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산시 시내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산739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산 918번 현대차량.webp|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Seal_of_gyeongsan_little_white.png|width=20]] {{{#ffffff 경산시 간선버스 918번}}} || ||<-2><:>기점||<:>경상북도 경산시 유곡동(대구한의대학교)||<-2><:>종점||<:>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북리(삼주봉황타운4차)|| ||<|2><:>종점행||<:>첫차||<:>'''[평일]''' 06:20(사동 출발)[br]'''[토요일, 휴일]''' 06:22(사동 출발)||<|2><:>기점행||<:>첫차||<:>06:45|| ||<:>막차||<:>20:20||<:>막차||<:>'''[평일]''' 20:59(영대 종료)[br]'''[토요일, 휴일]''' 20:54(영대 종료)|| ||<-2><:>배차간격||<-4><:>16~20분|| ||<-2><:>운수사명||<:>[[경산버스]]||<-2><:>인가대수||<:>14대|| ||<-2><:>노선||<-4><:> [[대구한의대학교]] - 사동휴먼시아1차 - 사동고 - 백천윤성아파트 - 백천주공정문 - (→ 백천부영3차 →/← 백천월드메르디앙서문 ←) - 옥곡부영아파트 - 장산중 - 경산역 - 경산시장 - ([[경산시외버스정류장]] - 중방e편한세상)[* 하루 편도 6회 이 구간 대신 경산중고등학교를 경유한다.] - [[영남대학교]] - 압량면사무소 - 부적주공아파트 - (현흥초교 - 압량윤성3차 - 진량윤성1차 - 선화청구아파트)[* 하루 편도 3회 이 구간 대신 의송리를 경유한다.] - 진량읍사무소 - [[영남신학대학교]] - 삼주봉황타운4차|| ||<-2><#FCBBC2> '''중간 출발 정류소''' || || '''삼주봉황타운4차''' 방향 ||<(>경산시장, 사동휴먼시아1차 앞|| || '''한의대''' 방향 ||<(>진량윤성1차A|| ||<-2><#B2EBF4> '''중간 종료 정류소''' || || '''삼주봉황타운4차''' 방향 || 없음 || || '''한의대''' 방향 ||<(>영남대 건너|| == 개요 == 경산시 간선버스 노선 중 하나. 왕복 운행거리는 46.7km. [[https://m.map.naver.com/bus/lane.nhn?busID=1510059|전체 정류장 목록]], [[http://its.gbgs.go.kr/resources/app/bus/linemap.jsp?line=918|노선도]] == 역사 == * 1999년 개편 전에는 9번 일반버스였으며, 원래는 옥곡동까지 운행하다가 백천동 수요 증가로 [[2005년]]에 백천동까지 연장했다. 당시에는 배차간격이 25분 정도였으나, 2009년 개편으로 3대 증차되면서 배차 간격이 5분 단축되었다. * 2013년 10월 15일 [[경산 버스 100-1|100-1번]]과 함께 백천동 문명고등학교에서 사동까지 연장되었는데, 단순히 사동 접근성 개선 뿐만이 아니라 사동에서 [[영남대학교]]와 [[임당역]] 접근성이 좋아진 장점이 있다.[* 사동에서 [[대구, 경산 버스 939|939번]]을 타면 [[대공원역(대구)|대공원역]]에서 지하철로 환승이 가능하지만 옥곡동과 옥산동을 거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원래 사동에서 [[영남대학교]]로 바로 가는 직행 노선이 없었는데[* [[경산 버스 100|100번]]이 [[영남대학교]] 후문 입구를 경유하긴 하나, 실질적으로 [[영남대학교]]를 경유하지 않는다.] 이 노선이 사동부영6단지까지 연장되면서 해결되었다. 다만 [[굴곡 노선/버스|백천동과 옥곡동을 경유해서 굴곡이 많으므로]] 소요시간은 책임 못 진다. 하지만 2014년 3월 3일 [[경산 버스 109|109번]]이 개통되면서 사동에서 [[영남대학교]]로 갈 때 소요 시간이 줄어들게 되었다. * 사실 918번이 사동으로 연장된 것은 사동 구간의 수요가 딱히 많아서가 아니라, 문명고등학교 측에서 종점 자리를 비워 줄 것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현재 문명고등학교 종점은 주차장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경산 버스 809|809번]]만 회차지로 쓰고 있다. * 2014년 3월 3일 개편으로 2대가 증차되어 배차 간격이 기존의 20~25분에서 15~20분으로 단축되었다. 경산버스는 [[경산 버스 109|109번]] 신설과 이 노선 증차를 위해 [[시외버스]]에서 9대를 감차했는데, 그 중 7대는 [[경산 버스 109|109번]]에 투입하고 2대는 918번에 증차되었다. * 2015년 4월 29일에 [[대구한의대학교]]로 연장되었는데, 1대가 증차되었다. 연장된 이유는 기존 사동 종점의 불법전용 사실이 드러나 시민단체의 태클로 인해 사용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어느새부턴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디젤차량과 가스차량이 도입되어 운행 중에 있다. 이는 [[경산버스]]의 최근 경향으로 현대차 위주로 신차를 뽑고 있다. * 2016년 6월 1일부터 타요버스가 운행 중이다. 2021년 6월 현재 타요 캐릭터는 [[현대 카운티|카운티]]로 대차되어 [[경산 버스 경산1-1|경산1-1번]]에서 운행중이고, 2018년에 출고한 라니 캐릭터가 918번에서 운행 중이다. * 2020년 2월 3일부터 [[경산 버스 107|107번]]의 폐지에 따른 2대가 증차되고, 배차간격은 13~15분으로 단축되었다. * 2022년 3월 15일부터 3월 21일까지 6순번, 10순번, 14순번의 운행이 중단됐다. 코로나로 인한 운행시간표 변경이라고 공지했고, 중단 기간이 1주일인 것으로 보아, 918번 버스 기사의 코로나-19 집단 감염이 일어났던 것으로 추정된다. == 특징 == * 1일 3회 진량방면 한정으로 금구리에서 현흥리 대신 의송리, 용암리, 신촌리를 경유한 후 [[삼성 라이온즈 볼파크|경산볼파크]]를 통해 선화리로 나간다. 그런데 이 버스노선을 안 알려준다. 그래서 윤성방향을 가는 탑승자는 도중에 내리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 진량윤성1차와 3차 사람들의 대중교통 이용의 '''빛과 소금'''이다. 진량2번 등 다른 버스 노선도 일부 정차하지만, 배차간격이 엄청나기 때문. === 시간표 === * [[http://its.gbgs.go.kr/resources/app/bus/timetable.jsp?line=918|평일]] * [[http://its.gbgs.go.kr/resources/app/bus/timetable.jsp?line=918_1|토요일, 휴일]] === 일평균 승차량 ===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 출처: [[https://www.kotsa.or.kr/ptc/app/#/inside/use|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 ||<-10><#0075C8>{{{#ffffff 경산시 시내버스 918번}}}||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4,203명 || 4,234명 || 4,953명 || 5,141명 || || 5,394명 ||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2.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임당역]], [[영남대역]] * 일반 철도역: [[경산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분류:경산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