414,#588da8 '''Gentleman'''}}}]][br]{{{-3 (With. [[T-Pain]])}}}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allant_Only One.jpg|width=100%]]}}} || {{{-2 2020.08.14.}}} || [[https://youtu.be/48cj1p9qvXU| {{{#141414,#588da8 '''Only One'''}}}]] [* [[보아]]의 데뷔 20주년을 기념하는 앨범 'Our Beloved BoA'의 세 번째 주자로, 'Only One' 커버곡을 발표했다. 여담으로 고등학생 때부터 보아의 팬이었다고 한다.] || [[https://youtu.be/eSn8ucXtuQ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참여 === || {{{#000 '''앨범 아트'''}}} || {{{#000 '''발매일'''}}} || {{{#000 '''곡명'''}}} || {{{#000 '''아티스트'''}}}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olding Back_gallant.jpg|width=100%]]}}}|| {{{-2 2016.06.14}}} || [[https://youtu.be/wW1zSIlwSqo| {{{#141414,#588da8 '''Holding Back'''}}}]][br]{{{-2 (feat. Gallant)}}} || {{{-2 [[SG Lewis]]}}}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onstantly Dissatisfied_gallant.jpg|width=100%]]}}}|| {{{-2 2018.04.13}}} || [[https://youtu.be/YBOYzMCbJt4| {{{#141414,#588da8 '''Constantly Dissatisfied'''}}}]][br]{{{-2 (feat. Gallant)}}} || {{{-2 Niia}}}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ockville Station_gallant.jpg|width=100%]]}}}|| {{{-2 2018.11.09}}} || [[https://youtu.be/LfTEu_7sxhU| {{{#141414,#588da8 '''Rockville Station'''}}}]][br]{{{-2 (feat. Gallant)}}} || {{{-2 THEY.}}}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un For Me_gallant.jpg|width=100%]]}}}|| {{{-2 2019.05.17}}} || [[https://youtu.be/D2bC3zOTgD4| {{{#141414,#588da8 '''Run For Me'''}}}]][br]{{{-2 (feat. Gallant)}}} || {{{-2 SebastiAn}}}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unaway Train_gallant.jpg|width=100%]]}}}|| {{{-2 2019.05.22}}} || [[https://youtu.be/GOiWoexzfcA| {{{#141414,#588da8 '''Runaway Train'''}}}]][br]{{{-2 (feat. Gallant)}}} || {{{-2 Jamie N Commons[br]Skylar Grey}}}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rust Myself_gallant.jpg|width=100%]]}}}|| {{{-2 2019.06.21}}} || [[https://youtu.be/9wjz4k2Lu-w| {{{#141414,#588da8 '''Trust Myself'''}}}]][br]{{{-2 (feat. Gallant)}}} || {{{-2 Tia Ray}}}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it Sign_gallant.jpg|width=100%]]}}}|| {{{-2 2019.09.13}}} || [[https://youtu.be/xXanCePWWvo| {{{#141414,#588da8 '''Exit Sign'''}}}]][br]{{{-2 (feat. Gallant)}}} || {{{-2 [[더 낙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U_Soundtrack_TheMovie_DE.jpg|width=100%]]}}}|| {{{-2 2019.12.06}}} || {{{-3 '''[[스티븐 유니버스: 더 무비]] OST'''}}}[br][[https://youtu.be/Kke9VkWH3kk| {{{#141414,#588da8 '''Finale'''}}}]] || {{{-2 Gallant}}}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NOW ME_gallant.jpg|width=100%]]}}}|| {{{-2 2020.08.01}}} || [[https://youtu.be/4l7T-xRiGHY| {{{#141414,#588da8 '''KNOW ME'''}}}]][br]{{{-2 (feat. Gallant)}}} || {{{-2 BRONSON}}}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2 2023.10.13}}} || [[https://youtu.be/8Ea13Zp6OSo| {{{#141414,#588da8 '''311!'''}}}]][br]{{{-2 (feat. Gallant, Terrace Martin, Robert Glasper & Keyon Harrold)}}} || {{{-2 sneek}}} || == 콘텐츠 == === In the Room === ||
