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패러디]] [[분류:검볼(애니메이션)]] [목차] == [[개요]] == [[검볼(애니메이션)]]의 패러디와 오마주,언급을 시즌 별으로 정리한 글 == 시즌 1 == [[스네이크 온 어 플레인]]:1화 The DVD편에 나오는 영화 '기차에 탄 악어'의 모티브이다. [[스파이더맨]]:1화 The DVD편에서 근무하는 [[니콜 워터슨]]이 [[다윈 워터슨]]과 [[검볼 워터슨]]이 일을 냈다는 것을 직감적으로 알아차린 것은 스파이더맨의 스파이더 센스를 패러디한 것이다. [[24(드라마)]]:The end 편에서 보이는 카운트다운은 위 영화의 패러디다. [[대부(영화)]]:The end 편에서 검볼이 작중 "거절할 수 없는 제안을 할게요"라는 대사를 치는데 이는 영화 대부의 명대사를 패러디한 것이다. [[인디펜던스 데이]]:The end 편에서 하늘이 그림자에 의해 어두워지는 연출은 위 영화의 패러디다. [[타이타닉(영화)]]:The dress 편에서 다윈이 검볼을 그리는 장면은 위 작품의 패러디다. [[쥬라기 공원(영화)]]:The quest에서 티나가 영화를 간접적으로 언급한다. 조지 프리드리히 헨델의 초상화: The painting에서 [[스티브 스몰]]이 파손한 작품은 위 그림을 패러디 한 것이다. 영화 Operation Cue:The painting에서 다윈이 분 버블껌이 터진 후 위 영화의 폭발 장면이 소스로 쓰인다. 영화 리코민시오 다 트레:The Laziest에서 [[리차드 워터슨]]이 쓰레기를 보고 움직이라는 말을 하는 장면은 위 영화를 참조한 것이다. Ovilus:The Laziest 편에서 금전등록기 로봇의 목소리를 참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엑소시스트(영화)]]:The Ghost편에서 [[캐리 크루거]]에 빙의된 검볼이 천장에 붙어 있는 장면은 위 공포영화 패러디다. 베니 힐 쇼:The Mystery 편에서 다윈이 휴지를 신발에 붙이고 있는 장면은 위 작품의 참조다. The Parent Trap:The Prank 편에서 [[불효자|다윈과 검볼이 뗏목으로 리차드를 바다로 보내는]] 장면은 위 영화의 패러디이다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The kiss 편에서 검볼이 취한 동작은 어쌔신 크리드의 시그니처 동작의 패러디다. The Brady Bunch:The party 편에서 "레이첼,레이첼,레이첼."이란 대사가 나오는데 여기에서 인용된 것이다.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The Refund 편에서 래리가 닫히는 문 아래로 미끄러져 들어가 모자를 잡는 것은 위 시리즈의 패러디다. Where the Wild Things Are:The picnic 편에 숲 속에 사는 괴물이 다윈과 검볼을 잡아먹으려는 장면은 이 영화에서 따왔다. 웹캠 댄스 실패:The Secret 편에서 힙플롭이란 바이럴 영상은 위 밈의 패러디이다. Hip to Be Square:The genius 편에서 나오는 노래 You Gotta Think Big은 [[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의 음악인 Hip to Be Square의 패러디다. [[고스트버스터즈]]:The Poltergeist 편에서 리차드가 청소기로 유령을 잡으려고 하는 것은 위 작품의 패러디이다.[* 루이지 맨션 패러디란 말도 있다. ] [[빅(영화)]]:The Mustache 에피소드는 영화 빅의 패러디이다. 팝 록 [[도시전설]]:The Date 편에서 리차드가 이 도시전설을 언급한다.