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top1=경북대학교/학부/인문대학)] [include(틀:경북대학교의 인문대학)]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60303, #E60000, #E60000, #a60303)" {{{+2 '''경북대학교 한문학과'''}}}[br]慶北大學校 漢文學科[br]'''KNU Department of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Characters'''}}} || || '''설립''' ||'''1988년 3월''' || || '''학과장''' ||'''이규필 교수''' || || '''주소''' ||[[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 [[대학로(대구)|대학로]]80 대학원동 404호|| ||<-2>[include(틀:지도, 장소=경북대학교 대학원동, 높이=180px, 너비=100%)]|| || '''링크''' ||[[https://hanmun.knu.ac.kr/|경북대학교 한문학과 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소개 == [[파일:경북대학교-한문학과.png|출처]] 한문은 지난 2천여 년 이상에 걸쳐서 사용되어 왔다. 한문으로 기록해 놓은 각종 시, 소설, 경전, 역사서 등과 같은 각종 한문학 및 한문 기록물에 대한 소양을 갖추고 해석하고 번역하는 것을 공부한다. 국문학(고전문학), 국어학(국어사), 고전번역학, 고문헌관리학, 역사학(한국사, 동양사), 서지학, 기록학 등 여러 학문 전공과 호환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중국어, 일본어에 한문이 많이 들어가므로 중국어나 일본어를 배우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한국국학진흥원]] 한문교육원 대구강원이 경북대학교 대구캠퍼스에 있으며 한문학과 교수님들이 여러 수업을 담당하고 있다. 한문교육원 대구강원의 교수진과 커리큘럼도 탄탄하고 장학금도 주며, 당연히 학생들도 연수과정을 받을 수 있다. 게다가 경북대가 위치한 대구는 경상북도와 경상남도의 중간에 있으며, 대구경북을 포함한 영남지역은 한문학 자료가 많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인문학 자원과 배경이 풍부한 곳이다. == 전공 수업 == 교양한문, 실용한자, 사서강독, 경서강독, 제자서강독, 사기통감강독, 한국역사서강독, 한국한문학비평, 한국한문학연습, 한시(漢詩) 등의 한문/한자에 대한 교과목들을 배운다. 한문학과 특성상 국어국문학과에서 ‘고전문학’과 중어중문학과에서 ‘중국고전문학’, 사학과의 ‘사료강독수업’과 겹치는 교과목들이 있다. == 교수진 == === 황위주 교수 === * 한시, 한문학사 전공 * 경북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기초한문, 한시의 이해, 한국한시강독, 한국한문학사1·2 * 대학원 강의과목: 한국한시론, 행초서특강1·2, 한국한문학사연구1 * 대구한의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를 거쳐서 경북대 교수로 부임하였다. 한국국학진흥원 한문교육원 대구강원장을 겸하고 있다. === 박영호 교수 === * 한문산문, 조선시대 문장론, 한문교육 전공 * 경북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한문교육전공에서 석사,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한국한문강독, 고문진보강독, 한문교육론, 한문 논리 및 논술지도 * 대학원 강의과목: 조선산문특강, 역사산문문학특강, 한문학산문연구, 한문국역연습 * 송현여자고등학교 교사, 경산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를 거쳐서 경북대 교수로 부임하였다. === 정병호 교수 === * 한문소설, 조선후기 한문산문, 인물전 전공 *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한국한문소설, 한국역사서강독 * 대학원 강의과목: 한문소설특강, 한문소설론, 한문고전번역사, 한문소설론특강 === 강민구 교수 === * 한문비평, 한국한문학비평론 전공 *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에서 학사, 석사학위를 받고, 동 대학원 한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사서강독1·2, 경전강독, 한국한문학비평 * 대학원 강의과목: 경학특강1, 한문학연구방법론, 한문학특수과제연구1, 경전주석연구, 한문시화연구, 한문학비평사연구 === 이구의 교수 === * 한시비평 전공 * 영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한문학개론, 한시의이해, 한국한문학작가론1·2, 문학이론강독1 * 대학원 강의과목: 한국국문문학관계론, 한국한시연구2, 한시특강, 사부문학특강, 문학이론특강 === 이규필 교수 === * 한문번역, 조선후기한문학 전공 * 계명대학교 한문교육과를 졸업하고, 경북대학교 대학원 한문학과에서 석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한국역대산문, 한국한문학특강, 사기통감강독 * 대학원 강의과목: 한문문헌해제, 한문문집선독, 제자서특강 === 이미진 교수 === * 한시 전공 * 경북대학교 한문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기초한문, 한국한시강독 * [[경상국립대학교]] 한문학과 조교수를 거쳐서 경북대 교수로 부임하였다. == 동문 == === 학부 === * 김영주: [[성균관대학교/학부/사범대학|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 [[한문교육과]] [[교수]] * 김정철: [[육군리더십센터]] 전문군무경력관 가군 교관(4급 서기관급) * 김효경: [[국립중앙도서관]] 지식정보관리부 고문헌과 연구사 * 손혜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국문학과|국문학 전공]] 교수 * 서정화: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HK교수 * 이국진: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한문교육과 교수 * 이미진: [[경북대학교/학부/인문대학|경북대학교 인문대학]] [[한문학과]] 교수 * [[이원준(정치인)|이원준]]: [[정치인]] * 전재동: [[충북대학교]] 우암연구소 연구교수 * 최은주: [[한국국학진흥원]] 국학기반본부 국학자료팀 팀장(책임연구원) * 한의숭: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인문학연구소 HK교수 === 대학원 === 한문학과가 아닌 타학과를 졸업한 경북대 졸업생과 타대학 학부 출신 졸업생을 기재한다. * 이규필(석사): 경북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한문학과, version=203)] [[분류:경북대학교]][[분류:인문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