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의 섬들)] ||<-2> '''{{{#black {{{+2 격렬비열도}}}[br]格列飛列島[br]Gyeongnyeolbi-yeoldo[br]Gyeongyeolbi Island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격렬비열도.png|width=100%]]}}} || ||<-2><:> {{{#000,#fff {{{-1 격렬비열도의 위성 이미지 보정 사진.}}}}}} || ||<-2> {{{#000 '''지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Tschok-dschom, 너비=100%, 높이=100%)]}}} || || '''{{{#000 소속}}}''' ||[[충청남도]] [[태안군]] || || '''{{{#000 행정구역명}}}''' ||[[충청남도]] [[태안군]] [[태안군/행정#근흥면|근흥면]] 가의도리 || || '''{{{#000 위치}}}''' ||[[동경]] 125°34′ [[북위]] 36°34′ || || '''{{{#000 면적}}}''' ||'''총면적''' 0.68km^^2^^[br] ---- '''북격렬비도''' 0.16km^^2^^[br]'''동격렬비도''' 0.38km^^2^^[br]'''서격렬비도''' 0.14km^^2^^ || || '''{{{#000 지질학적 형성}}}''' ||중생대 백악기 말기 || || '''{{{#000 관할 경찰}}}''' ||[[파일:해양경찰청 OI.svg|width=20]] [[중부지방해양경찰청]] || || '''{{{#000 행정구역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충청남도]] [[태안군]] [[태안군/행정#근흥면|근흥면]] 가의도리 산28번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충청남도]]에서 최서단에 위치한 섬이다. [[태안군]] 안흥항까지는 55km, [[가의도]]까지는 50km 정도 떨어져 있다. '격렬비열-도'가 아닌 '격렬비-[[열도]]'이다. 북격렬비도, 동격렬비도, 서격렬비도의 3개 섬과 9개 부속도서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 마리 새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날아가는 듯하다 하여 '격렬비(格列飛)'라는 이름이 붙었다. 해저의 [[화산]]이 폭발하여 [[화산재]]가 퇴적되어[* 충남발전연구원, 격렬비열도의 역사적, 지리적, 환경적 고찰(2012)] 형성됐으며, [[공공기관]] 자료를 포함한 대부분의 매체에서 [[중생대]] [[백악기]] 말기에 형성되었다고 하나 문제는 중생대 백악기 말기에는 [[황해]]가 없었고 [[한반도]]와 [[중국 대륙]], [[일본 열도]]는 당시 막 [[로라시아]] 대륙에서 쪼개진 [[유라시아]]의 거대 지괴로 뭉쳐져 있었기에 이 상황에서 섬이 탄생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래 육지에 있던 화산지형이 해저로 [[침강]]하였거나 또는 형성 시기에 오류가 있거나 둘 중 하나이다. 참고로 북격렬비도를 제외하면 [[무인도]]이다. 일반인은 없으며 정기 [[여객선]]도 없다. 북격렬비도에 위치한 [[등대]]로 [[등대지기|항로표지관리원]]이 15일마다 2명씩 파견되어 12시간 교대근무를 하고 있다. 북격렬비도만 [[산림청]]이 소유하고 있는 국유지고, 나머지는 사유지다. 어족 자원이 매우 풍부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바다[[낚시꾼]]들이 많이 찾는다고 한다. 미개발 지역이라 교통이 불편하고 유명한 [[관광지]]도 없어서 여행 목적으로 가는 경우는 적다. 다만 섬의 강렬한 이름 덕에 한 번 들으면 쉽게 잊혀지지 않아서 제법 [[인지도]]는 있는 편. 1년에 며칠 꼽을 만큼 날씨가 매우 좋은 날은 섬의 꼭대기에서 바라봤을 때 수평선 너머로 대략 270km 떨어진 [[중국]] [[산둥 반도]] 끄트머리가 희미하게 보일 정도이다. 뻥 뚫린 바다라서 장애물이 없기 때문이다.[* 270km나 떨어진 곳이 보일 리 없다는 의견도 있지만, [[경상북도]] [[울진군]]에서 절반 거리인 130km 떨어져있는 [[울릉도]]를 [[망원경]] 없이 육안으로 관측하는게 가능하다. 반대로 울릉도에서 육지를 바라보는것도 어렵지 않다. 