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괴사]][[분류:순환계]] [목차] == 개요 == 경색(infarction, [[梗]][[塞]])은 특정 부위에서 [[피|혈액]]과 [[산소]]의 공급이 막히는 [[허혈]](ischemia)이 장시간 발생했을 때 그 부위가 [[괴사]](necrosis)를 일으켜 손상되는 현상이다. == 원인 == 경색의 원인 자체가 장시간의 허혈이므로 허혈의 원인이 곧 경색의 원인이 된다. [[허혈]] 문서를 보면 알 수 있듯, 허혈은 동맥이 어떠한 이유로 막혔거나, 외부에서 [[종양]] 등에 의해 눌리고 있거나, 동맥 자체에 손상이 생겨 피가 유출될 때 발생할 수 있다. [[고환염전]](testicular torsion)과 같이 혈관이 꼬이는 경우도 경색증의 일종이다. 동맥이 막히는 데에도 [[혈관경련]](vasospasm), [[혈관염]](vasculitis), [[죽상경화증]](artherosclerosis) 등등의 매우 다양한 이유가 존재한다. 다만, 대부분의 경색증은 [[동맥혈전증]](arterial thrombosis)과 [[색전증]](embolism)이 원인이 된다. 색전증 중에서도 가장 흔한 경우는 혈전이 혈관을 막는 원인이 되는 [[혈전색전증]](thromboembolism)이므로, 사실상 경색증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 [[혈전]](thrombus)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 종류 == === 색깔에 따라 === 경색이 발생한 부위가 괴사된 이후의 색깔에 따라 [[적색경색]](red infarction; 출혈성 경색, hemorrhagic infarction)과 [[백색경색]](white infarction; 빈혈성 경색, anemic infarction)으로 나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적색경색.jpg|width=100%]]}}} || || 폐에 발생한 적색경색 || 적색경색이 자주 발생하는 부위는 주로 느슨한 조직들로 이루어진 [[폐]], [[고환]], [[난소]], [[작은창자]] 등이다. 적색경색이 발생하는 원인에는 [[고환염전]]과 같은 정맥이 막힌 경우, 폐나 소장과 같이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의 기원이 두 곳[* 폐의 경우엔 [[폐동맥]](pulmoary a.)과 [[기관지동맥]](bronchial a.)에서, 소장의 경우엔 [[위창자간막동맥]](superior mesenteric a.)과 [[간문맥]](portal v.)에서 혈액이 공급된다.]인 경우, [[울혈]](congestion)이나 [[재관류손상]](reperfusion injury)이 발생했을 경우 등이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백색경색신장.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백색경색비장.jpg|width=100%]]}}} || || 신장에 발생한 백색경색 || 비장에 발생한 백색경색 || 백색경색은 비교적 딱딱한 조직을 가지는 [[심장]], [[비장]], [[콩팥|신장]]에서 동맥이 폐쇄되어 주로 발생한다. 이들 조직들은 그 특유의 딱딱한 구조로 인해 동맥의 경색이 일어났을 때 주변 [[모세혈관망]](capillary network)에서 추가적인 혈액이 공급되기 어렵기 때문에 백색경색에서 [[괴저]](gangrene)로 증상이 악화되기도 쉽다. === 감염 여부에 따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패혈성경색.jpg|width=100%]]}}} || || 폐에 발생한 패혈성경색[br]농양이 관찰되는 게 특징적이다. || [[세균]]에 의해 감염되어 발생한 경색을 패혈성 경색(septic infarction),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비감염성 경색(bland infarction)이라고 부른다. 패혈성 경색의 경우에는 증식한 세균이 [[색전]] 역할을 하여 혈관을 막거나, 병원체들이 조직에 침투하여 증식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대개 [[고름]](pus)이 찬 [[농양]](abscess)이 관찰된다. === 발생 부위에 따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심근경색단면.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뇌경색단면.png|width=100%]]}}} || || 급성심근경색 단면 || 뇌경색 단면 || 경색증은 허혈이 발생하기 쉬운 기관들, 즉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의 기원이 하나인 기관들에서 발생하기 쉽다.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이 발생하는 심장,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이 발생하는 뇌가 대표적이다. == 증상 및 소견 == 중추신경계(뇌)에 발생하는 경색을 제외하면 대부분은 괴사 조직이 딱딱하게 굳는 [[응고괴사]](coagulative necrosis)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반대로, 응고괴사의 원인 역시 대다수가 허혈로 인한 경색증이고, 응고괴사된 부위 자체를 경색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저산소증]]으로 인한 뇌경색의 특징적 소견은 위의 사진에서도 볼 수 있듯 괴사 조직이 효소에 의해 소화되어 찐득한 점액덩어리와 고름으로 변하는 [[액화괴사]](liquefactive necrosis)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