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京都雜志. [[조선]] 후기의 실학자인 [[유득공]]이 집필한 [[서울]]의 [[세시풍속]]지. [[서울대학교 규장각]], [[연세대]] 도서관, [[고려대]]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발해고]] 등으로 유명한 실학자 유득공이 [[정조(조선)|정조]] 시기에 편찬한 서울 지역의 고유 세시풍속지이다. 총 2권 1책이다. 1권은 건복(巾服), 주식(酒食), 다연(茶烟), 과과(果瓜), 제택(第宅), 마려(馬驢), 기집(器什), 문방(文房), 화훼(花卉), 발합(鵓鴿), 유상(遊賞), 성기(聲妓), 도희(賭戱), 시포(市舖), 시문(詩文), 서화(書畫), 혼의(婚議), 유가(遊街), 가도(呵導)의 19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2권은 원일(元日), 해일(亥日), 자일(子日), 사일(巳日), 인일(人日), 입춘(立春), 상원(上元), 2월 초일일(二月初一日), 한식(寒食), 중삼(重三), 4월 파일(四月八日), 단오(端午), 6월 15일(六月十五日), 복(伏), 중원(中元), 중추(中秋), 중구(重九), 10월 오일(十月午日), 동지(冬至), 납평(臘平), 제석(除夕)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국세시기]], [[열양세시기]], [[동경잡기]] 등의 여러 풍속지와 함께 조선 후기 우리나라의 민속 문화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볼 수 있는 책 중 하나이다. == 외부 링크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6433&cid=46670&categoryId=46670|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경도잡지]] * [[https://ko.wikipedia.org/wiki/%EA%B2%BD%EB%8F%84%EC%9E%A1%EC%A7%80|한국어 위키백과 : 경도잡지]]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0964&cid=41708&categoryId=41711|국어국문학자료사전 : 경도잡지]]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59864&cid=40942&categoryId=33383|두산백과 : 경도잡지]] [[분류:조선의 도서]][[분류:규장각 소장품]][[분류:연세대학교 도서관 소장품]][[분류: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