[* 팝 록 도시전설은 1970년대 도시전설로 팝 록스,즉 팝핑캔디와 탄산음료를 같이 먹으면 배가 터진다는 터무니없는 도시전설이다.] star wars kid:The Club 편에서 콜린이 빗자루를 휘두르는 바이럴 영상은 위 밈의 패러디다. [[던전 앤 드래곤]]:The Club 편에서 리차드와 펠릭스의 결투 중 위 게임이 많이 언급된다. [[배트맨]]:콜린, 펠릭스, 보버트, 오초가 도서관에 갈려고 할 때 부르는 주제가는 배트맨 주제가이다. [[백 투 더 퓨처 2]]:The Ape의 리차드가 미스 시미안의 앞 유리에 붙은 편지를 잡으려고 하는 장면은 위 작품의 패러디이다. [[소닉 더 헤지혹]]:The Ape 편의 리차드의 달리기 씬은 소닉 더 헤지혹을 패러디했다. The Big Lebowski:The Car에서 로빈슨이 워터슨 가의 차를 부수는 장면은 영화 The Big Lebowski의 패러디다. [[월스트리트 저널]]:로빈슨이 읽던 톨 스트리트는 월스트리트 저널의 패러디다. [[파이널 데스티네이션]]:교실과 고속도로에서 불운을 피하려고 노력하는 검볼의 이야기를 담은 에피소드 The Curse는 영화 파이널 데스티네이션에 대한 오마주이다.--이상하게 성인 영화 패러디ㆍ오마주가 많은 만화-- [[디즈니랜드|저작권 왕국]]:The Curse 편에서 데이지랜드는 유명한 놀이공원인 디즈니랜드를 패러디한 것이다. [[블롭(영화)]]:에피소드 The Microwave는 블롭의 패러디이다. [[반지의 제왕]]:The Helmet 에피소드는 에피소드 자체가 반지의 제왕 패러디이다. [[인디아나 존스와 최후의 성전]]:The Helmet 편에서 헬멧을 잡으려는 검볼의 모습은 인디아나 존스의 패러디이다. == 시즌 2 == [[미러스 엣지]]의 [[페이스 코너스]]:The Remote 편에서 [[니콜 워터슨|니콜]]이 건물에서 다른 건물로 뛰어 내리는 장면은 미러스 엣지의 페이스 코너가 다른 건물로 착지하는 모션의 패러디다. [[13구역]]:The Remote 편에서의 전투씬은 위 영화의 패러디이다. [[유주얼 서스펙트]]:The Remote 편에서 [[아나이스 워터슨|아나이스]]의 계획과 결말은 위 작품의 패러디이다. [[스타워즈: 제국의 역습]]:The Remote 편에서 [[아나이스 워터슨|아나이스]]가 --니콜을 제외한-- [[검볼 워터슨|가]][[다윈 워터슨|족]][[리차드 워터슨|들]]에게 [[니콜 워터슨|엄마]]가 새 리모컨을 샀다며 희망이 있다고 말하는 장면은 위 작품의 패러디이다. [[마녀 배달부 키키/애니메이션]]: The Colossus 편에서의 빗자루 씬은 위 작품 오마주다. [[오자마녀 도레미]]:The Colossus에서 빗자루를 탄 다윈의 자세는 오자마녀 도레미 시리즈의 후지와라 하즈키의 패러디다. [[Shadow of the Colossus]]:검볼이 [[헥토르]]에게 올라탄 후 떨어지는 장면은 위 작품을 오마주했다. [[패밀리 가이]]:The Knights에서 [[토비아스 윌슨|토비아스]]가 발이 문에 끼이고 위 작품에서 캐릭터 무릎 다친 후의 씬을 패러디했다. 비하인드 에너미 라인:The Fridge 편에서 [[다윈 워터슨|다윈]]이 페인트 덫을 밟고 검볼에게 떠나라고 말하는 장면은 위 작품의 오마주이다. [[프레데터 1]]:The Fridge 편에서 얼굴에 물감을 색칠하는 씬과 정글 씬은 이 작품의 패러디다. [[스타워즈: 제국의 역습]]:The Fridge 편에서 니콜이 검볼에게 승자가 되라고 말하는 장면은 위 영화 패러디다. [[몬티 파이튼의 성배]]:The Flower 편에서 페니가 다가오는 검볼을 보는 장면은 영화 몬티 파이튼과 성배의 한 장면의 오마주다. [[엑소시스트 시리즈]]:The