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산시 시내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03 대화.jpg|width=100%]]}}} || || [[대화교통(경산)|대화교통]] 소속 803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Seal_of_gyeongsan_little_white.png|width=20]] {{{#ffffff 경산시 간선버스 803번}}} || ||<-2><:>기점||<:>경상북도 경산시 중산동(중산동(육교앞))||<-2><:>종점||<:>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대한리(갓바위종점)|| ||<|2><:>종점행||<:>첫차||<:>06:05(금락초등학교 출발)||<|2><:>기점행||<:>첫차||<:>07:15|| ||<:>막차||<:>19:20||<:>막차||<:>21:00(하양대구은행 종료)|| ||<-2><:>배차간격||<-4><:>30분|| ||<-2><:>운수사명||<:>[[대화교통(경산)|대화교통]]||<-2><:>인가대수||<:>8대[* 2대 휴차]|| ||<-2><:>노선||<-4><:>중산동(육교앞) - 경산역 - 경산시장 - [[영남대학교|영남대]] - 금구리 - 진량우체국 - (진량초원A[*2회 1일 2회(중산동 방향: 아침 시간대/갓바위 방향: 저녁 시간대)]) - 금락초교 - 하양초교 - 하양읍사무소 - 무학교 - 하양LH천년나무3단지 - 하양금호어울림 - 하양우미린아파트(더센트럴, 에코포레) - 하양호반써밋더퍼스트 - 하양여중고교 - 와촌면사무소 - 소월2리 - 대동초교 - 신한리마을회관 - 갓바위주차장 - 갓바위종점|| ||<-2><:><#FCBBC2> '''중간 출발 정류소''' || || '''갓바위''' 방향 ||<(>금락초등학교|| || '''중산동''' 방향 || 없음 || ||<-2><:><#B2EBF4> '''중간 종료 정류소''' || || '''갓바위''' 방향 || 없음 || || '''중산동''' 방향 ||<(>하양대구은행|| == 개요 == 경산시 간선버스 노선 중 하나. 왕복 운행거리는 '''71.769km로 순수 경산시 시내버스 최장거리 노선이다.[* 왕복 80km가 넘는 [[대구, 경산 버스 708|708번]], [[대구, 경산 버스 840|840번]], [[대구, 경산 버스 939|939번]]은 대구광역시와 공동배차하는 노선들이다.]''' [[https://m.map.naver.com/bus/lane.nhn?busID=1510032|전체 정류장 목록]], [[http://its.gbgs.go.kr/resources/app/bus/linemap.jsp?line=803|노선도]] == 역사 == * 2009년 1월 17일 대구-경산 간 무료환승제 시행 이전에는 11번 일반버스와 311번 좌석버스가 하양시외버스터미널과 뒷갓바위를 오갔다. 당시에는 대화교통이 단독으로 운행했다. 311번은 운행 계통이 복잡해서 뒷갓바위 외에도 하양읍 및 와촌면 오지 지역, 영천시 청통면 은해사, 애련리, 신녕면 신녕터미널, 화남리 성덕대학(現 [[성운대학교]]), 치산리 등 여러 지선을 운행했다. 여담으로 803번과 하양-와촌1번으로 분리되기 전에 운행했던 311번은 운행 차량에 교통카드 단말기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대화교통에서 아예 단말기를 끄고 다녔으며, 철처히 현금 및 [[승차권]](하양터미널)만 받았다. 이는 311번이 시내버스보다 시외완행의 성격이 강했기 때문으로, 경산 내에서도 구간요금도 적용됐다. 하양터미널에서 뒷갓바위까지 풀로 갈 경우 311번은 2,000원 넘게 받았다. * 개편 때 '하양터미널 - 뒷갓바위' 본선만 803번으로 변경되었고, [[하양읍]]에서 [[중산동(경산)|중산동]] 신성아파트까지 대폭 연장되었다. 일반적인 시내버스 노선 같이 교통카드 이용이 가능해졌다. [[성운대학교]] 지선은 폐지되었으며 나머지 하양읍, 와촌면 오지 지역과 영천 시계외 구간은 [[경산 버스 하양-와촌1|하양-와촌1번]]으로 분리됐다. 803번은 '''[[팔공산]]'''에서 [[고로아와세|따 왔으며]],[* 대구 버스 중 비슷한 이름의 버스는 [[대구 버스 팔공3|팔공 3번]]이다.] 개편 때부터 [[경산버스]]와 [[공동 배차]]로 운행하게 되었다. * 2013년 3월 8일부터 하양읍사무소([[하양역]])를 경유한다. 다른 경산 시내버스 노선이나 대구 시내버스 노선들은 정류장 이름만 하양읍사무소일 뿐 실제로는 하양역 인근의 구 은하예식장을 경유하는 반면, 이 노선은 실제 읍사무소 앞을 경유한다. 현재는 옛 은하예식장 앞의 정류장명이 변경되었다. * 2016년 6월에 각 회사마다 2대씩 증차되어 총 4대가 증차되었다. 그리고 영대에서 기존 부적주공아파트, 압량면사무소 대신 신대부적지구 입구[* 즉, 신대부적지구 안쪽으로 안 들어간다.]와 마위지공원을 통해 금구리로 가는 것으로 직선화되었다. '금구리 - 마위지 - 영대' 사이의 직진 도로는 '금구리 - 부적주공아파트 - 영대' 구간과 달리 노선버스가 아예 안 다니던 구간이다. 