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페데 알바레즈 감독 장편 연출 작품)] ||<-2>
'''{{{+2 거미줄에 걸린 소녀}}}''' (2018)[br]''The Girl in the Spider's Web: A New Dragon Tattoo Story''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4962c78b5b2435abcc391cfd4d6192c.jpg|width=100%]]}}} || || '''장르''' ||[[범죄]], [[액션]], [[스릴러]] || || '''원작''' ||다비드 라게르크란츠, [[스티그 라르손]] - 소설 <거미줄에 걸린 소녀>|| || '''감독''' ||페드로 알바레즈 || || '''각본''' ||페드로 알바레즈[br]제이 바수[br]스티븐 나이트 || || '''제작''' ||엘리 부시[br]엘리자베스 캔틸론[br][[에이미 파스칼]][br][[스콧 루딘]][br]소렌 스테어모즈[br]올레 손드버그[br][[데이비드 핀처]](기획) || || '''출연''' ||[[클레어 포이]], 실비아 획스 || || '''촬영''' ||페드로 루크 || || '''음악''' ||로퀘 바뇨스 || || '''제작사''' ||[[컬럼비아 픽처스]][br][[메트로 골드윈 메이어]][br]뉴 리젠시 픽처스 [br]스콧 루딘 프로덕션 [br] 파스칼 픽처스 [br] 옐로우 버드 || ||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소니 픽처스 코리아]] || ||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컬럼비아 픽처스]]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소니 픽처스 코리아]] || ||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18년]] [[11월 9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8년]] [[11월 28일]] || || '''화면비''' ||2.39:1 || || '''상영 시간''' ||117분(1시간 57분) || || '''제작비''' ||'''4,300만 달러'''|| || '''월드 박스오피스''' ||'''$35,164,920'''[* [[https://www.boxofficemojo.com/movies/?id=thegirlinthespidersweb.htm|출처]]] || || '''북미 박스오피스''' ||'''$14,841,338'''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32,208명|| || '''링크''' ||[[https://www.facebook.com/TheGirlInTheSpidersWeb|[[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https://www.instagram.com/SpidersWebMovi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000000 상영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fff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8년]] 제작된 [[미국 영화|미국]], [[스웨덴 영화|스웨덴]], [[영국 영화|영국]], [[캐나다 영화|캐나다]], [[독일 영화|독일]] 무려 '''5개국 합작 [[영화]]'''. [[대한민국]]에도 [[2018년]] 개봉하였다. [[밀레니엄: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2011)|밀레니엄: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의 후속작으로 제작사를 제외한 모든 인물들이 바뀐다. [[맨 인 더 다크]]를 연출했던 페데 알바레즈 감독이 연출을 맡으며, 원작자가 집필한 2편이 아닌 작가 사후 딴 작가가[*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선수의 자서전을 쓴 다비드 라게르크란츠 작가이다.] 집필해 출간한 '''The Girl in the Spider’s Web'''을 원작으로 한다.[[http://bbs.ruliweb.com/av/board/300013/read/2172163?|#]] 한국어로는 '''밀레니엄: 우리를 죽이지 않는 것'''. 소설 원작에서 2~3부 건너뛰고 4부를 제작한다. 전편에서는 밀레니엄이 없는데도 밀레니엄을 붙였는데 이번엔 밀레니엄이 이름에서 빠졌다. == 예고편 == ||
[youtube(VOvTOmaVxms)]|| || 한국 티저 예고편 || ||
[youtube(FcfhreRH0pQ)]|| || 한국 2차 공식 예고편 || ||
[youtube(XKMSP9OKspQ)]|| || 공식 예고편 || ||
[youtube(uIpI5N2CmCQ)]|| || 인터내셔널 티저 예고편 || 예고편의 분위기는 호불호가 갈리며, 영화 전체를 다 본 느낌과 [[루니 마라]]와 [[데이비드 핀처]] 다시 데리고 오라는 반응이 많다. ||
[youtube(jEINTQ2AP9k)]|| || 공식 2차 예고편 || ||
[youtube(KZfjRIG6eAw)]|| || 인터내셔널 예고편 || == 등장인물 == * [[클레어 포이]] - [[리스베트 살란데르]] 역 * 스베리르 구드나손[* [[보리 vs 매켄로]]에서 비에른 보리 역을 맡았다.] - [[미카엘 블롬크비스트]] 역 * 실비아 휙스 - 카밀라 살란데르 역 * 클레스 방[* 본작의 메인 빌런 캐릭터를 맡아서 연기.] - 얀 홀스터 역 * 캐머런 브리튼 - 플레이그 역 * [[라키스 스탠필드]] - 에드워드 니덤 역 * [[스티븐 머천트]] - 프란스 발더 역 * 신노브 맥코디 런드 - 가브리엘라 역 * [[빅키 크리엡스]] - 에리카 버거 역 * [[안드레야 페이치]]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the-girl-in-the-spiders-web, critic=43, user=4.8)]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the_girl_in_the_spiders_web, tomato=39, popcorn=36)] [include(틀:평가/IMDb, code=tt5177088, user=6.1)]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the-girl-in-the-spiders-web, user=2.6)]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955968, user=5.854)]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64574, user=3.73)]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29567, user=6.6)]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26658194, user=6.1)] [include(틀:평가/왓챠, code=md6YlK2, user=3.1)]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70074, light=50.00)]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61868, expert=5.67, audience=8.62, user=7.91)]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10986, expert=5.7, user=7.0)] [include(틀:평가/CGV, code=81334, egg=89)] == 흥행 == 제작비 4,300만 [[미국 달러]]로, [[마케팅]]비를 포함한 [[손익분기점]]은 1억 1,000만 [[미국 달러]]이다. 