Flower 편에서 캐리, 페니, 다윈, 레슬리가 검볼에서 질투를 퇴치하는 부분은 위 작품의 오마주다. [[루이지 맨션]]과 [[고스트버스터즈]]:에피소드 The Flower에서 진공청소기를 들고 있는 레슬리는 루이지 맨션과 고스트버스터즈의 패러디이다. [[킬 빌]]:에피소드 The Banana에서 바나나 조의 휘파람 테마는 영화 킬 빌을 오마주한 것이다. [[스페이스 인베이더]]:에피소드 The Phone 전투씬은 위 게임을 참고했다. Killer Instinct[* 오리지널 Killer Instinct는 1994년에 아케이드 용으로 출시된 격투 게임이다.]:에피소드 Phone의 콤보 브레이커이 위 작품 패러디다. [[오멘(영화)]]:The Job 에피소드에서 오멘의 오마주가 많다. The Master and Margarita:에피소드 Halloween에서의 유령 파티는 위 작품에 나오는 악마의 자정 무도회를 참고한 것이다. [[폴터가이스트]]:에피소드 Halloween에서 집이 소용돌이에 빨려 들어가는 장면은 영화 <폴터가이스트>의 패러디이다. [[젤다의 전설]]:에피소드 The Treasure에서 굴뚝에서 빛이 솟아 오를 때 젤다의 전설 효과음을 오마주했다. [[싸인(영화)]]:에피소드 The Treasure에서의 옥수수밭에서의 추격 씬은 위 영화의 오마주다. International Star Registry:에피소드 The Treasure에 나오는 Stellar Corporation는 International Star Registry[* 별을 상품으로 파는 회사로 유명하다.]를 패러디한 것이다. [[레귤러 쇼|옆집]] [[모디카이|새와]] [[릭비|너구리]][* 너구리는 아니고 라쿤이다.]:에피소드 The Apology에서 다윈과 검볼이 떨어진 지폐를 발견하고 "OOOOOOOOOHHHHHHHHHHHH!"라고 말하는데 이는 레귤러 쇼의 패러디다.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에피소드 The Words에서 검볼과 다윈의 결투[* --사실상 말싸움이다.--]는 스트리트 파이터 패러디이다.[* 검볼의 승리 대사는 춘리를 연상시키고 다윈의 대사는 엠 바이슨을 연상시킨다.] [[스타 트렉]]:에피소드 The Skull에서 클레이톤이 스타 트렉의 기술 Vulcan 신경 핀치와 유사한 공격으로 [[갈취|삥을 뜯는]] 티나를 쓰러뜨린다.--[[구라|라는 퍽이나 속을 것 같은 거짓말을 한다.]]-- [[터미네이터1]]:The Bet에서 시청자가 검볼을 공격하는 보버트의 관점을 보여주는 장면은  터미네이터 영화를 참조한 것이다. [[쏘우 시리즈]]:에피소드 The Bet에서 보버트의 카울트 다운에서 검볼이 다윈을 책장에서 꺼내는 장면은 쏘우 시리즈의 패러디다. Blue Mountain State:에피소드 The Bet에서 검볼이 엉덩이로 꽃을 집어 들고 운동장을 가로질러 가는 장면은 위 작품 패러디다.[* Blue Mountain State에서는 [[오레오]]라는 차이가 있다.] [[펄프 픽션]]: 에피소드 The watch에서 Richard가 Gumball에게 시계의 역사를 설명하는 오프닝 장면은 Pulp Fiction의 오마주다. [[How the Grinch Stole Christmas]]:에피소드 The watch에서 마빈의 사악한 미소는 How the Grinch Stole Christmas 표지를 참고한 것이다. 언더커버 브라더[* 미국의 코미디,액션 영화.말콤 D.