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함경북도의 시군)] ||<-3> {{{-2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함경북도|{{{#000 함경북도}}}]]{{{#000 의}}} [[군(행정구역)|{{{#000 군}}}]]'''}}}[br]{{{#!wiki style="margin: -10px -10px" ||<-3> {{{+1 '''경성군'''}}}[br]{{{-1 鏡城郡[br]Kyŏngsŏng County}}}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성군, 너비=100%, 높이=100%)]}}} || ||<|2> '''행[br]정[br]구[br]역''' || '''상위''' ||[[함경북도]] || || '''하위''' ||1읍 15리 || ||<|3> '''주[br]요[br]인[br]물''' || [[제14기 북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1 {{{#white '''대의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조선로동당|[[파일:wpk.jpg|width=25]]]] 박군석 {{{-2 (제620호 경성선거구)}}}[br][[조선로동당|[[파일:wpk.jpg|width=25]]]] 장춘실 {{{-2 (제621호 하면선거구)}}}[br][[조선로동당|[[파일:wpk.jpg|width=25]]]] 남홍선 {{{-2 (제622호 승암선거구)}}}}}} || || '''시당''' ||[[조선로동당|[[파일:wpk.jpg|width=25]]]] 최승남[* 2022년][br]{{{-2 (경성군당 책임비서)}}} || || {{{-1 '''인민위'''}}} ||[[조선로동당|[[파일:wpk.jpg|width=25]]]] ''미상''[* 2022년][br]{{{-2 (경성군 인민위원회 위원장)}}} || ||<-2> '''면적''' ||1,170.58㎢ || ||<-2> '''시간대''' ||UTC+9 || ||<-2> '''인구''' ||105,909명 {{{-2 ([[2008년]])}}} || ||<-2> '''인구밀도''' ||90명/km² {{{-2 ([[2008년]])}}} || ||<-2> '''관청[br]소재지'''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41.585212406612534%2c129.6032965743406, 너비=100%, 높이=150)]}}}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D1C27; color: white" '''경성군 인민위원회'''}}} {{{-2 (위치 미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hotos.wikimapia.org/81_big.jpg|width=100%]]}}} || || 경성읍성 남문[* 광복 당시 경성면 일리동, 북한 행정구역상 승암로동자구에 있다. 참고로 북한 행정구역상 경성읍은 광복 당시의 주을읍을 가리킨다. 한편 경성읍성은 국내에서 보기 드물게 ㅁ자 모양의 읍성이었으며, 사방에 성문이 있었지만 지금은 남문만 현존한다고 한다.[[http://panzercho.egloos.com/10069613|#]]] || [목차] [clearfix] == 개요 == [[함경북도]]의 [[군(행정구역)|군]]. 면적 1,171㎢. '[[함경도]]'의 '경'이 바로 이 경성이다. == 역사 == 여진족은 이곳을 우롱이(于籠耳), 목랑고(木郞古)라 했다. 목랑고는 [[여진어]]로 [[거울]]이란 뜻으로 이 명칭을 이어 鏡城이라 이름지었다고 한다. 1398년, 조선 건국 이후에야 경성(鏡城)이란 이름이 지어졌다. 