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건프라 배틀 시리즈의 주인공 기체)] ||<-2> '''{{{#white GAT-X303K 건담 이지스 나이트 [br] ガンダムイージスナイト | Gundam Aegis Knight}}}''' || ||
[[파일:GAT-X303K 건담 이지스 나이트 설정화 전면.png|width=100%]] || [[파일:GAT-X303K 건담 이지스 나이트 설정화 후면.png|width=100%]] || [목차] == 개요 == [[건담 빌드 다이버즈 Re:RISE]] 시즌 2의 등장 건프라. [[카자미(건담 빌드 다이버즈 Re:RISE)|카자미]]의 새로운 건프라이다. 기체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지스 건담]]을 베이스로 커스텀되었다.[* 카자미의 회상에 따르면 이지스 건담은 카자미가 어릴적에 아버지가 사준 첫 건프라였다.] [[건담 저스티스 나이트]]의 후속기이자[* 시드 시리즈 본편에서는 이지스 건담이 [[아스란 자라|아스란]]의 최초 탑승기였고 인피니트 저스티스는 시드 데스티니 최후반부 탑승기였다.][* 퇴화(...)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이지스가 아테나의 방패라는 것을 감안하면 개돌을 하던 카자미가 팀원을 지키는 것도 생각하게 되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방어중심의 컨셉을 극대화 시켰으며, 무장 역시 건담 저스티스 나이트의 발전형인 듯한 무장들을 탑재하고 있다. 또한 원형기 이지스 건담의 가변 기능은 본 기체에도 남아있어 고속 순항 모드와 강습 전투 모드 2가지 패턴의 변형이 가능하다.[* 단, 그 모습은 원본과 너무 다르다. 그나마 강습 모드는 어거지라도 원본과 비슷하지만 고속 순항 모드는 다른 기체로 보일정도. 오히려 [[윙 건담]]의 버드 모드와 더 흡사하다.] 디자이너는 [[야나세 타카유키]]. == 상세 == * 고속 순항 모드 ||
[[파일:GAT-X303K 건담 이지스 나이트 설정화 고속 순항 모드1.png|width=100%]] || [[파일:GAT-X303K 건담 이지스 나이트 설정화 고속 순항 모드2.png|width=100%]] || * 강습 전투 모드 ||
[[파일:GAT-X303K 건담 이지스 나이트 설정화 강습 전투 모드1.png|width=100%]] || [[파일:GAT-X303K 건담 이지스 나이트 설정화 강습 전투 모드2.png|width=100%]] || 이지스 건담과 마찬가지로 비행 형태와 --기괴한--강습 형태로의 가변이 가능하다. 하지만 그 모습은 이지스 건담과는 상당히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다.[* 특히 비행 형태는 원본의 특이하게 생긴 모습과 달리 다른 가변형 모빌슈트들과 비슷하게 항공기의 형태처럼 바뀌었다. 백팩의 기수가 올라오는 식으로 [[건담 에어마스터]]나 [[건담 큐리오스]]스럽다.] 개조로 인하여 기체 자체의 외형 역시 원본과 크게 달라졌는데, 얼굴이나 다리 등을 제외하면 원본의 모습을 찾기 힘들 정도로 크게 변화했다. 뒷 부분의 가변 기구 역시 상당히 간소화되어 마치 [[건담 큐리오스]]와 비슷하게 바뀌었으며, 가슴 중앙 부분은 [[건담 AGE]]의 [[더 건담]]과 비슷하게 바뀌었다. 또한 오프닝에서 등장할 때 프레임에 아머가 입혀지는 형태로 등장하는 걸 보아, 풀 프레임을 재현하는 등 각오를 가진 카자미가 혼신을 다해 제작했을 가능성도 보인다. 무장은 상술되었듯이 건담 저스티스 나이트와 겹치는 컨셉의 무장들이 다수이며, 무장들을 합체시키는 기능 역시 건재하다. * 킹 모드 ||
