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기도 시내버스 등급)] [include(틀:경기도 버스정책 브랜드)] || [[파일:경기프리미엄버스(1).jpg|width=100%]] || [목차] == 개요 == [[2020년]] [[11월 2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경기도 시내버스]]의 새로운 등급이다. == 상세 == 자가용 운전자들의 대중교통 이용을 유도하기 위해 기존 시내버스에 비해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체계다. 기존 시내버스의 높은 혼잡도로 인한 입석, 너무 긴 대기시간, 잦은 환승등으로 불편을 느낀 이용자들이 자가용으로 이탈하고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프리미엄버스 도입을 통해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줄이고 입석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https://gnews.gg.go.kr/briefing/brief_gongbo_view.do?BS_CODE=s017&number=46193|보도자료]] Miri 앱에서 미리 예약을 해야 이용할 수 있는 예약제로 운영된다.[[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co.wizdome.miri|구글 플레이스토어]], [[https://apps.apple.com/kr/app/%EA%B5%BF%EB%AA%A8%EB%8B%9D-%EB%AF%B8%EB%A6%AC/id1251927393|애플 앱스토어]] 예약 방법은 노선번호, 출발지, 도착지를 선택하고 출발시간과 잔여좌석을 확인한 뒤 예약을 누르고 좌석선택을 하면 예약이 완료된다. 이때 예치금(직행좌석, 광역급행: 2800원, 프리미엄: 3050원)[* 예치금은 성인, 청소년, 어린이 모두 동일하다.]이 차감되므로 예약 전에 카드결제 또는 계좌이체를 통해 예치금을 충전해야 하고, 탑승할 때 사용할 교통카드 역시 앱에 등록해야 하며, 해당 교통카드로 탑승해야 예치금이 반환된다. 예치금은 취소 시 위약금 차감을 위해 미리 결제하는 금액이며, 직행좌석, 광역급행은 탑승 2일 전까지 취소하면 위약금이 없지만 탑승 1일 전 취소는 20%, 탑승일 출발 전 취소는 50%, 출발 후 도착 전 취소는 70%를 차감하고 반환하며, 버스가 종점에 도착한 이후로는 반환되지 않는다. 프리미엄버스는 탑승 2일 전까지 취소했을 때 위약금이 없는 것은 동일하지만, 탑승 1일 전부터 출발 전까지 취소하면 50%를 차감하고 반환하며, 출발 후에는 반환되지 않는다. 간선급행버스처럼 일부정류소만 정차한다. 또한, 단말기에 직접 카드를 접촉하지 않고 블루투스로 승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태그리스]] 방식[* 기존 MiRi+ 앱 내 태그리스 시스템에서 현재는 태그리스페이 앱으로 통합되었다.], 직접 하차벨을 누르지 않고 스마트폰으로도 하차벨을 누를 수 있는 등 비대면 시대에 맞춘 체계도 도입되었다. == 노선 == [include(틀:경기 프리미엄버스)] * 의정부 민락2지구 - 창동역 간 [[경기 프리미엄버스 P9403|P9403번]]은 2021년 9월 1일에 폐선되었다. == 기타 == [[프리미엄 버스]]와는 이름만 비슷할 뿐 관련이 없다. 프리미엄 고속버스는 21석에 커튼, 모니터까지 있지만 이건 28석에 중앙 모니터 정도만 있는 일반적인 우등 차량이다. 예약제 특성상 현금승차가 불가능하므로 경기 프리미엄노선에 투입되는 차량은 현금 요금함이 설치되지 않는다. [[간선급행버스]], [[광역급행버스]]처럼 일부 정류장에만 정차하고 출퇴근 시간에만 운행하는 예약제 버스이기 때문에 출퇴근시간을 아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경기순환버스]]와 요금이 3050원으로 같다. 거리비례 요금제가 적용되는 것도 같으므로 환승을 하지 않더라도 내릴 때 교통카드를 단말기에 태그해야 다음 승차 시 패널티요금을 내지 않는다. 다른 버스와의 환승도 가능하다. 가격은 창렬이라고 보일 수는 있는데 [[김천(구미)역|김천구미역]]과 구미를 잇는 리무진버스[* [[구미 버스 5000|5000번]], [[구미 버스 5100|5100번]], [[구미 버스 5200|5200번]]. 다만 내구연한이 다 되어 2023년 4월까지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뉴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형으로 전량 대차됐다.]를 생각해보면 상당히 저렴하다.[* 비슷한 지역으로 우등을 타면 5000원은 기본으로 찍는다.] 그래서 본전우등이라는 소리가 있다. 노선번호에 대한 공식적인 규칙은 알려진 바가 없으나, 모든 노선의 번호가 'P9###'이다. 두번째 자리는 1은 수원시, 2는 용인시, 3은 화성시, 4는 의정부시, 5는 시흥시, 6은 양주시, 7은 동두천시 노선에게 부여되고 있다. 후에 이 정책이 확대 시행된다면 서울시처럼 권역으로 지정할 가능성이 있다. P9243번과 의정부 노선들은 [[KD 운송그룹]]에서 운행하기 때문에 해당 차량이 프리미엄 노선을 운행하지 않는 시간대에는 자사 노선인 동서울 - 충주, 동서울 - 제천, 성남 - 춘천 등 단거리 시외버스 노선을 운행한다.[* 시내 노선이라도 차량은 전세부 면허이므로 운행에 문제가 없으며 협정 임시차 형태로 운행한다 보면 된다. 경남여객을 제외하고는 전세버스 면허 차량이 운행하고 있다. ] 광역버스에 [[자전거]]를 적재해야 한다면, 프리미엄버스 쪽의 적재 성공 확률이 더 높다. 대체로 기존 관광버스나 고속버스 차량을 사용하기에 화물칸 사용이 비교적 수월하기 때문이다.[* 단, 경남여객의 [[경기 프리미엄버스 P9201|P9201번]]은 CNG차량이기에 적재가 불가능 할 수 있다.] == 관련 문서 == * [[경기순환버스]] * [[간선급행버스]] * [[광역급행버스]] == 둘러보기 == [include(틀:이재명)] [[분류:경기도의 프리미엄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