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게리 글로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SSG 랜더스 외국인 선수)] ---- [include(틀:SSG 랜더스 개막전 선발 투수)] ---- ||
'''{{{#ffffff 게리 글로버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br][[파일:SK 와이번스 우승 엠블럼 V3.svg|width=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2010년 한국시리즈|{{{#ffffff 2010}}}]]''' || ---- ||<-5> '''[[SK 와이번스|{{{#fff SK 와이번스}}}]] {{{#fff 등번호 59번}}}''' || || [[크리스 니코스키|니코스키]](2009) || → || '''글로버(2009~2011)''' || → || [[마리오 산티아고|마리오]](2012) ||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ge/020/2009/11/09/23977950.2.jpg|width=100%]]}}} || ||<-2> [[SK 와이번스]] 시절 || ||<-2> '''{{{+2 존 개리 글로버}}}[br]John Gary Glover''' || || '''생년월일''' ||[[1976년]] [[12월 3일]] ([age(1976-12-03)]세) || ||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출신지''' ||[[오하이오|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 || || '''학력''' ||딜랜드 고등학교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신체''' ||196cm, 90kg || || '''프로입단''' ||1999년 [[토론토 블루제이스]] 15차 지명 || || '''소속팀''' ||[[토론토 블루제이스]] (1999) [br][[시카고 화이트삭스]] (2001~2003) [br][[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 (2003) [br][[밀워키 브루어스]] (2004~2005) [br][[요미우리 자이언츠]] (2006) [br][[탬파베이 레이스]] (2007~2008) [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 (2008) [br]'''[[SK 와이번스]] (2009~2011)''' [br][[마이애미 말린스]] (2012)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한국프로야구]] [[SK 와이번스]] 소속의 [[외국인 선수|외국인 투수]], [[2009년]] [[6월 21일]] 부진을 겪던 [[크리스 니코스키]]를 방출하고 데려온 선수다. == 선수 경력 == === 미국 시절 === 1994년에 신인 드래프트 15라운드에서 [[토론토 블루제이스]]에 지명된 후 마이너에서 담금질을 거치다가 1999년 9월 30일 [[토론토 블루제이스]] 소속으로 메이저리그에 데뷔했다. [[시카고 화이트삭스]], [[애너하임 에인절스]], [[밀워키 브루어스]]를 거쳤다. 시삭스 시절엔 중간계투로 나오다 4선발까지 치고 올라가는 데 성공했고, 밀워키 시절엔 주로 땜빵용 선발로 뛰었다. === 일본 시절 === 2006년 시즌을 앞두고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계약하면서 일본프로야구에서 뛰게 되었다. 주로 [[선발투수]]로 뛰면서 5승 7패 평균자책점 4.97을 기록했다. [[이승엽]]이 요미우리에서 한창 활약하던 시기였기 때문에 이 시기에 일본프로야구를 본 국내 야구팬들은 글로버를 여기서 처음 본 사람이 꽤 많았을 것이다. 전반기에는 부진했으나 후반기엔 안정된 투구 내용을 보였다.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감독은 글로버를 7일 로테이션에 맞춰 선발 등판시켰는데, 이 때문에 등판일이 매주 [[일요일]]로 고정되었다. 덕분에 교진 팬들로부터 '미스터 선데이'란 별명을 얻었다. 하지만 시즌 종료 후 요미우리와 재계약에 실패하며 1시즌 만에 일본 무대를 떠났고, 미국으로 돌아간 뒤 [[탬파베이 레이스]]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었다. 