변방의 성으로 남을 뻔한 이 성은, [[세종(조선)|세종]] 시기에 [[두만강]] 변에 [[육진]]을 개척하고 경성도호부(1432년)로 승격되면서 함경도의 주요 지역이 되었다. 특히, 1467년 [[이시애의 난]]으로 그간 함경도 북부의 거점도시였던 [[길주군|길주]]가 길주목에서 길성현(1467년)으로 강등되자, 이를 대신해 경성이 함경도 북부의 거점도시 역할을 하게 되었다. 함경도에서 '경'이란 이름이 경성에서 따오게 된 것은 덤.[* 정확히는 세조 대는 [[영흥군]], [[안변군]]의 이름을 따서 영안도였고, [[중종(조선)|중종]] 때에야 함경도라는 이름이 쓰이기 시작했다.] [Include(틀:조선의 행정구역)] [[23부제]]를 시행했을 때 조선 최북단에 경성부가 설치되었다. 영역은 이후의 [[함경북도]]와 거의 비슷했다. 1896년 [[함경도]]가 남북으로 분리될 당시, [[함경북도]]청 소재지였다. 1920년대에 [[일본 제국|일제]]가 경성읍내에서 나남읍으로 도청을 이전했다가, 1940년 나남읍이 [[청진시|청진]]에 편입되면서 졸지에 도청소재지 타이틀을 청진에게 빼았겼다. 원래 면적은 '''3,060㎢'''로, 광복 당시에는 [[함경북도]]에서 면적 2위의 큰 군이었다(1위는 [[무산군]]). 1952년 군면리 대폐합을 거치면서 크기로는 군 중에서만도 4위로 밀려났다. (1위 [[어랑군]], 2위 [[무산군]], 3위 [[연사군]]) 재미있는 점은 '''어랑군 전체가 원래 경성군 관할'''이었다. [[청진시]]로도 일부 땅이 넘어갔다. == 출신인물 == * [[강성산]] * [[김윤택]] * [[박향림]] * [[유기준(1908)|유기준]] == 자연지리 == 군의 중심지는 모조리 동쪽 해안에 붙어 있다. 인구의 거의 대부분이 군 동쪽의 10~15% 정도의 면적에 퍼져서 산다는 소리다. 그도 그럴 것이, 군의 서쪽에 있는 산들은 일단 '''[[관모봉]](높이 2,541m, 한반도 2위)'''이 가장 큰 압박이고, 이 관모봉을 빼도 도정산(2,199m), 입석산(1,982m), 궤산봉(2,277m) 등 2,000m를 전후하는 산만 서넛은 되니... 이외에도 여령(1,728m), 남하석산(1,742m), 백사봉(1,479m) 등이 군의 서부에 떡하니 버티고 있다. 관모봉의 포스가 워낙 세서 이게 별로 높아 보이지 않을 수도 있는데, '''상기 산들은 모두 [[소백산]]보다 높은 산들이다.''' 게다가 백사봉을 제외하면 남한에서 '''고개'''인 여령보다 높은 산은 '''[[한라산]]과 [[지리산]]뿐이다.''' == 교통 == 그러다 보니 교통편도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매우 좁은 도로를 제외하면 모조리 동쪽에 놓여 있다. 여령을 통과해서 [[무산군]]으로 가는 매우 좁아터진 도로를 제외하면 경성군에서 무산군, [[연사군]] 방향으로 갈 수 있는 길은 전혀 없다. 그리고 그 좁아터진 도로도 어째 중간에 '''김일성의 별장이 가로막고 있어서''' 사실상 통제구역. 고로 이 군에서 무산군으로 가려면 [[청진시]] - [[부령군]]으로 돌아가거나, [[어랑군]]에서 [[연사군]]을 거쳐 올라가는 비효율적인 짓을 해야한다. 게다가 [[룡현역]] 인근에도 별장이 하나 더 있다. 위치는 관모리 인근. == 기후 == 추위로 악명높은 [[함경북도]]치고는 그런데로 따뜻한 곳이다. 쾨펜의 기후 구분상으론 Dwb 혹은 Dfb. 연 평균기온 6.6℃, 최한월의 1월 평균기온은 -8.2℃, 8월의 기온은 21.1℃로 29℃의 연교차로 다른 함경도 지역보다 낮고 국경지대의 [[온성군]], [[회령시]] 등의 지역보다 괜찮은 기후를 자랑한다. 연 평균 강수량은 해안지방에서 648mm, 산악지대는 800mm로 소우지에 속한다. 다만 안개가 자주 끼는 편. == 여담 == [[서울특별시]]의 [[일제강점기]] 시절 명칭이었던 [[경성부]](京城府)와는 관계없다. 