좀 더 넓은 도로로 운행하는 것으로 바뀌었지만 소요시간이 더 빨라지지는 않았다. 압량면 구길 구간이 길은 좁아도 신호대기가 없는 데 반해 새로 바뀐 구간은 운행 중에 신호대기에 걸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 2019년 10월 1일부터 39회차와 40회차(갓바위행 막차와 막전차)는 갓바위입구 U턴 회차지점까지 가지 않고 갓바위주차장(관음휴게소)까지만 운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해당 변경 사항은 인터넷이나 언론을 통해서는 공지되지 않았고 차내 안내문으로만 공지되었다.] * 2021년 3월 3일부터 [[경산버스]]가 공동 배차에서 철수하였다.[* 이는 경산버스와 대화교통이 공동배차하는 모든 노선에서 마찬가지였다.] * 2023년 10월 16일부터 하양무학지구를 경유한다. == 특징 == * [[대구 버스 401|401번]]처럼 [[갓바위(팔공산)|갓바위]]가 종점이지만, 종점은 서로 반대편에 있다. [[갓바위(팔공산)|갓바위]]는 대구 방향(앞갓바위)보다 경산 방향(뒷갓바위)이 올라가기 훨씬 수월하며 시간이 적게 걸린다.[* 경산 방향은 30분 정도, 대구 방향은 1시간 정도 소요된다. 그래서 일부러 하양에서 803번을 타고 경산 방향(뒷갓바위)으로 올라와서 갓바위에 간 후, 갓바위에서 [[대구 버스 401|401번]] 타러 대구 방향(앞갓바위)으로 내려가는 사람들도 많다.][* 대구 방면은 경사와 계단이 아주 험한 반면, 경산 방면은 경사가 심하지 않고 계단도 많이 험하지는 않다.] 수요는 주말과 공휴일에 많이 집중되는데, 구간 수요보다 갓바위 이용객과 하양읍으로 나가는 수요가 대부분이다. 배차간격이 짧은 [[대구 버스 401|401번]]과 달리 803번은 배차 간격이 비교적 길어서 수요가 한꺼번에 몰린다.[* 그러나 [[대구 버스 401|401번]]은 그 짧은 배차 간격으로도 수요를 전담하기가 힘들다. 그래서 [[대구 버스 팔공2|팔공2번]]이라는 [[대구 버스 401|401번]] 단축 노선이 비정기 노선이 신설되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주말이나 공휴일, 특히 [[부처님오신날]]이나 [[대학수학능력시험]] 같은 날에는 만차가 된 상황에서 기어코 타겠다는 승객과 더 이상 못 탄다고 하는 버스기사와의 신경전(?)이 심심찮게 벌어진다. * [[대구 버스 401|401번]]과 달리[* 401번은 주말에 배차간격이 단축되는 몇 안되는 노선이다.] 평소 주말휴일에는 감차만 하지 않을 뿐 특별히 배차간격이 단축되지는 않는다. * 하양읍사무소 바로 앞을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 하루 2번 진량읍 초원장미아파트를 경유한다. * 저녁 시간 이후에는 뒷갓바위에서 경산 시내로 가지 않고 진량고교 혹은 금락초등학교까지 운행한다. 그나마 803번으로 바뀐 이후 막차가 더 늦게 다니는 것이다. 예전의 311번은 뒷갓바위 출발 막차는 '''저녁 7시 50분'''에 출발했으며, 그것도 [[하양시외버스터미널]]로 들어오지 않고 금락교를 지나 하양초등학교 못 가서 있는 하양우방1차 교차로에서 승객들을 모두 내리게 한 후 차고지로 공차회송했다. 그리고 당시 하양 쪽 경로는 현재의 803번과 조금 달랐는데, 금락교에서 현재 하양읍사무소가 있는 길로 가지 않고 하양우방1차를 통해 곧바로 하양초등학교로 내려와서 하양터미널로 들어왔다. * 집중호우, 동계기간 폭설이 내릴 때에는 팔공산 쪽의 경사로를 오를 수 없으므로 폭우, 폭설 상태에 따라 하양읍사무소 혹은 와촌면사무소에서 운행중단한다. * 대화교통 노선들 중에서 유일하게 면허 순서대로 차량 배차를 하는 노선이다. * 와촌 방면 하양초등학교 기준 8시 35분에 와야 하지만 실제적으로 많이 늦을 때면 55분 쯤에 도착한다. === 시간표 === * [[http://its.gbgs.go.kr/resources/app/bus/timetable.jsp?line=803|시간표]] === 일평균 승차량 ===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 출처 : [[https://www.kotsa.or.kr/ptc/app/#/inside/use|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 ||<-10><:><#0075C8>{{{#ffffff 경산시 시내버스 803번}}}|| ||<:>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 ||<:>2,436명||<:>2,334명||<:>2,124명||<:>2,383명||<:>||<:>2,298명||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2.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임당역]], [[영남대역]] * 일반 철도역 : [[경산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하양역]](무궁화호, 누리로) [[분류:경산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