굳이 탬파베이와 계약을 맺은 이유는 플로리다에 있는 자기 집과 탬파가 가까웠기 때문이기도 했다. === 미국 복귀 후 === 2007년 시즌 개막 직전 25인 로스터에 합류하며 메이저리그에서 시즌을 시작했고, 불펜 투수로 나와 6승 5패 2세이브, 평균자책점 4.89로 괜찮은 모습을 보여줬다. 하지만 2008년 시즌 개막 후 부상을 당하면서 전력 외로 분류, 그해 8월 방출당하고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와 마이너 계약을 맺었다. 이해 막판에 빅리그로 잠시 콜업되어 1승 1패, 평균자책점 4.43을 기록하고 시즌 후 자유계약선수가 되었다. 그리고 2009년, [[워싱턴 내셔널스]]와 [[플로리다 말린스]] 산하 마이너리그에서 뛰던 글로버는 6월 21일 [[SK 와이번스]]와 입단 계약을 맺으며 한국으로 오게 되었다. 여담으로 이 영입은 [[이만수]] SK 수석코치와의 인연 덕분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2001년부터 03년까지 이만수 코치와 글로버가 함께 시카고 화이트삭스에 있었을 때 두 사람이 교회에서 만나 친구가 되었다고 한다. 덧붙여 글로버가 이 코치의 강한 설득을 듣기 전까지 한국으로 오기를 주저했던 이유는 다름 아닌 [[전쟁]]에 대한 불안감 때문이었다고. 2009년까지 메이저리그 통산성적은 29승 26패, 평균자책점 5.03이다. === [[SK 와이번스]] 시절 === ==== 2009년 ==== [[2009년]] 당시 처음에 계약했던 마이크 존슨과 [[크리스 니코스키]]가 모두 시망해버린 SK는 존슨 대신 [[카도쿠라 켄]]을, 그리고 니코스키를 대신할 선수로 글로버를 데려왔다. 계약 후 "팀의 세 번째 우승에 기여하고 싶다."는 소감을 밝힌 글로버는 선발 요원으로 투입되어 매 경기마다 호투를 하며 [[김광현]]이 손등 골절로 이탈한 팀의 1선발 역할을 해내면서 105.2이닝을 던져 9승 3패 1세이브, 평균 자책점 1.96의 엄청난 성적을 내며 시즌 막판 팀의 19연승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시즌 막판 [[김성근]]에게 굴려지며 한국시리즈 7차전에 가서는 주사까지 맞는 등 [[http://mlbpark.donga.com/mlbpark/b.php?m=search&p=1&b=kbotown2&id=3222626&select=sct&query=%EA%B8%80%EB%A1%9C%EB%B2%84&user=&reply=|혹사를 당했다]]. ==== 2010년 ==== 2009시즌 후 SK와 재계약하며 2010년에도 SK에서 뛰게 되었지만, 초반부터 발쪽 부상으로 인해 부진이 계속되었다. 2군으로 내려가 부상과 구위 회복에 주력하다 [[2010년 한국시리즈]] 엔트리에 합류했다. 2010년 한국시리즈 1, 2, 3차전은 등판하지 않았다가 팀이 시리즈 전적 3승으로 앞선 [[2010년]] [[10월 19일]] 열린 [[삼성 라이온즈]]와의 2010년 한국시리즈 4차전에 [[선발 투수]]로 등판하여, 4이닝 52투구수 1피안타 1볼넷 2탈삼진 무실점으로 삼성 타선을 막아내어 이날 [[SK 와이번스]]의 스코어 4:2 승리와 세 번째 우승에 기여했다. 시즌 성적은 22경기 105이닝 6승 8패, 평균 자책점 5.66으로 부진했지만 한국시리즈와 대만과의 클럽 챔피언십 경기에서 부활 가능성을 보이주며 카도쿠라와는 달리 팀 잔류에 성공해 SK에서 세 번째 시즌을 보내게 되었다. ==== 2011년 ==== [[파일:attachment/f0018314_4e1dbd84d26c7.jpg]] 2011년엔 [[윤석민상|호투를 해도 정작 자신은 승리투수가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김광현과 [[송은범]]의 부진으로 2011시즌 SK 선발진의 유일한 희망이었으나 8월 28일 KIA전 어깨 통증으로 이승호가 선발 투수로 등판하였다. 이후 제대로 역할을 다 하지 못하며 포스트 시즌 엔트리에 들지 못했고, 결국 11월 30일 보류선수 명단에서 제외되며 방출이 확정되었다. 시즌 성적은 24경기 121이닝 7승 6패 평균 자책점 4.24를 기록하였다. 3시즌 동안 한국 프로야구에서의 통산 성적은 66경기 331.2이닝 22승 17패 1세이브 평균 자책점 3.96이다. === 이후 === 이후 미국으로 돌아가 [[마이애미 말린스]]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어 스프링캠프에 초청자격 선수로 뛰게 되었다. 