[[파일:킹 모드 3.gif|width=100%]] || 케라우노스 하이퍼 빔 소드를 사용할 때의 모습. 스커트 아머가 이지스 실드에 합쳐지며, 머리 뒤쪽의 장식이 세워지면서 마치 왕관을 쓴 듯한 형상이 된다. 스커트 아머의 출력이 빔 소드에 더해지며 가공할 크기의 대검을 만들어낸다. * 코어 파이터 ||
[[파일:HGBD:R 건담 이지스 나이트 코어 파이터.jpg|width=100%]] || 리라이징 건담으로 합체될 때, 남은 파츠들이 합쳐져 코어 파이터 형태로 재현된다. [* 위 이미지의 코어 파이터 모드를 보듯이 리라이징 합체시 워돔포드 플러스는 모빌 돌 메이 자체가 잉여, 엑스 발키랜더는 블레이드 안테나, 레전드 윙, 깔창 파츠, GN 메가 플레어 디바이스 까지만 필요로 하고, 그 외의 잉여로 남는 기본 소체의 대부분은 인간형태를 유지 하지만 빌드 다이버즈 맴버들의 기체의 나머지 셋(워돔 포드 플러스, 건담 이지스 나이트, 엑스 발키랜더)중에서 이지스 나이트만 유일하게 인간형태를 유지할 수 없다. 사지가 전부 리라이징 건담의 어깨장갑, 팔로 합체되기 때문이며, 남은 파츠만으로도 새로운 사지를 만들기에는 부적합하기 때문. 프라모델의 플레이 밸류 면에서는 조금 아쉽지만 작중 리라이징 합체 형태에 꽤 충실하고 적극적인 기여를 한 셈.] == 무장 == * KT-E05R 라이테이 샷 랜서 改 저스티스 나이트의 것을 개수한 랜스. 저스티스 나이트와 마찬가지로 창 발사 기능과 빔 건을 탑재하고 있다. * AS-1215 이지스 실드 서클 실드 위에 추가 장식과 원본 이지스 건담의 실드를 추가로 덧댄 형상이 되었다. 또한 저스티스 나이트의 나이트 윙과 비슷하게 무장과 부품들을 조합해서 하이퍼 빔 소드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지스 나이트의 경우 랜스의 뒷부분과 본체 허리의 날개 형상의 부품을 조합해서 만든다. * KT-HBS06GW 케라우노스 하이퍼 빔 소드 킹 모드 발동시의 무장. 실드와 사이드 스커트, 랜스를 전부 합친 무장이다. 의전같은 데서 사용하는 왕장(王杖)처럼 생겼으며 지팡이의 머리 끝부분에서 거대한 빔 사벨을 발생시켜서 공격하는 방식. 작중에서는 폭주한 젤트잠의 폴딩 디스트런처의 포격을 정면으로 내리쳐서 방어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이름의 케라우노스는 그리스어로 번개를 뜻한다. * KT-R01B 레바테인 빔 레이피어 이지스 실드에 탑재된 빔 레이피어. 이지스 나이트판 갈라틴 롱소드 포지션인 무장이다. 다만 이 무장은 카자미가 마법검이라는 설정으로 빌드하여서 실체검이었던 갈라틴 롱소드와는 달리 이쪽은 이름에 걸맞게 빔 사벨이며 그리고 이름은 빔 레이피어인데 손잡이 생김새는 손보호대가 있는 전형적인 레이피어의 모습이 아니라 오히려 롱소드의 모습을 하고 있다. * 빔 사벨 원본인 이지스 건담과 마찬가지로 4개의 빔 사벨을 장비하고 있다. 다만, 원본 이지스가 팔뚝과 발 사이에 달려있어 방향조절이 가능한 것과 달리 이지스 나이트는 2개가 발바닥 밑에, 나머지 2개는 어깨 장갑 내부에 달려있다. 그래서 원본처럼 발차기나 팔을 휘두르면서 쓰는 것은 불가능하고, 강습 형태에서만 사용한다. * 스퀼라 원본인 이지스 건담에도 달려있던 고에너지 빔 캐논. 이지스 나이트는 변형 구조가 변경되면서 위치가 흉곽 쪽으로 옮겨졌으며, 사용시 외장이 전개되고 포구가 드러난다. === 리라이징 건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라이징 건담)] 코어 건담을 중심으로 빌드 다이버즈의 기체가 합체한 형태. == 작중 행적 == [include(틀:스포일러)] 시즌 2 초반에는 등장하지는 않았으나, 17화에서 카자미에 의해 등장이 여럿 암시되었기에[* 카자미가 스케치북에 랜스로 추정되는 무언가를 그리고 있었고, 동일한 17화에 카자미의 회상에서 등장하는 건프라가 구판 1/100스케일의 [[이지스 건담]]이였다.] 