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신도시)] ||<-2> {{{-2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함경남도|{{{#white 함경남도}}}]]의 [[신도시|{{{#white 신도시}}}]]'''}}}[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북한|[[파일:북한 국장.svg|height=60]]]]||'''{{{+1 검덕지구[br]檢德地區}}}[br]{{{-2 Kŏmdŏk Mining Region}}}'''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검덕지구.jpg|width=100%]]}}} || ||<-2> {{{-1 '''▲ 검덕지구의 모습'''}}} || || '''소재지''' ||[[함경남도]] [[단천시]][br]{{{-2 금골1동 / 금골2동 / 대흥2동 / 백금산동 / 사오동 / 새복동 / 선광동 / 운천리 / 전진2동 / 증산리 / 탐사동 / 포거동}}} || ||<|2> '''조성'''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0001; font-size: .8em;" {{{#white '''착공'''}}}}}} [[2020년]] [[9월]]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0001; font-size: .8em;" {{{#white '''준공'''}}}}}} [[2020년]] [[11월]] (계속 건설 중) || || '''규모''' ||{{{-2 세대수}}} 2,300세대 이상 || ||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40.95274029797669%2c128.82283651563267, 너비=100%, 높이=250)]}}}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D1C27; color: white" '''검덕지구'''}}} {{{-2 ([[함경남도]] [[단천시]])}}}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의 [[신도시]]. [[함경남도]] [[단천시]]의 여러 동네에 걸쳐 있다. == 특징 == 검덕지구는 [[북한]] 최대의 [[납]], [[아연]] 생산지인 ''''검덕광산(檢德鑛業)\''''이 위치한 곳이며, 이 근방에는 일명 '[[백금산]]'이라고 불리는 ''''룡양광산(龍陽鑛山)\''''[* 북한 최고의 인기 드라마였던 <백금산>이 바로 이곳을 배경으로 한다.]과 ''''대흥광산(大興鑛山)\''''도 있는데 그곳은 세계적인 규모의 [[마그네사이트]] 생산지이다. [[단천시]]는 이것들 이외에도 [[금]], [[은]], [[몰리브데넘]], [[흑연]] 등 25종 이상의 광물이 매장된 곳이다. 북한 정권 입장에서는 신경을 안 쓰려야 안 쓸 수 없는 핵심지역이다. 그런데 [[2020년]] [[9월]] 초순에 [[태풍]] '[[마이삭(2020년 태풍)|마이삭]]'이 [[북한]]을 휩쓸고 갔고, 그로 인해 [[함경남도]] [[단천시]] 검덕지구는 수해를 입어서 동네가 엉망진창이 되었다.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0090431597|기사{{{-2 (한국경제)}}}]] 이로 인해 [[김정은]] [[조선로동당 총비서]]는 [[2020년]] [[9월 9일]]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확대회의를 주재하고 검덕지구에 대한 피해복구대책을 논의했으며, 이후 국가경제발전 5개년 계획 기간동안 매년 5천 세대씩 총 2만 5천 세대를 짓겠다는 계획에 따라서 검덕지구에 신축 주택들이 세워지게 되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00909009252504|기사{{{-2 (연합뉴스)}}}]] [[https://www.dailynk.com/20230330-2/|기사{{{-2 (데일리NK)}}}]] [[2020년]] [[10월 14일]]에도 김정은은 검덕지구에 현지시찰을 나와서 복구 현장을 돌아보는 등 신경을 썼다. [[https://www.yna.co.kr/view/AKR20201014009252504|기사{{{-2 (연합뉴스)}}}]] [[2021년]] [[6월]]에는 검덕광업련합기업소 금골광산 소속 광부에게 생일상까지 챙겨주기도 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614032100504|기사{{{-2 (연합뉴스)}}}]] [[2020년]] [[1월 27일]]에 사오동, 선광동, 전진2동, 증산리, 대흥2동, 운천리, 백금산동, 포거동, 새복동 등지에 2,300세대의 단층, 소층, 다층 주택과 공공건물, 공원이 세워졌다는 보도가 나왔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058224|기사{{{-2 (KBS)}}}]] [[https://www.yna.co.kr/view/PYH20201127004500042|사진#1{{{-2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PYH20201127035900013|사진#2{{{-2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PYH20201127035500013|사진#3{{{-2 (연합뉴스)}}}]] [[https://www.news1.kr/photos/view/?4500708|사진#4{{{-2 (뉴스1)}}}]] [[https://www.news1.kr/photos/view/?4500718|사진#5{{{-2 (뉴스1)}}}]] 하지만 [[2022년]] [[4월]]에 대다수 세대들이 상수도를 얻지 못해서 고생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https://www.dailynk.com/20220414-4/|기사{{{-2 (데일리NK)}}}]] 아파트는 2~3층까지, 단층집은 지대가 낮은 곳만 상수도 물이 겨우 나오고 있는 판이라 고층 주민들은 저층까지 가서 물을 길어야 했다고 하는데, 이 때문에 주민들의 원성이 이어지자 검덕지구기업소 후방부와 당위원회에서는 마을마다 1~2개의 공동 수돗가를 세웠다고 한다. 만성적인 자재와 자원, 설비 부족으로 제 마력의 양수기를 설치하지 못한 것도 있지만 [[속도전|빠른 완공에만 몰두한 나머지]] 세대수에 맞는 양수장을 제대로 짓지 못한 것이 주된 원인이다. [[2022년]] [[12월]]에도 탐사동, 백금산동, 대흥2동에 검덕광업연합기업소, 룡양광산, 대흥청년영웅광산 노동자들을 위한 주택이 새롭게 세워졌다는 보도가 나왔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1231009200504|기사{{{-2 (연합뉴스)}}}]] == 비판 == 아파트를 지을 때 뒤에 [[민둥산]]이 있고 낭떠러지 경사 바로 옆에 바짝 붙여 지은 데다가 심지어 상단 사진에서 볼 수 있듯 '''대놓고 경사가 가파른 민둥산 바로 위에다 아파트를 지어서''' [[산사태]]가 일어날 때 안전이 굉장히 우려되는데, 이에 대해 [[주성하]]는 "건축을 잘 모르는 제 눈으로 봐도 아예 건설에 대한 개념 자체가 없어 보였습니다."라고 비판했다. [[https://www.rfa.org/korean/weekly_program/joosungha/seoullife-02042022093142.html|기사{{{-2 (자유아시아방송)}}}]] 더구나 상단 사진의 맨 왼쪽 건물을 자세히 보면 '''나가면 바로 발밑이 낭떠러지다.''' 뿐만 아니라 살림집들을 깊은 산골짜기에 건설하다 보니 대부분이 음지에 있는 데다 교통도 상당히 불편한 것은 물론 [[장마당]]과도 거리가 멀고, [[부실공사]]도 심각하여 벽에 금이 갈 정도라고 한다. 게다가 북한에는 이렇다 할 건축물 안전진단 시스템이 없어 더욱 불안한 상황. 이 때문에 검포지구에 입주한 일부 주민들은 원래 살던 집을 보수해 사는 게 낫다고 할 정도다. [[https://www.dailynk.com/20230330-2/|기사{{{-2 (데일리NK)}}}]] [[분류:신도시]][[분류:함경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