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建'''興/'''乾'''興 한국과 중국의 군주들이 사용한 [[연호]]이다. == 한국사의 연호 == === [[고구려]]의 [[연호]] (建興) === [include(틀:영양왕)] [[장수왕]], [[안원왕]], [[영양왕]] 설이 있고 그 중 [[영양왕]] 설이 유력한 [[연호/고구려|고구려의 연호]] === [[발해]] 제10대 [[가독부]]인 [[선왕]] 대인수의 [[연호]] (建興) === ||<-5><#2531a2> '''[[발해|{{{#fff 발해}}}]]{{{#fff 의}}} [[연호|{{{#fff 연호}}}]]'''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太始[br][[태시]][br]{{{-2 (818)}}}}}} || {{{+1 →}}} ||<#2531a2>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fff 建興[br]건흥[br]{{{-2 (819 ~ 830)}}}}}}'''}}}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咸和[br]함화[br]{{{-2 (831 ~ 857)}}}}}} || 한국 남북국시대 발해의 제10대 가독부인 대인수가 사용한 연호이다. == 중국사의 연호 == ===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촉한]]의 제2대 황제 [[유선(삼국지)|유선]]의 [[연호]] (建興) === ||<-5><:><#008000> '''[[촉한|{{{#fff 촉한}}}]]{{{#fff 의}}} [[연호|{{{#fff 연호}}}]]'''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유비|소열제]][br][[장무(연호)|장무]](章武)[br]{{{-2 ([[221년]] ~ [[223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fff [[유선(삼국지)|{{{#fff 회제}}}]][br]건흥(建興)[br]{{{-2 ([[223년|{{{#fff 223년}}}]] ~ [[238년|{{{#fff 238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유선(삼국지)|회제]][br][[연희(연호)|연희]](延熙)[br]{{{-2 ([[238년]] ~ [[257년]])}}}}}} ||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제2대 황제 [[유선(삼국지)|유선]]이 즉위 후 사용한 첫번째 연호이자 촉한의 2번째 연호이다. [[촉한]]이 [[이릉대전]]로 인한 타격으로 피해를 복구하면서 남방의 이민족을 평정했고, 위나라에 대해 [[제갈량]]이 수차례 북벌을 감행한 시기였다. ==== 주요 사건 ==== * 건흥 원년(223년): 유선 즉위, 건흥 연호 선포 * 건흥 3년(225년): [[제갈량]]의 남만 정벌 * 건흥 5년(227년): 제갈량의 [[출사표]] * 건흥 6년(228년) ~ 건흥 12년(234년): [[제갈량의 북벌]] * 건흥 12년(234년): [[추풍오장원]] * 건흥 16년(238년): 연희 연호 선포 ===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오(삼국시대)|손오]]의 제2대 황제 [[손량]]의 [[연호]] (建興) === ||<-5><:><#8B0000>'''[[오(삼국시대)|{{{#fff 손오}}}]]{{{#fff 의}}} [[연호|{{{#fff 연호}}}]]'''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손권|대제]][br][[신봉]](神鳳)[br]{{{-2 ([[252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fff [[손량|{{{#fff 폐제}}}]][br]건흥(建興)[br]{{{-2 ([[252년|{{{#fff 252년}}}]] ~ [[253년|{{{#fff 253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손량|폐제]][br][[오봉(연호)|오봉]](五鳳)[br]{{{-2 ([[254년]] ~ [[256년]])}}}}}} || 중국 삼국시대 손오의 제2대 황제 [[손량]]이 즉위 후 사용한 첫번째 연호이다. [[이궁지쟁]]으로 혼란한 시기가 끝나고 손권이 사망해 내부의 혼란이 끝났고, 위나라와 전투를 벌인 시기였으나, 이 과정에서 생겨난 문제로 집권자인 제갈각을 몰아내 [[손준]]이 장악하는 사태가 일어나는 등 내부적으로 혼란이 다시 일어난 시기였다. ==== 주요 사건 ==== * 건흥 원년(252년): 손량 즉위, 건흥 연호 선포, [[동흥제 전투]] * 건흥 2년(253년): 합비신성 전투, 제갈각 사망, [[손준]]의 정권 장악 === [[서진]]의 제4대 황제 [[민제(서진)|민제]] 사마업의 [[연호]] (建興) === ||<-5><:><#800080> '''[[서진|{{{#fff 