'''{{{#000 EP}}}''' || '''{{{#000 제목}}}''' || '''{{{#000 링크}}}''' || || 1 || Blue Bucket Of Gold[br]{{{-3 (With. [[수프얀 스티븐스]])}}} || [[https://youtu.be/rJAxAdZgGn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 Weight In Gold[br]{{{-3 (With. Seal)}}} || [[https://youtu.be/NytChIATTA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3 || I Get Lonely[* [[자넷 잭슨]]의 [[I Get Lonely]]를 커버했는데, 갤런트의 폭발적인 가창력도 그렇지만, 잭 개럿의 소울이 담긴 창법 역시 듣는사람에게 소름을 안겨준다.][br]{{{-3 (With. [[잭 개럿]])}}} || [[https://youtu.be/otUNdt8cfM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4 || Overload [br]{{{-3 (With. [[존 레전드]])}}} || [[https://youtu.be/szYOYLzFos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5 || Cruisin' [br]{{{-3 (With. Andra Day)}}} || [[https://youtu.be/2G6qncZHyb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6 || Tears Dry On Their Own [br]{{{-3 (With. [[두아 리파]])}}} || [[https://youtu.be/cxLQAuQsOW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7 || Doesn’t Matter [br]{{{-3 (With. [[A$AP Ferg]] & VanJess)}}} || [[https://youtu.be/u7pz5tfY6o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8 || Room Service Festival[br]{{{-3 [skipping stones / céline / sexy love ([[Ne-Yo]] cover) / weight in gold]}}} || [[https://youtu.be/xkFN9rJryP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Spotify]]와 제휴하여 다른 아티스트와의 콜라보 프로젝트인 '''In the Room''' 시리즈를 진행했다. 갤런트는 이 시리즈를 "지속적인 공동 작업 프로젝트로, 나에게 가장 영감을 준 아티스트들에게 경의를 표하고, 특별한 무언가를 창조할 기회"라고 설명했다. === raw 1:44 === ||
'''{{{#000 EP}}}''' || '''{{{#000 제목}}}''' || '''{{{#000 링크}}}''' || || 1 || Sleep On It || [[https://youtu.be/mCpWYoFV6S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 Sweet Insomnia || [[https://youtu.be/IOW5tmc29Y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3 || Sharpest Edges || [[https://youtu.be/ANsaukyitM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4 || Bone + Tissue || [[https://youtu.be/E54hai0l1L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5 || Skipping Stones || [[https://youtu.be/JRV5sUruem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019년 부터 시작한 시리즈로, 1분 44초 동안 무반주로 노래한다. 뮤직비디오 감독 Alex Chaloff가 촬영한다. == 여담 == * 노래를 부르며 취하는 모션이 굉장히 크다. * Zebra나 Ology에서 보여줬듯이 여러 장르를 섞은 트랙이 그의 특징이기도 한데, 이는 그가 그 장르들을 다 좋아해서 한번에 섞은게 아니라, 어느 특정 장르로 자신의 음악이 분류되는것보단 자신만의 분류안에 존재하는게 낫다고 생각해서라고. * 같은 창법을 가진 가수인 [[프랭크 오션]]과 자주 비교되는거에 대해 큰 생각은 가지지 않는다고 한다. * 그의 가사를 보면 일상생활에서 잘 쓰이지 않는 어려운 단어와 표현들이 자주 사용되는데, 이에 대해 몇몇 리스너들이 "그만의 독창적인 정신세계를 표현하기 위해선 이런 표현을 사용해야 했을것이다" 같은 추측을 내렸으나 그냥 갤런트가 그런 단어를 쓰는걸 좋아해서 라고 한다(...) * [[미야자키 하야오]]의 굉장한 팬이라고 한다. 실제로 Ology의 트랙중 'Miyazaki'라는 이름의 트랙이 있다. 대학에서도 일본어 수업을 들은적이 있다고 한다. Sweet Insomnia의 트랙에도 'Panasonic', 'Konami' 등 일본과 관련된 트랙이 있다. * 팬서비스가 좋다. 2016년 서울 소울 페스티벌의 라인업에 참가했는데, 인스타그램에 한국어로 "사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역시 인스타는 #먹스타그램~~[* 자신이 묵은 호텔의 조식 사진과 함께 올렸다.] 같은 글을 올려 한국 팬들에게 '귀엽다'는 반응을 받아냈다. ~~개인 사정으로 당일날 자기 멋대로 공연시간을 바꿔버린 [[타이 달라 싸인|그분]]이나 비자발급을 못받았다며 행사 전날 공연을 취소해버린 [[타이가(래퍼)|그분]]과 반대되는 태도~~ * 또한 의외로 걸그룹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의 노래들을 엄청 좋아했었다. 인스타 스토리에 only 1을 듣는 걸 올린 적도 있다. [[https://www.facebook.com/permalink.php?id=213328469217341&story_fbid=386319748584878|심지어 같이 사진 찍은 적]]도 있는 듯. 계약 종료 기사를 접하자마자 인스타 라이브를 켜서 only 1만 들으며 술만 먹었다. [[http://huv.kr/pds1064037|#]] [[분류:미국 남가수]][[분류:미국의 싱어송라이터]][[분류:1992년 출생]][[분류:워싱턴 DC 출신 인물]][[분류:아프리카계 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