일제 당시 [[경성부]]는 "게이조부"고 경성군은 "교조군"이다. 다만 KBS에서 2000년 11월 14일 방영한 <북한리포트 서울에서 평양까지 - 경성군편>에서 출연한 조선중앙방송 방송원에 따르면 이 곳을 '북(北)경성', '북성(北城)'이라고도 하는 경우가 있는데, [[경성]](京城)과 구분하기 위해서라고 소개했다. 일제강점기 시절 주을의 산골에는 [[러시아 혁명]]을 피해 온 백군계 러시아인들이 마을을 이루고 있었다. == 인근 행정구역 == ||<|2> [[연사군]] || [[무산군]] || [[청진시]] || || '''경성군''' ||<|2> [[동해|동 해]] || ||<-2> [[어랑군]] || {{{#f6f6d8 ■}}} [[함경북도]] 소속 == 교통편 == ||<|2> 철도 || [[평라선]] || [[룡현역]]{{{#ffffff }}} [[경성역(평라선)|경성역]]{{{#ffffff }}} [[생기령역]]{{{#ffffff }}}[[승암역]]{{{#ffffff }}} || || [[대향선]] || [[룡현역]]{{{#ffffff }}} [[대향역]]{{{#ffffff }}} || || 도로 || [[7번 국도]] || [[온성군]] - [[청진시]] - 승암로동자구 - 박충로동자구 - 생기령로동자구 - 경성읍 -[br] 용천로동자구 - [[어랑군]] - [[부산광역시]] || == [[이북5도위원회|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 [include(틀:함경북도의 하위행정구역)] ||<-4> '''[[파일:함경북도(이북5도위원회) 휘장.svg|height=15]] [[함경북도|{{{#000000,#dddddd 함경북도}}}]]의 [[|{{{#000000,#dddddd 미수복 행정구역}}}]]'''[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경성군 상징.pn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1 경성군}}}'''[br]鏡城郡[br]{{{-1 Kyŏngsŏng -gun}}}}}}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성군기.png|width=200]]}}}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성군.jpg|width=100%]]}}} || ||<-2> '''군청 소재지''' ||<-2> 경성면 일리동 || ||<-2> '''상위 행정구역''' ||<-2> [[함경북도]] || ||<-2> '''하위 행정구역''' ||<-2> 2[[읍]] 4[[면]] || ||<-2> '''면적''' ||<-2> 3,060km² || ||<-2> '''인구''' ||<-2> 113,994명[* 1944년 인구총조사] || ||<-2> '''인구밀도''' ||<-2> 37.25/㎢ || * '''경성면'''(鏡城面) * 관할 동 : __일리(一里)__, 구덕(九德), 남부(南部), 남석(南夕), 독연(獨淵), 박상(朴上), 박중(朴中), 박하(朴下), 봉남(鳳南), 봉암(鳳巖), 부윤(富潤), 성남(城南), 성북(城北), 소(巢), 수성(壽星), 승암(勝巖), 아양(阿陽), 어유(魚遊), 오상(梧上), 용천(龍川), 용포(龍浦), 원향(元鄕), 직두(直頭), 회향(檜鄕) * 일리동에 면사무소와 군청이 있었다. 하지만 면의 위치 자체가 경성군의 최북단인데다, 면소재지도 [[청진시]]([[라남구역|나남]])와 인접해 있다.[* 이보다 북쪽에 있었던 나남읍과 용성면 대부분(현 청진시 [[송평구역]])이 1943년 청진부에 편입되면서 이렇게 됐다.] 원래 '오촌면(梧村面)'이었다가 1930년대에 개칭됐으며, 1940년 청진부에 편입된 나남읍(옛 나남면)도 원래 오촌면이었다가 1917년에 분리됐다. 