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함정카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2607_1.jpg]] || 한글판 명칭 ||||||||'''거꾸로 안경'''|| || 일어판 명칭 ||||||||'''逆さ眼鏡'''|| || 영어판 명칭 ||||||||'''Reverse Glasses'''|| |||||||||| 일반 함정 ||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을 엔드 페이즈시까지 절반으로 한다.|| [목차] == 개요 == [[수축(유희왕)|수축]]과 [[하프 또는 스톱]]의 상호 호환. == 소개 == 공격 시 발동이 아닌 프리체인 카드인 점은 하프 또는 스톱보다 좋지만 문제는 자기 몬스터의 공격력까지 반으로 만들어버린다는 거다. 결국 수비벽을 좀더 단단하게 만들어주는거 외에는 별 소용없다. 그렇다고 이런 용도로 배틀 페이즈에 발동하면 자신의 공격표시 몬스터는 지킬수 없으니 하프 또는 스톱보다 못하다. [[수축(유희왕)|수축]]이랑 비교해봐도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을 반으로 만든단건 좋지만 자기 몬스터까지 반이 되니 소용없다. 사실상 가장 의미있는 용도는 자기 필드에 몬스터가 아예 없고, 상대 필드에 몬스터들이 줄줄이 늘어섰을 때. 이 경우 어마어마한 수치의 대미지를 감량할 수 있다. 뒷면표시는 해당이 안 되니 자신의 뒷면수비 몬스터에게 닥돌하는 상대 몬스터들의 공격력을 이 카드로 절반으로 해놓고 [[배틀매니아(유희왕)|배틀매니아]]등으로 우수수 공격하게 하는 방법도 있기는 하다. 그 외의 사용법이라면 [[암흑계]]등을 상대할 때, 덱 파괴 코스트로 쓸 몬스터를 없애는 거 정도? 공격력이 죄다 반으로 떨어지면 덱 파괴의 조건인 공격력 2000 이상의 조건이 안 맞기에 발동할수가 없어진다. (예외로 카이바 세토는 죽음의 덱 파괴 바이러스를 발동시키기 위해 [[블러드 볼스]]의 공격력을 수축을 썼었다.) 수비력을 공격력으로 취급하는 [[초중무사]] 덱과는 시너지가 정말 엄청나다. 초중무사는 이 카드의 효과로 전투할 때 공격력이 깎이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초중무사 덱이 풀 몬스터로 컨셉이 잡히면서 같이 넣어서 쓰기 애매해지고 있다. 원작에선 [[츠쿠모 유마]]가 사용. 우미미&토미오 부부와의 태그 듀얼에서 사용해 위에 설명한 대로 데미지를 줄이는 용도로 썼다. 발동시엔 일러스트에 그려진 털북숭이가 나와서 물구나무를 선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 || JOTL-KR070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JUDGMENT OF THE LIGHT]] || JOTL-JP070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