리의 2002년작]:에피소드 The watch에서 [[스쿠터]] 씬은 위 영화 패러디다. [[지구 평면설]]:에피소드 The Bumpkin를 보면 아이다호가 지구가 평평하다고 믿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탈리안 잡]]:에피소드 The Bumpkin에서 워터슨 가족이 배수 터널을 통과하는 장면은 위 영화를 참고한 것이다. [[젤다의 전설]]:에피소드 The Flakers에서 다윈이 플레이하고 있는 게임 이름이 젤모어의 전설이다. [[장미의 전쟁]]:에피소드 The Flakers에서 다윈과 검볼이 서로 뺨을 때리는 것은 위 작품 패러디다. 스모키 앤 더 밴디트:에피소드 The Flakers에서 리차드가 세미 트럭 아래로 차를 몰고 지붕이 찢어지는 장면은 1977년 영화 Smokey and the Bandit 을 참고한 것이다. [[벤 10]]:에피소드 The Flakers에서 검볼이 자판기 안에 갇히는 부분은 Ben 10의 단편 에피소드 Snack Break를 참고한 것이다. [[세서미 스트리트]]:에피소드 The Virus에서 검볼의 바이러스를 보여주는 에피소드 시작 부분에서 검볼의 털은 다음 작품에 나오는 그로버의 털과 비슷해 보입니다. Reggie Fils-Aime:에피소드 The Virus에서 해당 밈이 패러디된다. Maximum Overdrive:에피소드 The Virus에서 바이러스가 자동차를 제어하는 장면은 이 영화의 패러디이다. [[나이트메어(1984)]]:에피소드 The Pony에서 캐리가 빌리려고 했던 영화 DVD는 Night-Mare On Elmore Street이다. [[마이 리틀 포니]]:에피소드 The Pony에서 나오는 캐리가 영화 포니 테일을 조랑말의 마법 같은 우정이라며 설명하는더 이는 마이 리틀 포니 언급이다. [[달 착륙 음모론]]:에피소드 The Hero에서 검볼이 이 음모론을 언급한다. [[인셉션]]:에피소드 The Dream에서 꿈에서의 5일이 현실에서는 몇 초 밖에 안된다는 컨셉은 인셉션의 설정을 가져온 것이다. [[비지터 시리즈]]:에피소드 The photo에서 수시가 조명을 "밤"과 "낮"으로 바꾸는 것은 프랑스 컬트 영화 Les Visiteurs 에 대한 패러디다. [[용쟁호투]]:에피소드 The photo에서 바나나 조가 자신의 껍질을 쌍절곤 처럼 휘두르는데 이는 위 영화를 패러디한 것이다. [[저스틴 비버]]의 Baby:The Tag 편에서 검볼과 다윈이 로빈슨에게 라디오를 틀겠다고 협박한 다음 재생하는 노래는 Justin Bieber의 Baby를 패러디한 것이다 . [[쏘우 시리즈]]:에피소드 The Tag에서 리차드와 로빈슨을 쓰레기통에 갇히게 하고 탈출하기 위해 강제로 퍼즐을 풀게 하는 장면은 쏘우 시리즈를 참고한 것이다. [[Double Dream Hands]]:에피소드 The Storm에서 다윈과 페니가 취하는 동작은 Double Dream Hands를 패러디한 것이다. The Other Guys:에피소드 The Lesson에서 다윈과 검볼이 옥상에서 뛰어 내리지만 땅에 얼굴을 박는 장면은 위 영화 패러디다. [* [[델마와 루이스]] 패러디라는 말도 있다.] [[스타워즈: 제국의 역습]]:에피소드 The Lesson에서 검볼이 다스 베이더 성대모사를 한다. [[쥬만지]]:에피소드 The Game에서 나오는 보드게임은 쥬만지에 나오는 게임이랑 비슷하다. [[더 씽(1982)]]:에피소드 The Game에서 피자로 위장한 괴물이 창문으로 나가는데 괴물의 모습은 더 씽의 괴물과 비슷하다. [[쥬라기 공원]]:에피소드 The Limit에서 리차드가 격분한 니콜을 TV로 페이크를 친다. [[다크나이트(영화)]]:에피소드 The Limit에서 니콜의 분장은 조커를 닮았다. JG Quintel[* [[레귤러 쇼]]의 창시자]:The Voice 편에서 다윈이 기른 머리 스타일은 JG Quintel의 머리 스타일을 기반한 것이다. [[핀과 제이크의 어드벤처 타임]]의 에피소드 The Silent King:에피소드 The Voice에서 검볼이 다윈을 옷으로 입는다.