신규 PV 영상에 모습을 드러내고, 21화 예고편 영상에는 히로토 일행과 함께 다음 전투에 대비해 [[건담 저스티스 나이트]]를 건담 이지스 나이트로 개조하기 위해[* 말만 개조일뿐 구조상 개조가 사실상 불가능 하기에, 완성된 파츠를 조립하는 모습으로 추정된다.] 파츠들을 준비하고 개조하는 모습을 보인다. 마침내 21화에서 카자미에 의해 완성되었으며, 막바지에 첫 출격을 하게 된다. 22화에서는 지금까지 트롤링 역을 맡았던 것을 불식하듯 큰 활약을 했다. 엘도라 시리즈들의 공격에 격추당할 뻔한 메이와 히로토를 구해주고, 막바지엔 카자미가 동경하던 캡틴 지온의 액시즈 떨구기를 오마쥬한 '''킹 모드'''란 특수한 시스템으로 실드와 랜스 그리고 사이드 아머를 합쳐 거대 빔 사벨[* 이때 묘사되는 출력이 그야말로 엄청나다. 당시 [[건담 젤트잠|젤트잠]]은 폭주상태인지라 출력이 대폭상승한 상태였다. 구도때문에 촉수가 변형한 포신이 원본과 길이가 같아보이는데 발사한 후 잠깐 나오는 구도를 보면 원본보다도 길다. 그 상태에서 발사한 폴딩 데스트런처를 이 빔 사벨 하나로 막았다.]로 젤트잠의 폴딩 데스트런처 공격을 단신으로 막아내면서 히로토가 마사키를 구원할 틈을 마련했다. 2기 들어서 카자미가 개념을 찾은 듯한 묘사를 여러 번에 걸쳐 묘사하긴 했지만, 이번 화에서는 특히 메이가 전투 면에서는 별 활약을 못한 채 보조 역할을 맡고 파르가 스스로도 제어하지 못하는 건드란잠을 처음 사용하며 어그로를 끈 것과는 반대로 초반부터 히로토와 메이를 격추에서 구하고 후반에는 마사키를 구할 결정적인 틈을 만들어내는 등 히로토와 투탑의 활약을 하며 그 존재감을 시청자들에게 확실히 각인시켰다. 24화에는 마기의 주선으로 원조 빌드 다이버즈와 아발론을 비롯한 여러 포스들과 함께 엘도라 모의전을 하게된다. 여러 시행착오가 있었지만, 히로토의 앞을 막은 건담 GP 라세츠텐을 대신해서 상대하거나 그 외 강력한 공격등을 막는 등 22화에서 했던 것처럼 압도적인 방어력 및 탱킹능력을 여러 포스들한테 강하게 어필하는데 성공하지만 이때문에 [[오우거(건담 빌드 다이버즈)|오거]]에게 딱딱하기만 하고 맛대가리가 없다는 사실상 게딱지 취급을 당했다. 25화에선 페이크 뉴 건담의 판넬을 상대로 고전할때 직접 판넬이 된다는 발상으로 강습 전투 모드가 되어 페이크 뉴 건담을 잡은뒤 영거리 스킬라로 박살낸다.[* 말은 판넬이 된다곤 했지만 그냥 강습 전투 모드로 변형한뒤 개돌했다...--그와중에 GBN쪽 방송의 코멘트에선 에? 라던가 (이건)죽었네 라는 등...-- ] 물론 작전은 멋지게 먹혀들어갔다. 26화에서는 꿈에 그리던 캡틴 지온의 뉴 지온 건담과 함께 아루스의 전함과 페이크 뉴 건담을 박살낸다. == 모형화 == === 건프라 === ==== HG[anchor(HG)] ==== ||<-2>
[[파일:HGBD:R 건담 이지스 나이트 박스아트.jpg|width=100%]] || || 브랜드 || [[하이 그레이드|High Grade Build Divers:R]] || || 스케일 || 1/144 || || 발매 || 2020년 8월 22일[* 당초 2020년 7월 발매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19로 인해 1개월 연기되었다.