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 [[파일:attachment/경기광주 버스 1115/1115.jpg|width=100%]] || [[파일:external/blogfiles6.naver.net/DSCF3572.jpg|width=100%]] || || 구도색으로 운행하던 시절(2007년 3월) || GBUS 브랜드 도입 이후 [[http://blog.naver.com/jeonnongin/200639186|출처]] || [목차] == 노선 정보 == ||<-6><:>[[파일:광주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광주시 직행좌석버스 1115번}}}|| ||<-2> 기점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대성리(대성리) ||<-2> 종점 ||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잠실역) || ||<|2> 종점행 || 첫차 || 05:00 [*A 전성기 시절] ||<|2> 기점행 || 첫차 || 06:10 [*A] || || 막차 || 23:30 [*A] || 막차 || 00:30 [*A] || ||<-2> 평일배차 || 15~20분(추정)[*A] ||<-2> 주말배차 || 20분(추정) [*A] || ||<-2> 운수사명 || [[경기고속]] ||<-2> 인가대수 || 20대(추정) [*A] || ||<-2> 노선 ||<-4> 대성리 - 샛터삼거리 - 화광중학교 - 마석역 - 마석지구대 - 마석가구공단 - 구룡터 - 평내호평역 - 평내동주민센터 - 남양주시청 - 구.금곡역 - 진안사거리 - 양정동사거리 - 남양주시청2청사 - 도농역 - [[남양주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구리영업소]] - [[토평IC]] - [[강변북로]] - [[잠실대교]] - 잠실역 || == 개요 == 경기고속에서 운행했던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대성리/남양주와 잠실을 오갔다. == 역사 == * [[삼성여객]][* 서울 시내버스 업체와는 관련이 없으며 현 [[제부여객]]의 전신.]에서 운행한 '구리/남양주 - 잠실 - 판교 - 수지 - 수원' 간 직행버스 노선이 전신이다. * 삼성여객이 대형사고로 인해 부도처리[* 1990년대까지만 해도 이걸로 망한 업체들이 많았다. 당시에는 사상자에게 지불해야 할 보험금을 회사가 거의 전부 부담해야 했으므로 금전적 피해가 막대할 수 밖에 없었다. 舊 [[대원교통|금성교통]], [[전주고속]] 등이 대표적인 사례.]되면서 노선을 [[경기고속]]에 넘겼고, 잠실역을 기준으로 노선을 둘로 나누어 직행좌석버스로 재개통했다. 이 때 나머지 반쪽은 1115-1번으로 개통했으며, 용남고속에서 1007번을 인수한 이후 비중이 줄어들다가 폐선되었다.[* 여기서 1115-5번이 파생되는데, 이 노선 또한 나중에 8202번 간선급행버스로 전환되었으나 수지 직행좌석 개편 때 6900번에 흡수되었다.] * 당시로서는 경춘국도에서 잠실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어서 수요가 많았고, 과부하를 덜기 위해 대원교통에서 [[남양주 버스 1200|901번]][* 원래 마석 - 청량리 간 심야좌석버스 노선이었다. 765/765-1번과 노선 동일. 잠실 연장 직후에는 마석 종점에서 출발했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차산리로 변경.]을 청량리 대신 잠실로 가도록 변경했다. * 그러다가 평내/호평지구에 입주가 시작되면서, 택지지구 안으로 들어가는 [[경기광주 버스 1000|1000번]]까지 개통됐으면서도 '남양주 - 잠실' 간 대표노선으로 대박을 쳤다. * 하지만 [[서울양양고속도로]]를 이용하는 [[남양주 버스 8001|8001번]]과 [[경기광주 버스 8002|8002번]]이, 수석호평도시고속화도로를 이용하는 [[광역급행버스 M2316|M2316번]]이 개통하면서 수요를 뺏기기 시작했다. 게다가 평내동에는 [[광역급행버스 M2323|M2323번]], [[경기광주 버스 1000|1000번]], [[남양주 버스 1100|1100번]] 등이 있어 이 쪽에서도 예전만큼 수요를 내지 못했고, 다른 노선들이 다 자리 채워갈 때 마저 못 탄 승객들을 태우는 노선이 되었다. * 이 때문에 2013년 하반기 들어서 감차가 더 심하졌고, 이로 인해 비첨두시 배차간격은 1시간 이상이 되어 버렸다. * 2013년 연말 마지막 주 또는 2014년 새해 초입에 폐선된다는 소문이 퍼졌고 실제로 2014년 1월 1일에 폐선되었다. [[http://cafe.naver.com/scptus/27072|관련 게시물(가입 필요)]] 기존 차량들 중 BH116 구형 차량(일명 돌고래 차량)은 대성리차고지에 방치되다가 얼마 후 사라졌다. --것보다 인지도는 높았던 노선이었는데 안내문도 없었다-- == 특징 == 다음은 1115번 시리즈의 현황이다. * 1115번(대성리 - 잠실역) : 2014년 1월 1일 폐선. 초창기에는 금곡에서 출발했다가 호평동 → 차산리(후에 901번과 맞바꿔 마석시내로 변경) → 구암리 → 대성리로 연장됐다. * 1115-1 ([[경기대학교]] - 잠실역) : 2000년대 초반 폐선. 초창기에는 고색동(KD 곶집마을 차고지)에서 출발했다. * [[남양주 버스 1115-2|1115-2]] (차산리 - 강변역) : 2014년 3월 말 폐선. 1115번 시리즈 중 유일하게 잠실역을 가지 않았으며 폐선 직전에는 시내버스였다. * 1115-3 (진접읍 - 잠실역) : 1115, 1115-1 과 비슷한 시기에 개통된 유서깊은 노선이었으나 [[남양주 버스 1-5|1-5번]]과 1115-7번에 자리를 물려주고 폐선. 폐선 직전에는 구리, 남양주에서 잠실역을 시내버스로도 갈 수 있었다. 광나루역, 강변역 경유긴 했지만... 1115-6, 7번은 이 노선에서 파생되었다.[* 1115-3번은 진접읍 - 오남읍 - 사릉 - 퇴계원 - 동구릉 - 배탈고개 - 구리시청 - 광나루역 - 강변역 - 잠실역 노선이었으며 1115-6번은 구리발, 1115-7번은 퇴계원 - 잠실역 구간이 미정차였다.] * 1115-5 (경기대 - 잠실역) : 간선급행 [[간선급행버스 8202|8202번]]으로 변경됐다가 [[성남 버스 6900|6900번]]에 통합. [[경기광주 버스 1002|1002번]]이 나름 후신이라고 할 수 있다. * '''[[구리 버스 1115-6|1115-6]] (구리농수산물도매시장 - 잠실역) : 2004년 신설, 지금도 운행중.''' * [[남양주 버스 1115-7|1115-7]] (진벌리 - 잠실역) : 2004년 신설, 2013년 [[남양주 버스 2000|2000번]]에 통합. == 연계 철도역 == * [[서울 지하철 2호선]] : [[잠실역]] * [[서울 지하철 8호선]] : 잠실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도농역]] * [[수도권 전철 경춘선]] : [[대성리역]], [[마석역]], [[평내호평역]] [[분류:광주시의 시내버스]][[분류:2014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