[* 말 그대로 다윈을 옷으로 입는다.]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에피소드 The Voice에서 숲 속 동물이 다윈에게 모인다. [[젤다의 전설]]:에피소드 The Promise에서 나오는 The Tale of Zelmore은 젤다의 전설의 패러디다. [[브레이킹 배드]]:에피소드 The Promise에서 끝에 있는 바나나 조의 종은 브레이킹 배드를 참고한 것이다. [[코나미 코드]]:에피소드 The Tape에서 오초의 치트 코드는 "위, 위, 아래, 아래, 왼쪽, 오른쪽, 왼쪽, 오른쪽, B, A"이다. [[마리오 시리즈]]:에피소드 The Tape에서 오초의 치트 코드 중 하나는 ? 블록을 소환하는 것이다.또 하나는 슈퍼스타를 먹었을 때의 효과를 일으키는 코드도 있다. Baby Alive:에피소드 The Tape에서 나오는 워터슨 가의 Baby Anais는 위 광고를 참고한 것이다. [[람보(영화)]]의 [[존 람보]]:에피소드 The Tape에서 나오는 검볼은 존 람보를 코스프레했다. [[BBC Earth]] 등 BBC 다큐멘터리:에피소드 The Tape에서 검볼이 영국식 억양으로 [[페이크 다큐멘터리]]를 찍는다. [[가라테 키드]]:에피소드 The Sweaters는 [[가라테 키드]]의 패러디이다. Kaffee[* 독일의 커피 회사]의 광고:에피소드 The Internet에서 검볼이 시청한 비명을 지르는 영상은 위 광고와 유사하다. [[터미네이터 시리즈]]:에피소드 The Internet에서 검볼이 몰카 당할 때 터미네이터가 과거로 이동할 때와 똑같이 폼을 잡는다. [[1984(소설)]]:에피소드 The Internet에서 '인터넷이 당신을 지켜보고 있다'라는 제목의 포스터가 나온다. [[코난 더 바바리안]]:에피소드 The Plan에서 야만인 크루포크 액션 피규어는 위 캐릭터 패러디다. [[백 투 더 퓨처]]:에피소드 The Plan에서 검볼이 아나이스와 다윈의 테이저건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의 아래에 베개가 있었다고 말하는는 장면은 위 영화의 패러디다.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에피소드 The World에서 달,지구,태양이 등장하는 장면은 위 영화의 오마주다. 트램프스의 Also sprach Zarathustra:에피소드 The World에서 소시지의 대사 중 하나인 "Burn baby, burn"은 위 노래의 인용이다. [[어노잉 오렌지]]:에피소드 The World에서 전등 스위치가 전구를 갈구는 방식은 위 작품의 주연들과 비슷하다. [[GTA 시리즈]]:에피소드 The Finale에서 리차드가 위 시리즈의 차를 강탈하는 모션과 비슷하게 게리의 버스를 빼앗는다. [[심슨 가족]]:에피소드 The Finale에서의 버스 번호판에 'Otto 24'라고 적혀 있는데 심슨의 스쿨버스 기사 Otto Mann에서 따왔다. == 시즌 3 == [[테이큰]]:에피소드 The Kids에서의 패트릭과 검볼의 전화는 [[테이큰]]의 패러디다. [[반지의 제왕]]:에피소드 The Kids에서의 버스 운전자는 얼굴이 김리하고 똑같이 생겼다. [[오스틴 파워]] 제로:에피소드 The Kids에서 다윈이 소리 조절을 못하겠다고 하는 장면은 위 영화 패러디다. [[패밀리 가이]]:에피소드 The Fan에서 사라가 변동 없이 웃으면서 노래를 부른다. [[불의 전차]]:에피소드 The Coach에서 코치가 흥얼거리며 부르는 노래는 위 영화 테마곡이다. [[1988 서울 올림픽]]:에피소드 The Coach에서 코치가 위 올림픽에서 태권도로 금매달을 딴 적이 있다고 한다. [[1996 애틀랜타 올림픽]]:에피소드 The Coach에서 코치가 위 올림픽도 금매달을 땄다고 한다.