봉암동(일부), 부윤동, 어유동, 직두동은 원래 용성면이었으나, 1940년 용성면 폐지 시 청진부가 아닌 경성면으로 편입되었다. * 북한 치하에서 주을읍에게 경성군 소재지를 빼앗기고 승암로동자구로 개편됐으며, 부윤·아양·어유동은 청진시 [[부윤구역]]이 됐다.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교통시설로 [[승암역]](구 경성역), 유적지로 경성읍성, 윤관의 사당인 정북사(靖北祠), 북한 지역에서 몇 안 남은 향교 건물인 경성[[향교]]가 있고, 원수대(元帥臺)에서는 신석기 시대 유적이 출토되었다. * '''어대진읍'''(漁大津邑) * 관할 동 : __송신(松新)__, 송흥(松興) * 1940년 어랑면 송신동과 송흥동이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경성군의 최남단. 읍소재지인 송신동은 어대진이라는 어항이 있다. 철도는 지나지 않는다. 참고로 평라선 어대진역은 어대진읍에 없고 어랑면에 있다. 내륙에는 [[무계호]](武溪湖), 동련호(東蓮湖) 등의 호수가 있다. * '''주을읍'''(朱乙邑) * 관할 동 : __온천(溫川)__, 대향(大鄕), 도암(道巖), 매향(梅香), 보상(甫上), 보암(甫巖), 봉파(鳳坡), 상칠(上七), 연향(蓮鄕), 영강(永康), 오류(五柳), 용교(龍郊), 용산(龍山), 용천(龍川), 용현(龍峴), 육향(六鄕), 이암(梨巖), 일향(一鄕), 중칠(仲七), 중평(仲坪), 중향(仲鄕), 직(直), 차향(次鄕), 청암(靑巖), 초향(初鄕), 팔향(八鄕), 하면(下面), 화하(花下), 회(檜) * '주을'은 [[여진어]]로 '뜨거운 물'이란 뜻이며, 이름 그대로 [[온천]] 지대였다. 중향동에 일제강점기 때 유명했던 [[경성온천|주을온천]]이 있었으며, 원래 이름은 주을온면(朱乙溫面)이었으나 1940년에 읍으로 승격되면서 개칭됐다. 광복 당시 행정구역 기준으로 전국에서 면적이 가장 넓은 [[읍(행정구역)|읍]](邑)이었다(면적 772㎢). 군청소재지인 경성면보다 더 발전해, 북한 치하에서 경성군 소재지(경성읍)가 됐다.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룡현역]], [[경성역(평라선)|경성역]](구 주을역), [[생기령역]]이 있다. 또한 룡현역에서 경성역으로 가기 직전 주을천을 건너기 직전에 서쪽으로 명칭불명의 지선철도가 주을천을 따라 대향동 방향으로 나 있다. * 보상동에 한국 전체(한반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인 [[관모봉]](2,541m)이 있다. * '''어랑면'''(漁郞面) * 관할 동 : __봉강(鳳岡)__, 교향(橋鄕), 무계(武溪), 부산(富山), 오상(五常), 용강(龍岡), 용양(龍陽), 용천(龍川), 용평(龍坪), 이암(梨巖), 이엄(二崦), 장연(長淵), 지방(芝坊), 하남(河南), 하우(河隅), 호양(湖陽), 화룡(花龍) *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봉강역]], '''[[어대진역]]'''이 있다. 어대진읍에 있는 게 아니다! 어대진역 서편, 주남면과의 경계지역에 면적 7.4㎢로 함경북도 제3의 호수[* [[경흥군]]의 [[서번포]], [[만포]] 다음이다.]인 [[장연호]](長淵湖)가 있는데, 호수 남쪽에 간양도(看羊島)라는 [[호중도]]가 있을 만큼 큰 호수다. 서련호(西蓮湖)도 있었는데 위성사진으로 보면 메워졌다. * '''주남면'''(朱南面) * 관할 동 : __용전(龍田)__, 광덕(廣德), 남평(南坪), 대문(大門), 부평(富坪), 삼포(三浦), 삼향(三鄕), 생룡(生龍), 선경(仙境), 소요(所要), 수남(水南), 신운(新雲), 오산(吾山), 용담(龍潭), 용암(龍巖), 이향(二鄕), 일암(一巖), 자산(紫山), 칠향(七鄕), 화우(花隅) * 원래는 주북면과 같이 '주촌면(朱村面)'이었으나, 1914년에 분할됐다. 