다만 선수층이 얇았던 플로리다 시절과는 달리 말린스는 지름신이 내린 이후 전력을 충분히 보강했기 때문에 빅리그 로스터에 비집고 들어가기는 결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였고, 결국 2012년 11월 방출되었다. 그리고 2019년 [[2019 프리미어 12]] 대회에 [[신시내티 레즈]]의 [[https://www.linkedin.com/in/gary-glover-3742baa8/%7Bcountry%3Dkr%2C+language%3Dko%7D?trk=people-guest_profile-result-card_result-card_full-click|스카우터]] 자격으로 이날 캐나다와의 C조 4경기에 선발 등판한 [[김광현]][* FA 계약 2년 포함 SK 구단이 보류권을 3년 보유한 상태이나 11월 9일 구단주의 구두 약속에 따라 메이저리그 도전 의사를 밝혔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80&aid=0000001331|#]]]을 보러 왔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1&aid=0011197744|#]][* 게리 글로버는 2010년 김광현이 노히트노런에 아웃카운트 하나 남기고 실패했던 날, "분명 심적으로 힘들었을 것이다. 아직 어리니 분명 기회가 온다고 본다. 광현이를 보면 언젠가 내가 은퇴 후 소파에서 맥주 마시며 메이저리그 경기를 볼 때 광현이 피칭을 보는 것을 상상한다" 라는 덕담을 남겼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09&aid=0002112275|#]]] == 플레이 스타일 == 기존에 가지고 있던 포심-슬라이더-커브와 함께 한국에 와서 포크볼을 장착해 재미를 보고 있다. 제구력이 뛰어나고 직구와 변화구의 적절한 조합으로 타자와 승부하는 스타일이다. 포수 [[정상호]]와 유난히 궁합이 잘 맞는다. 실제로 성적을 봐도 다른 포수와 배터리를 맞추었을 때보다 정상호와 맞추었을 때 성적이 좋다. == 여담 == [[SK 와이번스]] 팬들 사이에선 '글느님', '네잎글로버'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물론 못할 땐 짤없이 글레기로 격하됐다. 아예 팀 융합을 하다못해 팀과 한 몸이 될 정도의 적응력을 보였다. 오죽하면 선수들 사이에서 불렸던 호칭이 '로버 형'. [[카림 가르시아]]의 10대 1 인터뷰에서 [[S♡NE|소원]] 인증을 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76&aid=0002028766|인터뷰]] >―'''난 한국에서 [[소녀시대]]가 제일 좋다. 넌 어떤 아이돌 걸 그룹이 제일 좋은가.'''(SK 글로버) >▶(웃으며) 나도 물론 [[소녀시대]]가 좋다. 지금은 소녀시대가 최고 아닌가. 만약 그들이 저녁 먹으러 가자고 하면 무조건 뛰어나갈 것이다.(가르시아) [[http://bm.gametree.co.kr/_Files2/CommunityAttach/GMTalk/2014/01/16/7bba61be.jpg|프야매에 따르면 SK 와이번스의 레전드라고 한다]]. [[프로야구 매니저|프야매]]에서 SK는 [[쌍방울 레이더스]]와 팀컬러를 공유하는데, 쌍방울의 성적이 저조했고 SK의 팀 역사가 길지 않아서 레전드로 올릴 카드가 없어 발생한 촌극이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 [[야구 관련 인물(NPB)]] * [[야구 관련 인물(KBO)]] * [[외국인 선수/역대 프로야구]]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외국인 선수(야구)]][[분류:클리블랜드 출신 인물]][[분류:1976년 출생]][[분류:1999년 데뷔]][[분류:2012년 은퇴]][[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토론토 블루제이스/은퇴, 이적]][[분류:시카고 화이트삭스/은퇴, 이적]][[분류: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은퇴, 이적]][[분류:밀워키 브루어스/은퇴, 이적]][[분류:요미우리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탬파베이 레이스/은퇴, 이적]][[분류:디트로이트 타이거스/은퇴, 이적]][[분류:SK 와이번스-SSG 랜더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