[* 거짓말일 가능성도 있다.] 다이어리 오브 데드:에피소드 The Joy의 연출은 다이어리 오브 데드랑 비슷하다. [[V/H/S]]:에피소드 The Joy의 연출은 위 영화와 유사하다. [[팀 포트리스 2]]:에피소드 The Joy에서 시미안이 검볼과 다윈에게 기침약을 던진다. [[레프트 4 데드]]:에피소드 The Joy에서 감염된 뒤돌아서 아니이스가 우는 척 해 시미안을 유인하는 장면이 있다. [[스타워즈 키드]]:에피소드 The Joy에서 브라운 교장이 빗자루를 휘두르는 장면은 위 밈의 패러디다. [[헌티드 맨션]]:에피소드 The Joy에서 검볼이 얼굴을 돌리는 장면은 위 어트랙션을 참고한 것이다. [[클로버필드]]:에피소드 The Joy의 홈 캠 씬은 위 영화를 참고했다. [[죠스]]:에피소드 The Puppy에서 사악한 거북이가 호수에서 몸을 드러낼 나는 테마곡은 죠스의 패러디다. La Cucaracha:에피소드 The Puppy에서 워터슨 가의 자동차 경적 소리가 위 민요다. [[터미네이터 1]]:에피소드 The Puppy의 화염 속에서 나오는 사악한 거북이는 터미네이터 1을 연상시킨다. [[프레데터 1]]:에피소드 The Puppy에서의 적외선 탐지로 적을 판별하는 사악한 거북이는 위 영화의 참고다. [[한니발]]의 [[한니발 렉터]]:에피소드 The Puppy에서의 사악한 거북이의 웃음소리는 한니발 렉터의 웃음과 비슷하다. [[더 울프 오브 월 스트리트]]:에피소드 The Puppy 초반의 프레젠테이션은 위 영화와 유사하다. [[좋은 아들]]:에피소드 The Recipe에서 앤트투와 앤트원이 다이빙 보드 위의 검볼을 붙잡고 있는 씬은 위 영화를 참고한 것이다. [[다이 하드]]:에피소드 The Recipe에서의 앤트원이 죽는 장면은 위 영화를 참고한 것이다. [[오즈의 마법사(영화)]]:에피소드 The Recipe에서 죽어가고 있는 안톤 클론들 중 하나가 자신이 녹고 있다고 비명을 지른다.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3]]:에피소드 The Name에서 아나이스가 신은 신발은 위 게임의 신발 [[굼바]]의 신발과 똑같다. [[백 투 더 퓨쳐]]:에피소드 The Name에서 검볼이 서서히 흐려지며 사라지려고 하는 장면이 있다. [[해리포터와 비밀의 방]]:에피소드 The Name에서 잭이 빛을 내며 죽는다.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에피소드 The Gripes에서 다윈이 노래를 부르는 동안 동물의 도움을 받는 것은 위 애니메이션을 참고한 것이다. Rat king[* 쥐 꼬리가 서로 엉키는 현상을 말한다.]:에피소드 The Gripes에서 쥐들 꼬리가 엉킨다. [[싸이코(영화)]]:에피소드 The Vacation은 싸이코와 주제가 비슷하다. [[힐즈 아이즈]]:에피소드 The Vacation은 위 영화랑 줄거리가 유사하다. [[텍사스 전기톱 학살]]:에피소드 The Vacation은 위 영화랑 줄거리가 비슷하다. [[스트리트 파이터]]:에피소드 The Vacation에서 니콜이 리차드를 실수로 때릴 때 춘리의 공격 모션과 비슷하다. [[탱크맨]]:에피소드 The Fraud에서 스몰이 탱크맨 흉내를 낸다. == 시즌 4 == == 시즌 5 == == 시즌 6 == == 관련 문서 == == 그외 패러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