[[https://bandai-hobby.net/notices/detail/56/|#]]] || || 가격 || 2,300엔 || || 링크 || [[https://bandai-hobby.net/item/3790/|제품 페이지]] || || 리뷰 || [include(틀:국내 건프라 리뷰 표시)] [[http://dalong.net/reviews/bf/bdr33/bdr33_p.htm|달롱넷]][*주의 리뷰 내용 중 [[리라이징 건담|스포일러]]도 같이 다루고 있는 만큼, 스포일러에 민감하다면 애니를 먼저 감상하는 것을 추천한다.], [[https://youtu.be/0YENWeGtjGc|건담홀릭]][*주의] || 비행 및 강습 형태로의 가변이 재현. 구판 HG 이지스의 금형을 유용하지 않은 거의 완전 신금형 기체이다. 게다가 원본 이지스와도 부품을 공유할 부분이 많지 않아보이기 때문에 HGCE로의 리바이브는 기대하기 어려울 듯 하다.[* 새로운 런너에는 '이지스 나이트'로만 적혀있고 관절부를 포함한 일부 부품은 인피니트 저스티스와 공유한다.] [[반다이|반다이 스피리츠]]에서 발매일 준수, 샘플 리뷰 및 전시 금지, SNS 업로드 금지 등을 걸어서 기존 CG나 제품 정보 외의 공식 사진 및 박스 아트는 발매 당일 직전에 공개되었다. 4체 합체 형태인 리라이징 건담과 관련된 강력한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어 이 같이 조치.[* 올라온 정보에 따르면 예전 샘플 리뷰 당시 이지스 나이트의 발뒤꿈치에 손이 있는것이 확인되었다고 한다.][* 애초에 코로나 19로 인한 연기는 애니메이션이 연기됨에 따라 리라이징 건담의 공개일이 늦어져 연기된 것으로 보인다.] 부속된 이펙트 파츠는 2017년 8월에 발매된 HGBC 닌펄스 빔즈를 클리어 옐로우로 사출한 것이다. 전체적인 품질은 꽤 잘 나온 편. 장단점은 아래와 같다. 장점 : 색분할이 매우 뛰어나고[* 크루즈모드의 캐노피를 창틀과 별도 분할해줬다! 웬만한 고가형 HG에서도 스티커 처리하기 일수인 부분인데...] 메탈릭 골드&다크 그레이의 사출색도 최대한 잘 뽑아줬다. 최신 HG포멧에 걸맞게 가동률이 뛰어나고 체형의 밸런스도 좋다. 특징적인 무기의 형태, 특히 쉴드의 조형이 호평이다. 후술할 단점을 차치하더라도 완성하고 쉴드를 들려주면 굉장히 듬직한 모습을 자랑한다. 변형 및 분리기믹도 충실하게 재현되었다. 단점 : 어깨 아머를 [[더블오 건담|독특하게 백팩에 연결된 볼 조인트에 장착하는데,]] 심각하게 잘 빠진다. [* 상술한 합체기믹 때문에 코어건담2와 호환성을 위해 볼조인트용 레일을 만들어 뒀지만 오히려 볼관절을 잡아주지못하게 되어 헐거워 진 것.] 포즈를 이리저리 잡다보면 축 늘어지거나 빠져버려 귀찮아진다. 다리의 적나라한 전면 접합선도 아쉽다. 게다가 발목관절은 슬라이드 사출하거나 상 하 분할이 아닌 좌우 조립식이라 발목&뒤꿈치를 잡아주지 못하고 벌어지기 일수. 킹모드의 하이퍼 케라우스 빔 사벨을 닌펄스 빔즈로 대충 때우는 것 이 아쉽다.[* [[건담베이스]] 재팬 트위터에서는 다른 키트의 빔 파츠를 활용한 작례를 적극 소개하고 있다. [[https://twitter.com/gundambase_t/status/1297044839595270144|HG 건담 G-루시퍼의 빔 파츠 적용 작례]], [[https://twitter.com/gundambase_t/status/1298182016832139272|FrE 버스트 이펙트 적용 작례]], [[https://twitter.com/dendero_no/status/1297078711619948544|해외 리뷰어 작례]]] [[분류:건담 빌드 다이버즈 Re:RISE]][[분류:건프라 배틀/건프라]][[분류:건담 타입]][[분류:2020년 HG 건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