경성군에서 유일하게 바다와 접해있지 않으며 철도도 지나지 않는다. 연대봉 서쪽의 산악지역 면적이 더 넓으며, 서쪽 무산군과의 경계는 궤산봉(2277m), 설령(2442m), 궤상봉(2333m), 남쪽 길주군과의 경계는 만탑산(2205m), 명천군과의 경계는 감토봉(1584m) 등의 고산준봉이 늘어서 있다. * '''주북면'''(朱北面) * 관할 동 : __용중(龍仲)__, 금곡(金谷), 남천(南川), 남하(南河), 두남(斗南), 득마(得馬), 부하(富下), 상고(上古), 시남(柴南), 암광(巖光), 영원(永院), 용산(龍山), 용연(龍淵), 용호(龍湖), 운곡(雲谷), 이룡(利龍), 접왕(接王), 청송(靑松), 하고(下古), 화곡(花谷), 화산(花山), 회문(會文) * 해안선을 따라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어랑역]](구 회문역)이 있다. 북한 행정구역상 [[어랑군]] 소재지이고, 바로 옆에 [[청진공항]](어랑비행장)이 있다. === 하위 행정구역 === 광복 당시에는 2읍(주을, 어대진) 4면(경성, 주북, 주남, 어랑)으로 이루어졌다. 북한 정권은 경성면 일리동에 있었던 군청을 주을읍으로 옮기면서 그곳을 경성읍이라 부르고 있다. 기록 순서는 구 시/군 - 구 읍/면 - 현재의 읍/동/리/로동자구 (구 동/리) 순서. * 경성군에서 남은 행정구역 * 주을읍 * 경성읍 (주을온동, 광산동) * 용천로동자구 (영강동, 용천동, 이암동) * 생기령로동자구 (광산동) * 하온포로동자구 (주을동) * 관모리 (도암동, 보암동, 청암동) * 대향리 (대향동, 이암동) * 룡산리 (용산동) * 매향리 (매향동, 보상동, 회동) * 상온포리 (온포동) * 염분리 (염분동) * 온대진리 (집삼동, 초향동) * 일향리 (연향동, 일향동, 향남동) * 중평리 (오류동, 중평동) * 하면리 (하면동) * 화하리 (화하동) * 경성면 * 박충로동자구 (박상동, 박충동, 소동) * 생기령로동자구 (직동) * 승암로동자구 (수성동, 승암동, 용포동, 읍내동) || {{{#white {{{+3 승암로동자구 }}}}}} || || [include(틀:지도, 장소=승암로동자구, 높이=224px, 너비=100%)] || * 남석리 (남석동) * 독연리 (독연동, 성북동) * 오상리 (오상동) * 장평리 (남부동, 원향동, 용포동, 장평동) * 주북면 * 매향리 (동이 통째로 넘어오지는 않았으며 마을 몇 개만 이관되었다) * 경성군에서 타 군으로 이관된 지역 * 어대진읍 (→ [[어랑]]군) * 경성면 (→ [[청진]]시) * 어랑면 (→ [[어랑]]군, [[명간]]군) * 주남면 (→ [[어랑]]군) * 주북면 (→ [[어랑]]군) == 하위 행정구역 == 1읍 5구 15리로 이루어져 있다. ||<-2> 경성군의 행정구역 || || 읍 || 경성읍 || || 로동자구 || 룡천구{{{#ffffff }}} 박충구{{{#ffffff }}} 생기령구{{{#ffffff }}} 승암구{{{#ffffff }}} 하온포구 || || 리 || 관모리{{{#ffffff }}} 남석리{{{#ffffff }}} 대향리{{{#ffffff }}} 독연리{{{#ffffff }}} 룡산리{{{#ffffff }}} 매향리{{{#ffffff }}} 상온포리{{{#ffffff }}}염분리{{{#ffffff }}}[br] 오상리{{{#ffffff }}} 온대진리{{{#ffffff }}}일향리{{{#ffffff }}} 장평리{{{#ffffff }}} 중평리{{{#ffffff }}} 하면리{{{#ffffff }}} 화하리 || [각주] [include(틀:포크 누락 문서)] [[분류:포크 누락 문서]][[분류:함경북도]]