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 [[파일:結束と絆の魔導師(DUNE).jpg|width=100%]] ||[[파일:結束と絆の魔導師(AGOV).jpg|width=100%]] || [[파일:結束と絆の魔導師(PHNI).jpg|width=100%]]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6973C, #62A441, #92C44B, #92C44B, #92C44B, #62A441, #46973C)" 1st 일러스트[br]부스터 팩 '''[[듀얼리스트 넥서스|{{{#EBF3DD 듀얼리스트 넥서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db500, #eec600, #ffd700, #ffd700, #ffd700, #eec600, #ddb500)" 2nd 일러스트[br]부스터 팩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ffffff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90538, #ca0638, #db0738, #db0738, #db0738, #ca0638, #b90538)" 3rd 일러스트[br]부스터 팩 '''[[팬텀 나이트메어|{{{#FEE8ED 팬텀 나이트메어}}}]]'''}}}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1580E, #E2690D, #f3701e, #f3701e, #f3701e, #E2690D, #D1580E)" 4th 일러스트[br]부스터 팩 '''[[레거시 오브 디스트럭션|{{{#f9ffff 레거시 오브 디스트럭션}}}]]'''}}}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 한글판명칭=결속과 연의 매지션, 일어판명칭=結束(けっそく)(きずな)魔導師(マジシャン), 영어판명칭=Magicians of Bonds and Unity, 속성=빛, 레벨=8, 공격력=2500, 수비력=2500, 종족=마법사족,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의 묘지에 카드가 25장 이상 존재할 경우에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상대 묘지에 카드가 25장 이상 존재하는 한\, 이 카드의 공격력 / 수비력은 2500 올린다.)] 유희왕 OCG 25주년을 기념해 [[듀얼리스트 넥서스]]에 0번 카드로 수록된 최상급 몬스터 카드. 10000종 돌파를 기념해 [[이그니션 어썰트]]에 수록된 [[텐사우전드 드래곤]]이 10000과 관련된 효과를 갖고 있는 것과 비슷하게, 25와 관련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자신의 묘지에 카드가 25장 이상 묻혀 있을 경우 특수소환할 수 있으며, 상대 묘지에 카드가 25장 이상 존재하면 공/수 5000의 몬스터가 된다. 대신 내성 등 다른 효과는 전혀 없으며, 오히려 다른 효과로 특수 소환할 수 없다는 특수 소환 몬스터로서의 제약만 걸려 있다. 일단 25장이란 매수는 진짜 어마어마한 수량이므로 어중간한 덤핑 수단은 어림도 없어 [[이웃집 잔디깎기]]처럼 대량 덤핑 수단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문제는 패에서의 특수 소환만 되기 때문에 이 카드가 덤핑될 경우 묘지에서 따로 샐비지해줘야만 한다. 게다가 공격력 증가를 활용하기 위해선 상대 묘지로 쌓아야 하므로 [[디 언데드 뱀파이어]] 등 상대 덱을 갈아야하는 수단도 같이 마련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상대가 묘지 어드밴티지를 벌 수 있다는 리스크도 감안해야 한다. 애초에 순수하게 자신의 카드로만 서로의 덱을 25장 갈아버릴 정도면 굳이 이 카드를 쓰기보다는 묘지 자원 자체를 활용하거나 덱 파괴를 노리는 게 더 강력하며, 상대가 [[매크로 코스모스]]나 [[디멘션 어트랙터]] 같은 제외 효과를 쓴다면 조건을 만족하는 것부터가 어려워진다. 애초에 자신의 묘지를 대량으로 쌓아야 하는만큼 다른 묘지 참조 계열 몬스터와 비교가 될 수밖에 없다. 비슷하게 특화덱을 짠다면 [[저주받은 하인(유희왕/카드군)#저주받은 하인 킹|저주받은 하인 킹]], [[카오스 네크로맨서]] 등이 꺼내기도 쉽고 같은 조건에서 공격력 5000을 넘을 수도 있다. 명칭 제한 없이 한번에 여러 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긴 하지만, 어차피 다른 효과로는 특수 소환 할 수 없고 일반 소환도 불가능 하니 장점이라고 하기도 애매하다. === 컬렉션 === 결국 텐사우전드 드래곤처럼 오로지 희귀성에 의해 높은 가격이 형성된 기념용, 수집용 카드다. 실제 25주년인 2024년 2월 전까지 발매되는 다른 정규 부스터 팩에서도 그에 맞는 한정 일러스트로 수록된다. [[https://www.konami.com/yugioh/25th/products/specialmonstercard/|#]] 다만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판 일러스트가 '''배경 색깔'''만 해당 부스터의 팩 색상에 맞도록[* 듀얼리스트 넥서스는 초록색,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는 노란색, 팬텀 나이트메어는 빨간색.] 교체된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아마 팬텀 나이트메어와 다음 부스터 팩에도 이런 방식으로 수록될 듯하다. 약 '''7카톤(156박스)에 1팩, 약 25,000장당 1장''' 정도로 추정되는 봉입률 때문에 일본에선 발매 당일 초동가만 200만 원 이상에 2주 정도 지난 5월 초에도 100만 원 정도의 시세를 자랑했다.[* 텐사우전드 드래곤이 10,000장(약 66박스)당 1장 수준이니 그보다 2배 이상으로 안 나오는 것이다.] 물론 순수 수집용인만큼 초기 거품이 상당히 낀 상태였다. 공교롭게도 25와 관련된 공수와 효과를 지닌 덕분에 텐사우전드 드래곤과 시너지가 있다. 효과를 만족하면 공수 모두 2500에서 2배가 되므로 합치면 딱 10,000이 되어 이 카드 1장만 릴리스 해도 텐사우전드 드래곤이 나와 타점이 2배로 뻥튀기 되기 때문. 일러스트에 등장하는 마법사들은 각각 [[초마도검사 블랙 파라딘]], [[환상의 견습 마도사]]의 용갑과 비슷한 용갑을 착용하고 있다. 또한 일러스트 구도는 블랙 매지션즈를 의식한 듯한 구도로 보인다. == 수록 팩 일람 == ||<-5>수록 시리즈 || ||<(> 2023-04-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UNE-JP000 | '''[[듀얼리스트 넥서스|DUELIST NEXU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QCSE)] || ||<(> 2023-07-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AGOV-JP000 |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AGE OF OVERLOR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QCSE)] || ||<(> 2023-10-2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HNI-JP000 | '''[[팬텀 나이트메어|PHANTOM NIGHTMAR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QCSE)] || == 관련 카드 == === [[텐사우전드 드래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