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약칭이 경대병원으로 같은 타 대학병원, rd1=경북대학교병원)] || [[파일:경상국립대학교병원 엠블럼.svg|height=20]] '''{{{#242b90,#6f75db 경상국립대학교병원 관련 틀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경상국립대학교)] [include(틀:교육부 산하기관)] [include(틀:경남지역 상급종합병원)] [include(틀:권역응급의료센터)] [include(틀:권역외상센터)] [include(틀:권역해바라기센터)] }}} || ||<-2> {{{+1 {{{#ffffff '''경상국립대학교병원'''}}}}}}[br]{{{#ffffff '''慶尙國立大學校病院 '''}}}[br]{{{#fffff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GNUH'''}}} || ||<-2> [[파일:경상국립대학교병원 로고.svg|width=100%]] || || {{{#ffffff '''국가'''}}}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대한민국]] || || {{{#ffffff '''개원'''}}} ||[[1986년]] || || {{{#ffffff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강남로(진주)|강남로]] 79 ([[칠암동]]) || || {{{#ffffff '''종류'''}}} ||[[상급종합병원]] ([[대학병원]]) || || {{{#ffffff '''병상 수'''}}} ||893병상[*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1.06. 입원병실 기준] || || {{{#ffffff '''웹사이트'''}}} ||[[https://www.gnuh.c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2> [include(틀:지도, 장소=경상국립대학교병원, 너비=100%, 높이=200px)] || ||<-2> [include(틀:지도, 장소=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 너비=100%, 높이=20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 최상의 교육, 연구와 진료를 통해 지역의 건강한 삶을 책임진다[* 경상국립대학교병원 홈페이지에서 소개하는 공식 미션이다.] 경상국립대학교병원은 '국립대학병원설치법'에 의거한 [[대한민국 교육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으로 진주와 창원에 소재한 2개의 병원과 위수탁 계약을 맺은 경상남도마산의료원까지 3개의 병원을 운영하는 특수법인이다. 병원의 설립목적은 다른 국립대학병원과 동일한 고등교육법에 의거해 의학에 관한 교육 및 연구 진료를 통하여 의학발전을 도모하고,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함으로 [[경상국립대학교/학부/의과대학|경상국립대학교 의과대학]]의 교육연구 및 임상병원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면된다. 교육부 산하 공무원 조직으로서 국립대인 [[경상국립대학교]]와 분리된 법인이지만 경상국립대학교 총장이 당연직 이사장으로서 보임되기에 법인으로서의 운영의 자율성을 위해서 별도로 분리되었다고 생각하면 된다. == 본원 == || {{{#!wiki style="margin-bottom: -5px; margin-left: -10px; margin-right: -10px; margin-top: -5px" [[파일:external/www.gnnews.co.kr/260154_29360_341.jpg|width=100%]] }}} || || {{{#ffffff ▲ 경상남도 진주시 칠암동에 위치한 경상국립대학교병원}}} || [[경상남도]] [[진주시]] [[강남로(진주)|강남로]] 79 ([[칠암동]])에 위치한 경상남도 최대 규모의 의료기관으로 일반적으로 경상국립대학교병원은 이곳을 가리킨다. 경상국립대학교 병원장은 적법한 절차를 거쳐서 이사회를 통해 선임되며 병원장은 분원인 창원경상국립대병원장의 인사권까지 가지기에 분원을 포괄하는 법적인 소재지이기도 하다. 서부경남권의 유일[* 경남 전체로 치면 양산부산대학교병원까지 2곳이 지정되어 있다. 단, 양산부산대병원은 경남이라기보다는 부산권역에 가깝다고 보는게 타당하다. 경남은 부산-울산과 권역이 묶이기 때문에 경쟁이 치열한 편이다. 2020년 12월에 삼성창원병원이 상급종합병원으로 지정되면서 경남에 위치한 상급종합병원은 3곳이 되었다.]한 [[상급종합병원]]으로 2023년 7월 현재 880병상 규모이며, 경남지역 암센터를 비롯한 각종 전문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이 미래에 1,200병상까지 확장할 계획이기 때문에 최대 타이틀은 창원경상국립대학교 병원에 내어줄 가능성이 높다.] === 연혁 === 1981년 [[경상국립대학교]]에 [[의예과]]가 신설되면서 병원 건립이 추진되었고 1회 졸업생이 배출되기 직전인 1986년 개원하였다. 원래는 경상국립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이였으나 법으로 인해 1995년 10월 현재의 특수법인으로 전환되었다. 개원 당시에는 400병상급의 2차 의료 기관이었으나 1996년 응급 의료센터를, 2007년 암센터를 개소하면서 세 개의 독립 건물 규모로 증축되었다. === 홍보영상 === || {{{#!wiki style="margin-bottom: -5px; margin-left: -10px; margin-right: -10px; margin-top: -5px" [youtube(mjlJAf5wxrQ)] }}} || || {{{#ffffff '''경상국립대학교병원 공식 홍보영상'''}}} || === 여담 === * 병원부지가 굉장히 넓다. 병원이 있는 [[의과대학]] 캠퍼스가 경상국립대학교의 전신인 진주농과대학 캠퍼스였기 때문이다.[* 유사 사례로 대구 [[영남대학교병원]]이 있다. 영대병원 부지도 넓은 편인데 현재 영대병원과 영남대 의과대학 캠퍼스가 있는 곳은 [[영남대학교]]가 [[경산시]]로 이전하기 전에 영남대가 있었던 자리이기 때문이다.] 