해당 링크 참조 - [[https://www.youtube.com/watch?v=HQt7EcHLV3c|#]]] == 중국인의 매입 시도와 주권 강화 == [[중국인]]들이 사유지인 동, 서격렬비도 중 서쪽을 16억에 사려고 했으나 섬주는 중국인들에게는 절대 팔지 않는다고 언론에 나와 선을 그었다. 하지만 중국인들이 한국계 브로커를 통해서까지[* 항로표지원의 언급에 의하면 [[조선족]]으로 추정되며 100억까지도 불렀다고 한다.] 섬을 사들이려 하여 구매자가 한국인인지 중국인인지 구분이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한다. 해당 섬을 사들이려 한 중국인들의 신원이 잘 알려지지 않은 점, 격렬비열도가 중국인들에게 거래될 경우 [[중국의 해외 불법 조업|중국 불법어선]]들의 거점 기지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은 물론이고 [[중국공산당]]이 [[동중국해]]에서 한 행위들이 알려지면서, 단순 개인이 아닌 국가가 [[대한민국]]의 영토를 자국 소유로 만들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생겼지만 한가지 짚고 넘어갈 것은 '''섬의 부동산적 소유와 영토주권은 다른 문제'''라는 것이다. 쉽게 설명하자면 중국인들이 구매한 [[제주도]] 토지가 중국의 영토가 되는 것이 아니며, [[일본인]]이 [[독도]]를 산다고 해서 독도가 [[일본]]의 영토가 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전세계 어느 나라의 영토 상관 없이 다 똑같다. 이러한 종류의 오해는 흔한 편이라 한 때 [[일본]]에서 [[쓰시마 섬]]의 토지 대부분을 [[한국인]]들이 구매하고 있다는 소식이 퍼졌을때 도민들과 일본인들이 쓰시마 섬이 대한민국의 영토가 될 것을 우려했던 양상과 비슷하다. 섬 전체를 구매한다고 하더라도 이는 [[부동산]]의 소유자가 바뀌는 문제이지, 영토주권은 '''절대로''' 바뀌지 않는다. 다만, 격렬비열도의 위치적 특성과 [[황금어장]]이라는 경제적 특성을 봤을때 격렬비열도의 부동산을 [[중국 정부]]가 매수한다면 [[중국의 해외 불법 조업|중국 불법어선]]들의 전초기지가 되는 등 유무형의 안보적 경제적 위협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유사시에는 [[대한민국 정부]]가 토지를 몰수해 [[국유화]]할 수 있고 기타 법령을 통해 부동산 거래 및 어업활동 등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정부가 예의주시만 한다면 큰 문제 없이 넘어갈 수 있다. 별개로 해당 섬의 특성으로 인해 [[대한민국 해군|해군]]이나 [[대한민국 해양경찰|해경]] 병력 등을 상주시켜야 한다는 여론도 있다. 일각에선 중국의 침략에 맞서기 위해 [[독도경비대]]와 같은 육상경찰 병력을 격렬비열도에 상주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있는데, 이는 독도경비대의 역할에 대한 몰이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독도경비대의 목적은 영토 방위가 아니라 [[김성도(1939)|김성도]] 등의 독도 거주민 보호 및 치안유지이며 이는 독도에 대한 타국의 영유권 주장에 대해 정통성을 내세우는 조치 중 하나이다. 즉, 독도는 대한민국이 실효지배 중인 영토이므로 당연히 [[대한민국 정부]]가 해당 영토에 거주하는 거주민들의 보호와 치안 유지를 위해 경찰 병력을 운용할 의무가 있어 설치한 것이 독도경비대인 것이다. 애초에 독도 인근 해양 방위는 [[대한민국 해경]]과 [[대한민국 해군]]이 담당하며, 독도경비대는 통신을 통해 이들에게 불법침입한 타국의 함정을 쫓아내도록 알리는 역할이 끝이다. 만약 실제로 [[일본]]이 독도를 침공할 마음으로 [[해상자위대]]가 독도를 침공한다면 독도경비대의 병력으로 방위는 어림도 없으며, 제대로 싸워 보지도 못하고 포로로 잡히는 수밖에 없다. 독도경비대가 주둔함으로써 얻는 방위적 효과는 해당 지역이 '분쟁지역'이 아닌, 대한민국이 온전히 주권을 행사하는 [[영토]]라는 명분과 동시에, [[대한민국 경찰|경찰]]이라는 '민간인'들이 주둔함으로써 타국이 군사력을 동원하려는 시도를 저지하기 위함이다.[* 물론, 경찰은 엄연히 [[준군사조직]]으로 속할 여지가 있어 무조건 민간인 학살로 들어가는건 아니지만, 경찰이라는 경무장 병력을 중무장 병력인 군인이 공격했다는 것으로 공격을 자행한 당사국에게 큰 외교적 리스크를 부여하고, 공격받은 국가가 국제적으로 명분을 얻기 수월해진다. 즉, 독도를 공격한 국가 입장에선 안그래도 명분없는 침공인데 여기다 민간인에 가까운 경무장 병력을 공격했다는 이중적인 리스크를 짊어지고 국제사회를 설득해야하니 공격 자체를 꺼리게 되도록 만드는 것이다.] 