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주시의 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3202_1060.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광주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광주시 직행좌석버스 G3202번}}} || ||<^|1><-6>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경기광주 G3202 노선도 .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광주시 경안동([[광주터미널]]) ||<-2> 종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무역센터) || ||<|2> 종점행 || 첫차 || 05:00 ||<|2> 기점행 || 첫차 || 06:10 || || 막차 || 22:30 || 막차 || 23:40 || ||<-2> 평일배차 || 20~30분 ||<-2> 주말배차 || 30~40분 || ||<-2> 운수사명 || [[경기고속]] ||<-2> 인가대수 || 10대 || ||<-3> {{{#ffffff 경유 정류장}}} || || '''경기광주''' ||<|11> ↔ || '''서울(삼성역)''' || || [[광주터미널]] || 군인공제회관(상)[br]숙명여고(하) || || [[경기광주역]]입구 || 중대부고 || || 오포2동행정복지센터 || [[한티역]] || || 양벌1리·매곡초등학교 || [[선릉역]] || || 대주2차아파트 || 포스코사거리(상)[br]포스코건너편(하) || || 고산하늘초교.더샵센트럴포레 || 한별구립어린이집[*편도] || || 태전힐스테이트7지구 || [[봉은사]].[[코엑스]]북문[*편도] || || 태전아이파크.태성초.태전힐스5지구 || 무역센터,,(23-198),,[*편도] || || 태전동성원아파트 || 무역센터,,(23-199),,[*편도] || || 태전효성해링턴플레이스 || 한국무역센터.[[삼성역]][*편도] || == 개요 ==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는 간선급행형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75.8km다. == 역사 == * 2019년 민선 7기 경기도정의 공약인 경기도형 준공영제([[경기도 공공버스]]) 도입에 따라 시범 사업 대상으로 선정되어 운행을 희망하는 사업자들의 입찰을 받았다. * [[KD 운송그룹]]에서는 [[광주시]]가 본거지인 [[경기고속]]과 [[대원고속]]을 모두 입찰에 참여시켰고, 그 외에도 두 곳의 다른 업체가 더 응모하여 경쟁률 4:1을 기록하였다. * 심사 결과 [[경기고속]]과 [[대원고속]]이 동점을 기록하여 공동 1위로 결정되었고 [[경기고속]]이 운행을 맡는다. * 2020년 3월 13일에 개통되었다.[* 같은 날 [[경기광주 버스 3201|3201번]] 노선도 개통되었다. ] * 2020년 8월 3일부터 "고산.금호베스트빌", "태전동성원아파트" 정류장을 추가 정차한다. [[경기도 공공버스]] [[경기도 공공버스#s-4|급행노선(G) 규정]]의 완화로 인해 기점부 정류장 갯수제한이 8개에서 10개로 늘어나면서 변경한 걸로 보인다. * 2022년 8월 8일부터 서울 강남구 회차 방식이 기존 "포스코빌딩" - "무역센터"에서 "포스코사거리" - "한별구립어린이집" - "봉은사.코엑스북문" - "무역센터' - '무역센터"로 변경되었다.[* 단순 U턴에서 [[서울 버스 3411|3411번]], [[경기광주 버스 500-2|500-2번]]과 같은 형태로 회차한다.] 기존 방식은 "포스코빌딩"에서 "무역센터"까지 이동하는데 신호 체증으로 10~20분 소요된 것과 코엑스사거리 유턴 과정에서 지하복합환승센터 공사로 큰 어려움이 있어서 변경된 것으로 보인다. * 2022년 9월 말부터 기존 "고산.금호베스트빌" 정류소 구간이 "고산하늘초교.더샵센트리체" 정류소로 변경되었다. * 2023년 1월 1일부로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로 이관되었다. [[https://c11.kr/19i93|국토교통부고시 제2022-860호]] == 특징 == * 대광위 준공영제가 적용된 노선이다. * 양벌리와 태전지구에서 강남권을 연계해주는 역할을 한다. * 서울 구간은 운행이 중단된 [[성남 버스 9414|9414번]]이랑 비슷한 경로로 다닌다.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중국산 부품 수급에 차질이 생겨 [[현대자동차]]를 출고하는 다른 업체들은 노선 개통이 일부 연기된 반면 [[자일대우버스]]를 출고하는 [[경기고속]]은 차량을 바로 준비하여 개통이 연기되지 않았다. * 태전지구에서 수요 대부분이 나오고 있으며, 그 외 광주시내에서도 어느정도 사람들이 타고 있다. 이후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263235|만석]]을 기록하였다. * 태전지구에서 양벌리나 광주터미널 구간까지 이동하는 승객들도 간혹 있다. * 성남시 여수대로 구간에 있는 모든 정류소는 정차하지 않는다.[* "성남시청후문", "모란차량기지앞", "시흥동행정복지센터", "시흥동농협창고", "동산마을입구" 모두 무정차][* 이는 [[경기광주 버스 3201|3201번]]과 [[경기광주 버스 3800|3800번]]도 마찬가지] * G3202번 신설 전에는 서울 [[강남구]]에서 태전지구, 양벌리까지의 교통편은 배차간격이 심각하게 긴 [[용인 버스 1005|1005번]] 밖에 없었지만 2020년 3월 13일에 신설되고 나서 해당 지역 교통편이 대폭 개선되었다. === 시간표 ===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258230?headid=&recommend=&s_type=all&serval=3202|#]]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선릉역]], [[삼성역(도시철도)|삼성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도곡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봉은사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도곡역, [[한티역]], 선릉역 * [[파일:Gyeonggang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강선]]: [[경기광주역]]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광위 준공영제 버스 노선)] [[분류:경기도의 직행좌석버스]][[분류:광주시의 시내버스]][[분류:2020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서울특별시를 경유하는 광주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