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겐지모노가타리)] [목차] == 개요 == 세계 최초의 소설 [[겐지모노가타리]]를 원작으로 하는 [[일본 애니메이션]]. == [[겐지모노가타리/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겐지모노가타리/등장인물)] == 1987년 극장판 == [[스기이 기사부로]]가 감독을 맡았으며, [[1987년]] [[12월 19일]] 개봉하였다. == 2009년 TVA == ||<-5> '''[[후지TV|{{{#black 후지TV}}}]] [[노이타미나|{{{#black 노이타미나}}}]] 방영작''' (2009년 1분기) || || [[노다메 칸타빌레/애니메이션#s-2|노다메 칸타빌레 파리편]] || → || '''겐지 이야기 천년기 Genji''' || → || [[동쪽의 에덴]] || ||<-2>
{{{#373a3c,#dddddd '''{{{+1 겐지 이야기: 천년기}}}''' (2009)[br]源氏物語千年紀 Genji}}}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겐지모노가타리_애니.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373a3c,#dddddd 원작}}}''' ||[[무라사키 시키부]] || || '''{{{#373a3c,#dddddd 감독}}}''' ||[[데자키 오사무]] || || '''{{{#373a3c,#dddddd 조감독}}}''' ||[[쿠와바라 사토시]] || || '''{{{#373a3c,#dddddd 시리즈 구성}}}''' ||콘파루 토모코(金春智子)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2>[[스기노 아키오]] || || '''{{{#373a3c,#dddddd 총 작화감독}}}'''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코노 지로(河野次郎) || || '''{{{#373a3c,#dddddd 색채 설계}}}''' ||이토 준코(伊藤純子) || || '''{{{#373a3c,#dddddd 촬영 감독}}}''' ||나카무라 케이스케(中村圭介)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야마다 치아키(山田知明) || || '''{{{#373a3c,#dddddd 음악 감독}}}''' ||스즈키 세이지(鈴木清司) || || '''{{{#373a3c,#dddddd 음악}}}''' ||S.E.N.S. Project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우카이 코지(鵜飼浩史)[br]하시모토 신타로(橋本信太郎)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TMS 엔터테인먼트|[[파일:TMS 여친, 빌리겠습니다 로고.png|width=65]]]][br][[데즈카 프로덕션|[[파일:데즈카 프로덕션 로고.png|height=20]]]] || || '''{{{#373a3c,#dddddd 제작}}}''' ||Genji [[제작위원회]]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09년 1월|2009. 01. 16.]] ~ 2009. 03. 27.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후지 테레비|[[파일:후지 테레비 로고 가로형.svg|height=16&theme=light]][[파일:후지 테레비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노이타미나|[[파일:노이타미나로고.png|width=60]]]] ) / (금) 00:45[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플러스|[[파일:애니플러스 로고.svg|width=90]]]]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22분 || || '''{{{#373a3c,#dddddd 화수}}}''' ||11화 || || '''{{{#373a3c,#dddddd 국내 심의 등급}}}'''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19세 이상 시청가}}}]] || ||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http://genji-anime.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2009년 1월 [[데자키 오사무]] 감독에 의해 '겐지 이야기 천년기 Genji(원제 : 源氏物語千年紀 Genji)'라는 제목으로 애니화되었다. 캐릭터 디자인, 총 작화감독은 [[스기노 아키오]]. [[노이타미나]]에서 방영되어 총 11화 완결이며, 원래는 위의 야마토 와키의 만화를 토대로 애니화할 계획이었지만 감독 데자키가 조금 더 원작에 충실한 겐지 애니화를 제안하면서 계획이 변경되었다. 원작이 원작인지라 지상파 방영작 치고는 수위도 꽤 높은 편이다.[* 그나마 유두 노출은 안 나오지만.] 참고로 데자키 감독의 '''[[유작|마지막 작품]]'''이며 겐지의 스마 유배까지만 다뤘다. 그래서 무라사키노우에는 와카무라사키로 불리던 시점 및 나레이션 역할로만 등장하고 후지츠보의 비중이 높다. === 주제가 === ||<-2>
'''{{{#373a3c,#dddddd OP[br]日和姫}}}'''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PUFFY || || '''작사''' ||<|3> [[시이나 링고]]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연출''' || [[쿠와바라 사토시]]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2>