반면에 격렬비열도의 경우 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영유권 주장을 하지 않고 있으며, 따라서 굳이 [[무인도]]에 육상경찰 병력을 상주시킬 실질적·명분적 이유가 없다. 오히려 만에 하나 있을 침공이나 [[중국의 해외 불법 조업|중국 불법어선]]들의 진입 및 어획을 방지하려면 경비대가 아니라 [[해경]]이나 [[대한민국 해군]] 병력을 상주시켜야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lkoS98HYgCk&index=1977&list=UUQ-PQXcbNWKM0TDqBPMdC5g|[뉴스데스크]'서해의 독도' 격렬비열도에 관심을]] 해당 소식이 알려진 이후, [[2014년]] 정부에선 이 섬에 대해 외국인토지거래제한조치를 내렸다. [[https://m.hankookilbo.com/News/Read/201804121698858678|#]] 이후 [[박근혜 정부]]에서 2014년 당시 [[공시지가]]의 3배인 2억을 제시하며 [[국유화]]를 시도했지만 섬 소유주와 가격 협상에 실패하여 결국 국유화하지 못하였다. [[2018년]] 1월 기준으로 서격렬비도의 공시지가는 1억 93만 1,049[[대한민국 원|원]](1㎡당 783원)이다. [[https://tv.kakao.com/channel/1492/cliplink/64719533|격렬비열도 땅 주인과 입장차…국유화 추진 난항(카카오 TV)]] [[http://news.kbs.co.kr/news/view.do?ncd=2994841|격렬비열도 땅 주인과 입장차…국유화 추진 난항(KBS NEWS)]] === 국가관리연안항 지정 === [[2020년]] [[11월 17일]] 중국의 불법어선에 대해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정부가 국가관리연안항으로 예비 지정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르면 [[2022년]]부터 국가관리연안항으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019433?sid=103|지정]] 될 예정이다. 이로써 사실상 중국과의 영토 분쟁 가능성은 일단락된 듯 하다. 그리고 [[2021년]]의 타당성 조사 용역, [[2022년]]의 항만정책심의회 의결을 거쳐 [[2022년]] [[7월 4일]] 정식으로 [[https://m.yna.co.kr/view/AKR20220705038100063|국가관리연안항으로 지정]] 및 정책이 시행되었다. 이에 따른 '격렬비열도항'은 [[2030년]]에 북격렬비도[* [[해양수산부]]의 유인 [[등대]]와 [[대한민국 기상청|기상청]]의 서해종합기상관측기지가 있다]에 조성될 예정이다. == 여담 == * 2020년 10월 14일 [[유 퀴즈 온 더 블럭]]에서 격렬비열도의 등대 관리원이 출연하였다. * 2022년 6월 9일 [[백패커]] 방영분에서 기상 1호의 관측 목적지로 소개되었다.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4712|내 청춘의 격렬비열도엔 아직도 음악 같은 눈이 내리지]]라는 이름의 시집도 있다. * [[구글 지도]]에는 '''공녈비-열도'''라고 되어있다(...) 아마도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인 'Kyongnyolbi-yoldo'에서 y를 빼먹고 'Kongnyolbi-yoldo'를 [[구글 번역|번역기]]로 돌린 결과로 나온 듯 하다. * 과거 udu라 불렸던, 현 해군첩보부대에서 밀봉교육이라고 알려진 기본교육을 이곳에서 행한다는 이야기가 인터넷 상으로 돌아다닌다. 사실확인은 되지 않았음으로 가능성 있는 소문 중 하나로 알아두면 좋다.[* 해군첩보부대의 위치는 2010년대~2020년대 기준 태안군이며 격렬비열도 역시 태안군에 위치한다. 이는 고무보트 사건 및 고속정 사건 등, udu의 군 보안이 땅에 떨어졌었음을 알려주는 뉴스를 통해 해군첩보부대가 태안에 있음이 확인되었다. 뭐가 어떻든 첩보부대의 기본훈련의 장소로 사용되어도 이상할게 없는 조건이다.]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의 섬 목록]]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 관련 문서)] [[분류:열도]][[분류:충청남도의 섬]][[분류: 무인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