사마진}}}]]{{{#fff 의}}} [[연호|{{{#fff 연호}}}]]'''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회제(서진)|회제]][br][[영가]](永嘉)[br]{{{-2 ([[307년]] ~ [[313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fff [[민제(서진)|{{{#fff 민제}}}]][br]건흥(建興)[br]{{{-2 ([[313년|{{{#fff 313년}}}]] ~ [[317년|{{{#fff 317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원제(동진)|원제]][br][[건무]](建武)[br]{{{-2 ([[317년]] ~ [[318년]])}}}}}} || 중국 서진의 제4대 황제 [[민제(서진)|민제]] 사마업이 즉위 후 사용한 연호이다. [[오호십육국시대]] [[전량(오호십육국시대)|전량]]에서는 민제의 건흥 연호를 습용하여 361년까지 사용하였다. ==== 주요 사건 ==== * 건흥 원년(313년): 사마업 즉위, 건흥 연호 선포 * 건흥 4년(316년): 사마업이 유총에 의해 장안으로 압송됨 * 건흥 5년(317년): 사마예가 건강에서 황제로 즉위([[동진]]), 건무 연호 선포 === [[오호십육국시대]] [[성한]]의 초대 황제 무제 [[이웅(성한)|이웅]]의 [[연호]] (建興) === ||<-5><:><#cd7f32> '''[[성한|{{{#dde7e7 성한}}}]]{{{#dde7e7 의}}} [[연호|{{{#dde7e7 연호}}}]]'''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이특(성한)|경제]][br]건초(建初)[br]{{{-2 ([[302년]] ~ [[303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dde7e7 [[이웅(성한)|{{{#dde7e7 무제}}}]][br]건흥(建興)[br]{{{-2 ([[304년|{{{#dde7e7 304년}}}]] ~ [[306년|{{{#dde7e7 306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이웅(성한)|무제]][br]안평(晏平)[br]{{{-2 ([[306년]] ~ [[310년]])}}}}}} || [[중국]] 오호십육국시대 [[성한]]의 제3대 군주였던 [[이웅(성한)|이웅]]의 치세 중에 첫번째로 사용한 [[연호]]이다. === [[오호십육국시대]] [[후연]]의 초대 황제 성무제 [[모용수]]의 [[연호]] (建興) === ||<-5><:><#6f00ff> '''[[후연|{{{#fff 후연}}}]]{{{#fff 의}}} [[연호|{{{#fff 연호}}}]]'''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모용수|성무제]][br]연원(燕元)[br]{{{-2 ([[384년]] ~ [[386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fff [[모용수|{{{#fff 성무제}}}]][br]건흥(建興)[br]{{{-2 ([[386년|{{{#fff 386년}}}]] ~ [[386년|{{{#fff 396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모용보|혜민제]][br]영강(永康)[br]{{{-2 ([[396년]] ~ [[398년]])}}}}}} || [[중국]] 오호십육국시대 [[후연]]의 초대 황제였던 [[모용수]]의 치세 중에 두번째로 사용한 [[연호]]이다. === [[북송]]의 제3대 황제 [[진종(송)|진종]] 조항의 [[연호]] (乾興) === ||<-5><:><#2e8b57> '''[[북송|{{{#fff 북송}}}]]{{{#fff 의}}} [[연호|{{{#fff 연호}}}]]'''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진종(송)|진종]][br]천희(天禧)[br]{{{-2 ([[1017년]] ~ [[1021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fff [[진종(송)|{{{#fff 진종}}}]][br]건흥(乾興)[br]{{{-2 ([[1022년|{{{#fff 1022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인종(송)|인종]][br]천성(天聖)[br]{{{-2 ([[1023년]] ~ [[1032년]])}}}}}} || [[중국]] [[북송]]의 제3대 황제였던 [[진종(송)|진종]]의 치세 중 마지막으로 사용한 [[연호]]이다. 진종이 1022년을 원년으로 건흥 연호를 선포했지만 진종이 사망하였고, 뒤를 이은 진종의 태자인 [[인종(송)|인종]]이 1023년에 천성(天聖) 연호를 사용하였다. ==== 주요 사건 ==== * 건흥 원년(1022년): 건흥 연호 선포, 진종 사망, 진종의 태자인 인종이 황제로 즉위. [[분류:연호]][[분류:영양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