'''{{{#373a3c,#dddddd ED[br]恋}}}'''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아타리 고스케]](中 孝介) || || '''작사''' || 코바야시 나츠미(小林夏海) || || '''작곡''' || 하마모토 히로유키(ハマモトヒロユキ) || || '''편곡''' || 코노 신(河野 伸)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연출''' || [[쿠와바라 사토시]]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회차 목록 === * 전편 콘티 : [[데자키 오사무]] * 전편 총 작화감독 : [[스기노 아키오]] ||
'''회차''' || '''제목''' || '''각본'''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1 || 光る君 ||<|4> 콘파루 토모코[br](金春智子)[br][[데자키 오사무]] || 나가오카 요시타카[br](長岡義孝) || [[히라야마 사토시]][br]사이토 히로노부[br](斎藤浩信)[br]호소노 아케미[br](細野明美)[br]시마다 히데아키[br](しまだひであき) || 日: 2009.01.16.[br]韓: 2011. || || 2 || 六条 || [[쿠와바라 사토시]] || [[스기노 아키오]][br]우치다 히로시[br](内田 裕) || 日: 2009.01.23.[br]韓: 2011. || || 3 || 夕顔 || 노가미 카즈오[br](のがみかずお) || 코바야시 유카리[br](小林ゆかり) || 日: 2009.01.30.[br]韓: 2011. || || 4 || 藤壺 || 마키노 요시타카[br](牧野吉高) || 스기노 아키오[br]타카야나기 쿠미코[br](高柳久美子) || 日: 2009.02.06.[br]韓: 2011. || || 5 || 宿世 ||<|2> 모리타 마유미[br](森田眞由美)[br]데자키 오사무 || 니고리카와 아츠시[br](濁川 敦) || 코마츠 카나에[br](小松香苗)[br]시마다 히데아키 || 日: 2009.02.13.[br]韓: 2011. || || 6 || 朧月夜 || 야마구치 요리후사[br](山口頼房) || 우치다 히로시 || 日: 2009.02.20.[br]韓: 2011. || || 7 || 葵の上 ||<|2> 콘파루 토모코[br]데자키 오사무 || 이가라시 타츠야[br](五十嵐達矢) || 코바야시 유카리 || 日: 2009.02.27.[br]韓: 2011. || || 8 || 嵯峨野 || 마키노 요시타카 || 스기노 아키오[br]타카야나기 쿠미코 || 日: 2009.03.06.[br]韓: 2011. || || 9 || 叢雲 || 모리타 마유미[br]데자키 오사무 || 나가오카 요시타카 || 요시다 히데유키[br](吉田秀之)[br]최영민[br](崔瑛旻)[br]시마다 히데아키[br]코바야시 유카리[br]시미즈 케이조[br](清水恵蔵) || 日: 2009.03.13.[br]韓: 2011. || || 10 || 謀叛 ||<|2> 콘파루 토모코[br]데자키 오사무 || 쿠와바라 사토시 || 우치다 히로시[br]카타야마 미유키[br](片山みゆき) || 日: 2009.03.20.[br]韓: 2011. || || 11 || 若紫へ || 노가미 카즈오 || 시마다 히데아키[br]코바야시 유카리[br]코야마 토모히로[br](小山知洋) || 日: 2009.03.27.[br]韓: 2011. || === 평가 === 데자키 감독의 장기인 입사광 연출이 매 화마다 들어가며 작화와 배경 연출의 퀄리티 또한 굉장히 좋은 편이다. 특히 배경 에서 나오는 나뭇잎과 곤충의 화려한 모습적 연출의 퀄리티는 그 시대 [[헤이안 시대]]의 낭만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회상하게 해주는 듯한 묘한 몰입감을 줘서 굉장히 인상적이며 아름답다 라는 평이 많다. 주요 인물의 심리묘사도 원작의 고증에 충실하게 잘 해냈으며, 미장센 또한 훌륭한 편. 애니메이션 감독 [[이타가키 신]]은 여성의 묘사가 훌륭하며 이것은 데자키 오사무의 자서전에 가까운 인생 이야기라고 호평했다. [[http://www.style.fm/as/05_column/itagaki/itagaki218.shtml|#]] 하지만 원작을 보지 않으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꽤나 많으며 장르의 특정상 진입장벽이 굉장히 높은 탓에 인지도는 상당히 낮은 편이다. === 국내 방영 === 국내에서도 2011년 1월에 [[애니플러스]]에서 자막으로만 방영됐고, 이후 VOD가 무료로 서비스되기도 했다. 현재는 판권 만료로 삭제. 참고로 애니플러스에서는 같은 단어를 두 번 쓸 필요는 없다고 판단했는지 'Genji'를 빼고 '겐지 이야기: 천년기'라는 제목으로 방영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겐지모노가타리, version=576)] [[분류:겐지모노가타리]][[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1987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소설 원작 애니메이션 영화]][[분류:2009년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소설 원작 애니메이션]][[분류:데즈카 프로덕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