그런데 개봉 첫 주부터 바닥을 쳤다. === [[북미]] === 개봉 첫 주에 $7,810,112에 그쳐서 [[미국 영화]] [[영화 시장|시장]] [[박스오피스]] 6위로 [[폭망]]했다. === [[대한민국]] === ||<-7>
'''{{{#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 '''{{{#ffffff 주차}}}''' || '''{{{#ffffff 날짜}}}''' || '''{{{#ffffff 일일 관람 인원}}}''' || '''{{{#ffffff 주간 합계 인원}}}''' || '''{{{#ffffff 순위}}}''' || '''{{{#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ffffff 개봉 전}}} ||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7> {{{#ffffff 1주차}}} ||2018-11-28. 1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18-11-29. 2일차(목) || -명 || -위 || -원 || ||2018-11-30. 3일차(금) || -명 || -위 || -원 || ||2018-12-01. 4일차(토) || -명 || -위 || -원 || ||2018-12-02. 5일차(일) || -명 || -위 || -원 || ||2018-12-03. 6일차(월) || -명 || -위 || -원 || ||2018-12-04. 7일차(화) || -명 || -위 || -원 || ||<|7> {{{#ffffff 2주차}}} ||2018-12-05. 8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18-12-06. 9일차(목) || -명 || -위 || -원 || ||2018-12-07. 10일차(금) || -명 || -위 || -원 || ||2018-12-08. 11일차(토) || -명 || -위 || -원 || ||2018-12-09. 12일차(일) || -명 || -위 || -원 || ||2018-12-10. 13일차(월) || -명 || -위 || -원 || ||2018-12-11. 14일차(화) || -명 || -위 || -원 || ||<|7> {{{#ffffff 3주차}}} ||2018-12-12. 15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18-12-13. 16일차(목) || -명 || -위 || -원 || ||2018-12-14. 17일차(금) || -명 || -위 || -원 || ||2018-12-15. 18일차(토) || -명 || -위 || -원 || ||2018-12-16. 19일차(일) || -명 || -위 || -원 || ||2018-12-17. 20일차(월) || -명 || -위 || -원 || ||2018-12-18. 21일차(화) || -명 || -위 || -원 || ||<|7> {{{#ffffff 4주차}}} ||2018-12-19. 22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18-12-20. 23일차(목) || -명 || -위 || -원 || ||2018-12-21. 24일차(금) || -명 || -위 || -원 || ||2018-12-22. 25일차(토) || -명 || -위 || -원 || ||2018-12-23. 26일차(일) || -명 || -위 || -원 || ||2018-12-24.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18-12-25.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ffffff 합계 }}}''' ||<-6>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볼드체 같은 주에 개봉하는 작품은 [[에이리언 컨버전스]], [[지오 쓰나미]]([[2018년]] [[11월 27일]]), 거미줄에 걸린 소녀, [[국가부도의 날]], [[리스펙트(2018)|리스펙트]], [[저니스 엔드]], [[후드(영화)|후드]](이상 [[2018년]] [[11월 28일]]), [[극장판 일곱 개의 대죄: 천공의 포로]], [[나이트 쉬프트]], [[다이빙: 그녀에 빠지다]], [[대지진(2016)|대지진]], [[데드 트리거(2017)|데드 트리거]], [[로빈 후드 리벨리언]], [[배틀 스쿨]], [[별나라 몰리 몬스터]], [[샘(2017)|샘]], [[소녀의 세계(영화)|소녀의 세계]], [[언노운 게스트]], [[짱(2018)|짱]], [[천당의 밤과 안개]], [[카운트다운 쇼크웨이브]], [[투 프렌즈]](이상 [[2018년]] [[11월 29일]])까지 총 22편이다. 한국 흥행도 폭망 중. 한달이 되어가도록 전국 32,208명으로 완전히 독립영화 수준 흥행이다. == 기타 == * 전편의 각본을 담당했던 스티븐 자일리언[* [[쉰들러 리스트]], [[머니볼(영화)|머니볼]]같은 영화의 각본을 담당한 바 있다.]이 2편과 3편의 내용을 합쳐서 후속편 각본을 집필했으나 소니에서 흥미를 잃으면서 무산됐다. * 루니 마라는 리스베트 캐릭터에 애정을 보이며 후속편 출연에도 관심을 보였으나, 소니측에서 그냥 리부트 시킨다는 명문하에 리스베트역에 새로운 배우를 캐스팅했다. * ~~스파이더맨 시리즈와는 아무 관계가 없다~~ 해커와 해킹 조직이 등장한다는 점이 [[와치독 시리즈]]와 유사하다. * 밀레니엄 시리즈에 대한 지식이 전무한 상태에서 보면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많을 수 있다. [[분류:밀레니엄(소설)]][[분류:2018년 영화]][[분류:미국의 범죄 영화]][[분류:스웨덴의 범죄 영화]][[분류:미국의 스릴러 영화]][[분류:스웨덴의 스릴러 영화]][[분류:소니 픽처스]][[분류:메트로 골드윈 메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