가좌동의 새 캠퍼스로 옮긴 이후 한 동안 의대, 간호대 이외에도 사범대가 남아 있었고 사범대학교 부설중학교와 [[경상국립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부설고등학교]]는 2000년대 초반까지 칠암동에 있다가 가좌동으로 이전했다. * 현재는 이전된 사범대 부설고등학교 운동장을 주차장으로, 부설 중학교 건물을 도서관으로 사용하는 중인데 확장하려고 하면 2,000병상까지도 확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한다. 물론 진주와 그 인근의 인구를 감안하면 어려운 일이고, 창원에 창원경상국립대병원이 개원했으니 경상국립대병원 본원을 더 확장할 가능성은 낮은 편으로 보고 있다. *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인 서부경남의 의료 중심지 역할을 잘 하고 있으며 칠암동 일대는 경상국립대학교병원을 중심으로 수많은 [[종합병원]]들이 모여 있어 서부경남 전체의 의료 중심지 역할도 하고 있다. * [[진주시]]가 도시 규모에 비해서 의료 서비스가 좋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장 큰 이유이기도 하다. 그런데 진주에 경상국립대병원이 있고, 경상국립대병원 말고도 수많은 종합병원이 있다는 점이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가 [[경상남도지사]] 재임 시절에 [[진주의료원 폐업 사태|공공병원인 진주의료원을 없애버린]] 이유 중 하나가 되어버리고 말았다. 진주에 진주의료원 말고도 다른 의료기관이 많은데 적자투성이인 진주의료원을 왜 굳이 계속 운영해야 하느냐는 이유였다. * [[http://www.jinju.go.kr/00130/00162/00163.web?amode=view&photoId=4491&cpage=14&groupId=3&categoryFlag=All&tagName=%EA%B4%80%EA%B3%B5%EC%84%9C%2F%EA%B3%B5%EA%B3%B5%EA%B1%B4%EB%AC%BC%2F%EA%B8%B0%ED%83%80|2000년대 초반까지는 전체가 갈색타일 건물이었다.]] 하지만 리모델링 예산이 적었는지 앞면만 바뀌고 뒷부분은 그대로다(...) == 분원 == ===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 === 2016년 개원한 경상국립대학교 병원의 분원으로 700병상 규모의 대형종합병원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 === 경상남도마산의료원(위탁운영) === [include(틀:경상남도 산하기관)] || {{{#!wiki style="margin-bottom: -5px; margin-left: -10px; margin-right: -10px; margin-top: -5px" [[파일:img_20161101134022.jpg|width=100%]] }}} || || {{{#ffffff ▲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위치한 경상남도마산의료원}}} || * [[https://www.mmc.or.kr/main|경상국립대학교병원운영 경상남도마산의료원 홈페이지]] 경상남도 도립병원으로 1914년 진주 자혜병원 마산분원으로 개원한 이후 1919년 도립 마산병원으로 바뀌었다. 이후 발전을 거듭해 1975년 마산의료원으로 승격되었으며 1983년 도립에서 지방공사로 법적성격이 변경되었다. 그러나, 독립채산제로 변경한 이후 공공병원으로서의 당연한 재정악화와 이에 따른 노사 분규로 인해 1996년 1월 의료원의 의사 전원이 사직하는 바람에 결국 2월 1일 병원은 휴업되었다. 결국 문제해결을 위해 같은 해 11월 경상대학교병원 측과 위·수탁 운영 협약을 체결하였고 다음해인 1997년 4월 14일에 경상국립대학교병원이 운영하는 병원으로 재개원했다. 이후 2006년 9월에 '지방 의료원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해 현재의 명칭인 '경상남도마산의료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현재의 병원은 기존 부지에 롯데물산이 기부채납한 마산크리스탈호텔 부지에 인접한 주택을 매입해서 8,600평 부지에 700억 규모(국고 50%)로 지하 2층, 지상 6층 규모로 2016년 신축되었다. 현창원지역에서 가장 고령자 인구비율이 높은 마산지역의 공공의료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진주의료원 폐업 사태|진주의료원이 폐원]]된 후 유일한 경상남도 산하 공공병원이기도 하다. 현재 298병상[*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1.06. 입원병실 기준] 운영하고 있으며, 경상국립대병원과 창원경상국립대병원과 함께 전공의 수련병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주소는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3·15대로 231 마산의료원. 창원시로 통합된지 10년 이상 지났는데 창원의료원으로 바꾸지 않고 마산의료원으로 이름을 유지하고 있다. == 사건 사고 ==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가 터지고 나서 경상국립대병원 측이 [[대구광역시]]에 거주한다는 이유만으로 경상국립대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보호자 병원 출입을 못하게 했다. [[http://www.tbc.co.kr/tbc_news/n14_newsview.html?p_no=20200413162810AE02354|관련 보도]] 아마 대구 지역 코로나 19 환자가 경상국립대병원에서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2&aid=0000995436|사망한 사례]] 때문에 그런 듯 하다. * [[조국(인물)]]의 딸 [[조민]]이 경상국립대병원 응급의학과 전공의에 지원한 사실이 드러났다. [[http://news.imaeil.com/page/view/2022011508392405673|관련 기사]] 결국 탈락했다. == 관련 문서 == * [[경상국립대학교]]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경상대학교/경상대학교병원, version=83)] [[분류:경상국립대학교]][[분류:대학병원]][[분류:기타공공기관]][[분류:권역응급의료센터]][[분류:권역외상센터]][[분류:경상남도의 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